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품앗이
Ⅲ. 두레
Ⅳ. 향약
1. 환난상휼(患難相恤)
2. 과실상규(過失相規)
3. 예속상교(禮俗相交)
4. 덕업상권(德業相勸)
Ⅴ. 계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Ⅱ. 품앗이
Ⅲ. 두레
Ⅳ. 향약
1. 환난상휼(患難相恤)
2. 과실상규(過失相規)
3. 예속상교(禮俗相交)
4. 덕업상권(德業相勸)
Ⅴ. 계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이다. 두 명 이상의 사람이 서로 간에 주고받는 관계를 흔히 쌍방적 교환이라고 한다. 하지만 상부상조는 쌍방적 교환과는 다르다. 쌍방적 교환은 시장을 통해 이루어지는 등가교환에서 가장 전형적으로 이루어진다.
인간들이 상부상조하면서 만들어낸 종족이나 씨족은 점차 지역, 언어, 종교, 핏줄, 직업 등에 기초한 각종의 결속체들로 변화해 갔다. 이중에 가족은 상부상조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을 가족으로 정의할 수 있게 하는 핵심적 요소는 가족 성원간의 지속적인 상부상조이다. 전통사회의 경우, 가족의 상부상조 기능은 특히 중요했다. 가족 성원들의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욕구 또한 상부상조를 통해 충족되었다. 부모의 부양이나 자녀의 양육, 사회생활과 경제의 조직화에 필요한 각종 상부상조 기능은 대단히 중요한 것이어서, 오늘날에도 전통적인 대가족 제도가 강력하게 남아있는 사회에서는 사회복지에 대한 국가의 역할이 약한 경향이 있다.
상부상조의 가장 기본적인 지점은 가족이지만, 가족만이 상부상조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상부상조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적 결속체들이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 국사편찬위원회(1995), 한국사-계의 성행과 발전 34권
- 신정희(1972), 조선조 향약시행에 대한 일고찰, 대구사학5
- 윤수종(1992), 품앗이에 관한 일 연구, 사회와 역사, 제33권 한국사회사 학회(문학과지성사)
- 이창우, 지역품앗이 운동
- 전장석(1957), 두레에 관하여, 문화유산
- 한상권(1984), 16·17세기 향약의 기구와 성격, 진닥학보, 58
인간들이 상부상조하면서 만들어낸 종족이나 씨족은 점차 지역, 언어, 종교, 핏줄, 직업 등에 기초한 각종의 결속체들로 변화해 갔다. 이중에 가족은 상부상조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을 가족으로 정의할 수 있게 하는 핵심적 요소는 가족 성원간의 지속적인 상부상조이다. 전통사회의 경우, 가족의 상부상조 기능은 특히 중요했다. 가족 성원들의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욕구 또한 상부상조를 통해 충족되었다. 부모의 부양이나 자녀의 양육, 사회생활과 경제의 조직화에 필요한 각종 상부상조 기능은 대단히 중요한 것이어서, 오늘날에도 전통적인 대가족 제도가 강력하게 남아있는 사회에서는 사회복지에 대한 국가의 역할이 약한 경향이 있다.
상부상조의 가장 기본적인 지점은 가족이지만, 가족만이 상부상조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상부상조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적 결속체들이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 국사편찬위원회(1995), 한국사-계의 성행과 발전 34권
- 신정희(1972), 조선조 향약시행에 대한 일고찰, 대구사학5
- 윤수종(1992), 품앗이에 관한 일 연구, 사회와 역사, 제33권 한국사회사 학회(문학과지성사)
- 이창우, 지역품앗이 운동
- 전장석(1957), 두레에 관하여, 문화유산
- 한상권(1984), 16·17세기 향약의 기구와 성격, 진닥학보, 5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