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구(학습도구) 개념, 특징, 필요성, 교구(학습도구) 그림카드와 낱말카드, 교구(학습도구) 컴퍼스, 교구(학습도구) 계산기, 교구(학습도구) 실물화상기, 교구(학습도구) 멀티미디어자료, 교구(학습도구) 관련 제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구(학습도구) 개념, 특징, 필요성, 교구(학습도구) 그림카드와 낱말카드, 교구(학습도구) 컴퍼스, 교구(학습도구) 계산기, 교구(학습도구) 실물화상기, 교구(학습도구) 멀티미디어자료, 교구(학습도구) 관련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교구(학습도구)의 개념

Ⅱ. 교구(학습도구)의 특징
1. 가시성
2. 단순성
3. 정확성
4. 흥미
5. 실용성

Ⅲ. 교구(학습도구)의 필요성

Ⅳ. 교구(학습도구) 그림카드와 낱말카드
1. 그림 카드(Picture flash card)
2. 낱말 카드(Word flash card)와 문장 카드(Sentence flash card)

Ⅴ. 교구(학습도구) 컴퍼스
1. 컴퍼스로 원 그리기
2. 컴퍼스로 원을 그리면 좋은 점

Ⅵ. 교구(학습도구) 계산기

Ⅶ. 교구(학습도구) 실물화상기
1. 실물화상기
1) 마이크 활용
2) NIE자료를 보여줄 때
3) 사회(국사) 수업에 활용
4) 기타
2. 비디오
3. 디지털 카메라
4. 스캐너

Ⅷ. 교구(학습도구) 멀티미디어자료

Ⅸ. 교구(학습도구) 관련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결을 따라가면서 참조 할 수 있는 문서를 의미한다. 즉 하이퍼텍스트는 하나의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혹은 같은 문서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쉽고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이퍼미디어는 하이퍼텍스트 개념을 멀티미디어에 확대 적용한 것이다. 즉, 전자 하이퍼 시스템을 통하여 학생들은 자신들이 학습하고 있는 내용과 연관된 문자자료에 직접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리, 그래픽, 애니메이션, 동화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연관 미디어 자료에 접근 할 수 있다.
컴퓨터의 조정아래 운용되는 멀티미디어와 하이퍼미디어의 특성은 학습자에게 다면체의 자료를 제공하고 학습자와 매체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 학습자가 제시되는 자료의 순서에 상관없이 즉각적으로 다른 미디어 자료로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급속히 발전이 진행 중인 멀티미디어를 정의한다는 것이 무의미 할지 모르겠으나, 한 마디로 말해서 멀티미디어는 현재까지 개발되고 앞으로 개발될 모든 매체(미디어)를 하나로 통합한 \'All-in-One\'미디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의미로 활용되어지는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정의를 해 본다면, 첫 번째 의미는 텔레비전, 비디오, OHP, 슬라이드 프로젝트, 영화, 책, 컴퓨터, 녹음기 등과 같은 각각 독립된 기기들을 조합시켜 활용하기 위하여 몇 개를 선택했을 때의 미디어 집합체를 말한다. 한 마디로 말하면 ‘복수의 다양한 미디어’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이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정의이다. 두 번째로, ‘멀티미디어’라고 하는 용어는 최근에 급속히 실용화되고 있는 하이퍼미디어를 의미하고 있다. 하이퍼미디어는 화면상의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 하는 것만으로 파일의 상호 참조를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디오 동화상, 애니메이션, 컬러 정지화상 그리고 음성 등의 다양한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정의에서는 미디어라고 하는 말이 하드웨어류의 기기가 아니고 정보, 모드, 즉 영상, 음성, 도형, 기호, 문자라고 하는 정보의 종류를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멀티미디어 컴퓨터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지막 세 번째의 정의는 컴퓨터를 중심으로 해서 스캐너, 음성 입력장치, 앰프와 스피커, CD-ROM 플레이어, 제어기능이 붙은 비디오디스크나 레이저디스크 플레이어 등의 주변기기를 조합한 시스템을 의미하기도 한다. 미디어의 통합에 의한 새로운 컴퓨터 시스템을 멀티미디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Ⅸ. 교구(학습도구) 관련 제언
항상 조직에 적합한 훈련 자료를 제해야 하며, 따라서 효과적인 학습도구를 만드는 것에 있어 중요한 것은 훈련참가자들에게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점이다. 학습도구는 피교육자에게 있어서 무엇이 중요한 지를 가리킬 수도 있지만, 요점을 가려 버릴 수도 있다. 또는 이것은 기억을 증진시킬 수도 있지만, 듣는 사람을 지루하게 만들 수도 있다. 이는 모두 학습도구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방식에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훈련참가자에게 초점을 맞추고, 각각의 학습도구 활용지침을 잘 준수하여 제작하여야 효과적인 학습도구를 제작·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권성호(1999),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 가능성과 문제점, 멀티미디어 저널
박노진(1999), 전국 시·도 중학교 교구·설비 기준 비교,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상욱(1998), CD 타이틀 제작을 위한 멀티미디어 툴북 실전 활용, 정보문화사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구재 활용 방안, 학교수학학회 뉴스레터 제2권 제2호
임규혁(1996), 학교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학지사
전성수(2000), 그림으로 생각을 열자, 서울 : 미술나라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10.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4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