[또래협력학습][또래학습][협력학습][또래][협력][또래협력학습모형][또래협력수업모형]또래협력학습의 기본방향과 또래협력학습의 원칙 및 또래협력학습의 사례로 본 또래협력학습의 강화방법 심층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또래협력학습][또래학습][협력학습][또래][협력][또래협력학습모형][또래협력수업모형]또래협력학습의 기본방향과 또래협력학습의 원칙 및 또래협력학습의 사례로 본 또래협력학습의 강화방법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또래협력학습의 기본방향

Ⅱ. 또래협력학습의 원칙

Ⅲ. 또래협력학습의 사례
1. 나랑 친구할래?-동화책
1) 생각하기와 예측하기
2) 의견나누기(말하기)
3) 이야기 짓기와 그림 그리기
4) 극놀이하기
2. ‘나랑 친구할래?’ 더듬어 표현하기
1) 놀이의 주안점
2) 놀이 방법
3) 주의점
3. 나만의 조각품 만들기
1) 놀이의 주안점
2) 놀이 방법

Ⅳ. 또래협력학습의 강화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도교사가 주제를 제시한다.
구체적인 주제와 추상적인 주제로 나눌 수 있다.
→ 조원들은 토의를 거쳐 작품을 만든다.
→한 조씩 나와 조각품을 만든다.
○구체적인 주제 : 꽃밭, 물 속 나라, 숲 속 나라, 동물나라 등
○추상적인 주제 : 사랑, 우정 등
※`구체적인 주제` 제시보다는 `추상적인 주제` 제시가 다양하고 상상력과 창의적인 면이 많다.
③다른 조원들은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작품제목 붙이기, 주제에 알맞게 표현을 했는지 등)
④조각품을 만든 조원들이 제목과 느낌을 발표한다.
⑤나머지 조원들도 돌아가며 작품을 만들고 이야기를 나눈다.
☞ 지도교사가 주제를 제시하지 않고 모둠 별로 주제를 정해 조각품을 만들고 다른 조원들이 주제를 알아보게 하는 놀이방법도 있다.
☞ 조각품을 만들 때 즉흥적으로 제시하는 주제에 따라 한사람씩 나와 상황을 만들어 보는 방법도 있다.
Ⅳ. 또래협력학습의 강화방법
또래 모둠원 간의 상호협력 활동에서 흥미가 없는 일에는 곧장 싫증을 내거나, 고집을 부리든가, 때를 쓰고 순서나 실시하는 방법을 쉽게 잊어버리는 장애아동의 특성 때문에 이들의 참여 의식을 높이게 하는 동기유발 방법으로 강화자극은 훈련과정에서 필수적이다. 비장애인에게는 교사의 관심이나 칭찬 같은 사회적 강화가 행동의 증가를 위한 결과 자극으로서 충분히 사용될 수 있지만, 정서장애 아동들에게 사회적 강화는 큰 매력을 주지 못하고 있다.
가장 매력적인 강화는 자기가 제일 먹고 싶은 것을 주는 것이었는데, 이들의 기호품을 미리 파악하여 다양하게 갖추어 놓고 한 가지에 싫증을 내면 다른 것으로 바꾸어 사용하는 간계적 강화방법을 사용할 예정하였다.
제1단계 강화도구 ……… 작은 초콜릿이나 과자류
제2단계 강화도구 ……… 작은 과일이나 음료류
제3단계 강화도구………… 장난감과 칭찬, 머리 쓰다듬기
제4단계 강화도구 ………… 스티커와 칭찬
위의 3단계 강화 도구에서 사용된 장난감은 플라스틱 칼이나 권총 같은 것을 즐겨 가지고 다니고 싶어 하는 이들의 특성에 알맞게 준비하여 사용하며, 4단계에서는 사용한 스티커는 이들이 옷에 무엇인가를 달고 다니는 것을 친구들 앞에서 자랑하고 싶어 하는 특성 맞춰 사용하고, 3, 4단계에서 물질적 강화와 사회적 강화를 병용하기 시작한 것은 이들이 점차 성숙해 감에 따라 사회적 강화 가치가 증가되기 시작한 반면, 물질적 강화 가치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점진적으로 비장애아동 수준의 강화 방법으로 유도해 나갈 수 있게 하였다.
참고문헌
◎ 변영계·김광휘(1998),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 박분희(1995), 구조화 협력학습전략과 보상이 독해학습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대 박사학위 논문, 미간행
◎ 스펜서 케이건(1998), 협동학습, 도서출판 디모데
◎ 이윤옥(1998), 유아를 위한 인성 교육 프로그램(협력 학습 활동 중심으로), 서울 : 창지사
◎ 정명화(1990), 협력학습에 관한 고찰, 동의전문대학논총
◎ 정문성(2002),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0.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