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광양회에서 돌돌핍인으로 가는 중국
1) 국익에 따른 무한 경쟁의 국제사회
2) 중국의 외교정책 기조변화
2. 동북공정 이은 한글 공정의 정의
1) 동북공정 이은 한글 공정의 개념
2) 한글공정의 진행상황
3. 한글공정의 숨은 의도
1) 정치적 의도
2) 경제적 의도
3) 사회문화적 의도
4. 한글공정을 극복하기 위한 성공적 대응방안
1) 국익에 따른 무한 경쟁의 국제사회
2) 중국의 외교정책 기조변화
2. 동북공정 이은 한글 공정의 정의
1) 동북공정 이은 한글 공정의 개념
2) 한글공정의 진행상황
3. 한글공정의 숨은 의도
1) 정치적 의도
2) 경제적 의도
3) 사회문화적 의도
4. 한글공정을 극복하기 위한 성공적 대응방안
본문내용
주권이나 문화주권을 말도 안 되는 논리로 침해하는 것이 해당 정부의 치졸하고 부끄러운 행동임을 강력히 제기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당사국간에 외교협정 차원으로 이끌어내고 국제사회에 이러한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하여 국제적인 지지를 얻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북한이 중국과의 우호적 관계에 있으므로 이를 외교적 차원에서 잘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는 민간차원의 액사왜곡이나 문화왜곡사례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볼 필요도 있다. 일본의 역사왜곡을 세계에 알리는 사이버단체들이 많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이 공식적이고 정부적 차원에서 대응하는 것 이외에 민간외교 사절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우리의 시민단체들도 이러한 현상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질 필요가 있다. 오늘날 우리사회의 시민단체들은 정치도구로 전략하여 국내 사안에 한하여 정치적 시각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매우 높다. 그러나 이는 시민단체의 부패로 규정될 수 있다. 주변국들의 역사와 문화의 왜곡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받고 있는 시민단체들이 이러한 사안에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나아가 자생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면 정부차원에서 공식적인 지원을 하는 시민단체의 양성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국민 개개인들의 감정적이고 즉흥적인 대응을 자제하고 개개인 스스로가 우리의 역사를 재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대응을 해야 할 것이다. 특히 개인의 참여는 주로 사이버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더더욱 쓰레기 같은 댓 글을 씀으로써 오히려 한국에 대한 호의적 중국인들에 대하여 한국의 천박성을 알리는 행동들은 삼가야 할 것이다. 세련되면서 논리적인 대응 글들을 올림으로써 중국인 개개인들이 역시 한글은 한국의 문화유산이므로 중국이 한글 표준 규격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그들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중국은 역사와 한글뿐만 아니라 향후에도 이러한 공정은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이에 대한 대책들이 근본적으로 체계적이면서 조직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순간순간에 즉흥적이고 일시적인 대응은 향후 우리가 주권을 유지하고 이를 지켜 대대손손 우리의 민족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지 아니면 중국에 다양한 형태의 주권침해가 결국은 민족적 자존과 주권까지 침해당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는지는 지금 늦은 감이 있지만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장기적 대책을 마련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만년을 이어온 조상의 얼을 지켜나갈 수 있을지 없을 지는 바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몫이요 책임이라 지적하면서 글을 맺을까 한다.
동북공정 이은 한글공정의 숨의 의도와 성공적 대응 방안
1. 도광양회에서 돌돌핍인으로 가는 중국
1) 국익에 따른 무한 경쟁의 국제사회
2) 중국의 외교정책 기조변화
2. 동북공정 이은 한글 공정의 정의
1) 동북공정 이은 한글 공정의 개념
2) 한글공정의 진행상황
3. 한글공정의 숨은 의도
1) 정치적 의도
2) 경제적 의도
3) 사회문화적 의도
4. 한글공정을 극복하기 위한 성공적 대응방안
다음으로는 민간차원의 액사왜곡이나 문화왜곡사례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볼 필요도 있다. 일본의 역사왜곡을 세계에 알리는 사이버단체들이 많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이 공식적이고 정부적 차원에서 대응하는 것 이외에 민간외교 사절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우리의 시민단체들도 이러한 현상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질 필요가 있다. 오늘날 우리사회의 시민단체들은 정치도구로 전략하여 국내 사안에 한하여 정치적 시각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매우 높다. 그러나 이는 시민단체의 부패로 규정될 수 있다. 주변국들의 역사와 문화의 왜곡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받고 있는 시민단체들이 이러한 사안에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나아가 자생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면 정부차원에서 공식적인 지원을 하는 시민단체의 양성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국민 개개인들의 감정적이고 즉흥적인 대응을 자제하고 개개인 스스로가 우리의 역사를 재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대응을 해야 할 것이다. 특히 개인의 참여는 주로 사이버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더더욱 쓰레기 같은 댓 글을 씀으로써 오히려 한국에 대한 호의적 중국인들에 대하여 한국의 천박성을 알리는 행동들은 삼가야 할 것이다. 세련되면서 논리적인 대응 글들을 올림으로써 중국인 개개인들이 역시 한글은 한국의 문화유산이므로 중국이 한글 표준 규격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그들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중국은 역사와 한글뿐만 아니라 향후에도 이러한 공정은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이에 대한 대책들이 근본적으로 체계적이면서 조직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순간순간에 즉흥적이고 일시적인 대응은 향후 우리가 주권을 유지하고 이를 지켜 대대손손 우리의 민족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지 아니면 중국에 다양한 형태의 주권침해가 결국은 민족적 자존과 주권까지 침해당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는지는 지금 늦은 감이 있지만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장기적 대책을 마련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만년을 이어온 조상의 얼을 지켜나갈 수 있을지 없을 지는 바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몫이요 책임이라 지적하면서 글을 맺을까 한다.
동북공정 이은 한글공정의 숨의 의도와 성공적 대응 방안
1. 도광양회에서 돌돌핍인으로 가는 중국
1) 국익에 따른 무한 경쟁의 국제사회
2) 중국의 외교정책 기조변화
2. 동북공정 이은 한글 공정의 정의
1) 동북공정 이은 한글 공정의 개념
2) 한글공정의 진행상황
3. 한글공정의 숨은 의도
1) 정치적 의도
2) 경제적 의도
3) 사회문화적 의도
4. 한글공정을 극복하기 위한 성공적 대응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