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음식의 발달 이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도 음식의 발달 이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역적 특색
1). 자연 지리적 환경
2). 척박한 땅

2. 발달 이유
1). 자연의 맛을 살린 음식
2). 알뜰하고 소박한 식생활
3). 단순한 조리방법

3. 대표 음식
1). 생선회
2). 자리회 & 자리물회
3). 옥돔구이
4). 성게국
5). 빙떡
6). 해불뚝배기
7). 전복죽
8). 갈치호박국
9). 말고기
10). 몸국
11). 흑돼지 불고기

4. 특산물
1). 농축산물
(1). 꿩
(2). 청견
(3). 한라봉
(4). 밀감꿀
2). 해산물
(1). 옥돔
(2). 넙치
(3). 찐톳
(4). 소라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이다.
11) 흑돼지 불고기 : 오래전 제주는 집집마다 돼지를 길렀고, 경조사시 키운 돼지를 잡아 손님들에게 대접하는 풍습이 있었다. 다른 지방의 돼지고기보다 제주의 돼지고기 맛이 특이한 것은 돼지를 잡을 때 돼지털을 전초로 태워 버려 전초의 향이 고기속에 배어 맛이 특이하게 되는 것이다.
4. 특산물
1). 농축산물
(1) 꿩 : 청정 한라산 기슭에서 사육하고 있기 때문에 그 고기가 맛있고 영양이 풍부하며, 고단백 저칼로리 식품으로 특히 오메가3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다.
(2) 청견 : 본품종의 과실모양은 모품종인 궁천조생과 비슷하나 이보다는 크며 과즙이 많고 향기가 높아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있는 품종이다.
(3) 한라봉 : 당도가 높고 과육이 우수하고 향기도 좋고 먹기가 쉽다. 1990년에는 품종명 부지화라고 명명되다가 제주도에서 한라봉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탄생하게 되었는데, 한라봉 감귤 꼭지부분이 뾰족하게 튀어 나온 외형이 한라산을 닮았다고 해서 한라봉으로 명명된 것이다.
(4) 밀감귤 : 주성분인 천연포도당과 과당은 설탕과 달라서 단당류로서 그 이상 분해할 필요 없이 소화 흡수됨으로 위장에 부담을 주지 않고 곧 에너지가 되는 것이다.
2). 해산물
(1) 옥돔 : 옛날 임금님께 진상할 왕실 진상품인 정도의 고급 어종이며, 맛이 은근하고 담백하여 한번 맛본 사람은 누구나 다시 찾게 되며 타 지방으로 보내는 고급 선물 중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2) 넙치 : 청정해역에서 생산되는 제주도 양식넙치는 완벽한 영양관리로 자연산과 같은 맛이 그대로 보존되어 세계적으로 그 명성이 높다. 넙치는 마그네슘, 칼슘, 인, 비타민, EPA, DHA 등 많은 영양소가 듬뿍 들어있어 횟감으로는 단연 으뜸이다.
(3) 찐톳 : 톳에는 칼슘과 철분, 섬유질, 비타민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좋은 자연식품이다.
4) 소라 : 소라에는 칼슘, 인, 비타민, 아미노산이 듬뿍 들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독특한 조직감과 향긋한 향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뜻에서 이제까지 조사된 제주도 음식에는 아득한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노라면 자연과의 투쟁에서 역사적인 시련에서, 또는 사회적인 상황에서 적응하고 순응하고 반항하면서 줄기차게 살아 온 사고생활의 한 반영으로써 진취적인 식생활의 슬기로운 모습을 보여 준다고 할 것이다.
5. 참고 문헌
→ www.naver.com
→ www.blog.naver.com/daejungup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0.16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54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