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개념과 필요성,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기능과 주의점,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사례,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개념과 필요성,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기능과 주의점,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사례,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시사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개념

Ⅲ.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필요성

Ⅳ.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기능

Ⅴ.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주의점

Ⅵ.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사례
1. 사례 1
1) Master Plan
2) Sub plan
2. 사례 2
1) 도입단계(Introduction)-warm up 활동
2) 전개단계(Development)
3) 정리단계(Consolidation)

Ⅶ.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방법

Ⅷ.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ication 활동을 할 수 있다.
나) 대화문의 주인공을 학급 동료나 가족으로 바꾸기--(주인공, 시제, 형용사, 부사 등) Role play--whole->group->individual시켜 나가며 역할을 서로 바꾸거나 대사를 달리해보기.
다) 활동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나 알기 위해 Question/Answer 활동하기
3) 정리단계(Consolidation)
- Key-point를 요약 정리한다.
- Comprehension, Listening, Speaking이 제대로 이루어 졌는지 확인하고 피드백한다.
- 다음 배울 내용을 소개하고 필요한 자료를 준비시킨다.
- English song이나 Jazz chant 영어 인사로 영어 활동을 마무리한다.
Ⅶ.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방법
역할 놀이는 어떤 인물이 주어진 상황에서 말을 해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습 내용을 응용할 수 있는 상황과 인물만 정해지면 역할 놀이를 할 수 있다.
초등 영어 지도에 있어서 수업 시간에 활용하는 역할 놀이는 연극에 가까운 활동이다. 그것은 어떤 상황이 주어진다고 하더라도 어린이들이 즉흥적인 대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대사를 생각하고 그것을 암기하며, 마지막으로 여러 어린이들 앞에서 실연을 하는 경우가 보통이기 때문이다.
역할 놀이를 하기에 앞서 교사는 이미 배운 어휘와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대략적인 상황과 역할을 정한 후에 어린이들에게 각자의 역할을 적은 카드를 준다. 역할 놀이가 그룹 활동이 될 때 교사가 어린이들의 역할을 정해 주는 것도 좋지만 그냥 스스로 역할을 정하게 해 보는 것도 좋다. 그러면 어린이들은 대화를 만들어 나가면서 때에 따라서 상황을 수정하거나 발전시키면서 하나의 아주 짧은 연극적 역할 놀이를 하게 될 것이다.
1) 챈트, 노래, 놀이, 게임 등을 통해 흥미롭고 활동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2) 학습 목표와 내용에 맞게 다양한 교수 방법을 적용한다.
3) 다양한 자료를 마련하여 학생들의 능력에 맞게 제공하고, 개인별/짝별/조별/분단별 학습 활동을 통하여 학생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4) 시청각 자료 및 멀티미디어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흥미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한다.
Ⅷ. 영어역할놀이(영어역할극, 롤플레이)의 시사점
영어 학습의 입문기인 초등학교 3학년에서는 언어 지식이 부족하므로 대부분의 역할놀이가 ‘암기한 대화의 재연 단계’에서 그치고 있다. 물론 초보자들에게 꼭 필요한 단계이기는 하나 진정한 의미의 역할 놀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단순히 정해진 대화를 한 줄씩 외워서 발화하게 한다면, 그것은 역할놀이가 아니고 단순한 언어 연습에 불과하며 의사 소통 능력의 개발에도 도움이 되지 못한다. 또한 7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학습이 이루어지기에도 무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 3학년이라는 발달 단계와 언어 학습 수준을 고려해 볼 때, 역할놀이의 마지막 단계를 구사하기는 어렵겠지만 주어진 상황 자료를 보고 나름대로 알고 있는 모든 지식을 총동원하여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주어야 한다고 느끼게 되었다.
참고문헌
◈ 김영희, 동화로 가르치는 초등영어, 서울 : (주) 문진미디어
◈ 강덕신(1997), 우화 활동을 통한 초등학교에서의 영어 지도에 관한 연구, 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배두본(1997), 영어교육학, 서울:한신문화사
◈ 신재철(2003), 초등영어 교수·학습 방법론, 서울: 형설출판사
◈ 양진희(1996), 극화 활동을 통한 영어 지도 연구, 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이완기(1997), 초등 영어 교육론(개정판), 서울:문진미디어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10.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3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