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특성과 배경,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목적과 자료,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성과,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의 제고방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특성과 배경,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목적과 자료,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성과,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의 제고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특성

Ⅲ.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배경

Ⅳ.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목적

Ⅴ.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자료
1. 물 주전자
1) 방법 및 활동 내용
2) 유의점
2. 비석치기
3. 그림자 밟기
4. 바람개비 놀이
5. 여우놀이
1) 방법 및 활동 내용
2) 유의점
6. 땅빼앗기
1) 방법 및 활동 내용
2) 유의점
7. 암자치기
1) 방법 및 활동 내용
2) 유의점
8. 글자 찾기
9. 성냥개비 놀이
10. 망차기
1) 방법 및 활동 내용
2) 유의점
11. 실뜨기
1) 방법 및 활동 내용
2) 승부 정하기와 규칙
3) 응용 놀이
12. 이거리 저거리
1) 방법 및 활동 내용
2) 유의점
13. 칠교 놀이
1) 방법 및 활동 내용
2) 유의점
14. 집뺏기 놀이
15. 굴렁쇠 놀이

Ⅵ.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성과

Ⅶ. 향후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제고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편의 집에 쳐들어가 집을 찍으면 이긴다.
- 집단 술래잡기 형식의 대표적인 놀이라 할 수 있다.
15. 굴렁쇠 놀이
* 방법 및 활동 내용
- 채를 이용하여 굴렁쇠가 넘어지지 않도록 굴린다. 채는 굴렁쇠 모양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굴렁쇠 면이 둥글면 Y자 형태의 채를 만들어 사용하고 자전거 바퀴처럼 홈이 파져 있으며 I자 형태의 채를 만들어 사용한다.
- I자, S자, 원형 혹은 T자 형태의 선을 그어 선을 따라 굴리기도 한다. 이때는 누가 가장 코스를 이탈하지 않고 빠르게 갔느냐에 관점을 가진다.
- 경기 방법에는 목표 지점까지 개인별 빨리 굴리기, 조별 이어 굴리기, 재주 부리기 등이 있다.
- 개인별 및 조별 굴리기는 100M 달리기 경기 규칙과 같으며 굴렁쇠를 넘어뜨리지 않고 목표지점까지 빨리 굴려오는 사람이 승리한다. 재주부리기는 난이도가 높은 재주를 부리는 사람이 이기게 된다.
Ⅵ.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성과
가. 민속놀이에 대한 관심과 아이들의 흥미를 배가시키고, 민속놀이 내용과 지도방법을 쉽게 이해시키고 제시할 수 있어 학습효율이나 목표성취도를 끌어올릴 수 있다.
나. 민속놀이 준비물과 지도방법이 미흡하여 민속놀이 지도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교사들의 부담감을 덜어 주고, 교재연구 및 자료 수집에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다. 실제 기구를 가지고 민속놀이를 익힐 수 있어 아동의 참여도가 높고 학습 효과를 신장시킬 수 있다.
라. 직접 부딪치고 체험하는 활동을 통하여 협동심, 규칙 등을 깨닫고 다른 친구들과 어울려 놀 수 있는 인성이 길러질 것이다.
마. 교단 선진화 사업으로 보급된 멀티미디어 장비를 적극 활용할 수 있고, 제 7차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교육의 자율성에 바탕을 둔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에 도움이 된다.
바. 우리 민족의 전통 문화를 이해하고 사랑하는 태도가 길러졌으며 우리 민속놀이를 좀 더 가까이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Ⅶ. 향후 전통놀이지도(전래놀이교육, 민속놀이학습)의 제고 방향
몇 가지 방안은, 첫째, 민속놀이의 원형을 찾아보는 일이다. 모든 놀이는 원형에서 출발하여 여러 가지 규칙이 더해지면서 복잡하고 다양하게 발달해 간다. 비석치기, 사방치기, 투호 등의 놀이는 \'일정하게 떨어진 곳에서 정확하게 맞히거나 집어넣기\'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이것이 바로 원형이라 할 수 있는데, 이렇게 원형을 찾은 후 놀잇감이나 방법 등을 어린이들 흥미에 맞게 변형시켜 본다. 돌 대신 깡통, 신발, 고무공을 이용해 놀아보기도 하고 볼링, 농구 게임 등을 접목해 보면 어떨까?
둘째, 놀잇감도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더불어 자신의 것이라는 소중함을 느끼게 해줄 필요가 있다. 예전같이 종이가 귀할 때에는 딱지 한 장도 귀했지만 지금은 사정이 다르다. 한 장에 몇 천 원하는 딱지도 쉽게 버리고 한번 눈길에서 벗어나면 찾지도 않는데 이제는 옛날 딱지도, 돈 주고 사는 딱지도 아닌 자신의 노력이 담긴 개성 있는 딱지를 만들어 놀게 해야 할 때가 아닐까? 물론 다른 놀잇감도 같은 맥락에서 바라보아야 한다고 본다.
셋째, 무엇보다도 국적 있는 우리의 놀이에 익숙해지도록 어린이들을 많이 놀게 해야 한다. 우리의 자랑스러운 민속놀이야말로 서로 부비고 뒹굴면서 자연 발생되지 않았는가? 정말 절실한 것은 놀 시간과 공간, 분위기를 조성해 주어야 한다고 본다.
끝으로 민속놀이의 현대화는 절실하지만 이는 민속놀이를 충분히 익혀 본 후에 놀이의 원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접근해야 한다. 정형화된 놀이 형태가 제대로 보존되지 않는 현실에서 놀이 자체의 무분별한 변형은 신중할 필요가 있음도 유의해야 한다.
우리 조상들이 남긴 문화유산에는 얼마나 훌륭한 것이 많은가? 세계 문화유산으로 당당히 인정받은 우리의 판소리며, 또 명절 때마다 즐겨왔던 우리의 윷놀이는 전 세계 수많은 놀이들의 원형이며 특히 판 위에서 주사위를 가지고 하는 모든 놀이들의 원형이라고 스튜어트 컬린(Stewart Culin, 1858-1929)이라는 미국인은 『한국의 놀이』(윤광봉 역, 2003)라는 책을 써서 밝히고 있다. 이 얼마나 자랑스러운 일인가?
참고문헌
김숙경(1993), 한국 전래 놀이, 서울 : 청맥
김경희(1986), 전통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심우성, 한국의 민속놀이 그 이론과 실제, 대광문화사
이대균(1995), 전통놀이 교육활동, 서울 : 양서원, 동은유치원
임재해(1994),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지식산업사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10.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5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