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배경사를 요약하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약배경사를 요약하라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신약의 역사적 배경
1. 파사시대
2. 알렉산더 시대
3. 애굽시대
4. 수리아 시대
5. 마카비 시대
6. 로마시대

Ⅱ. 신약성경의 정치적 사회적 배경
1. 1.바벨론시대(626-539.B.C)
2. 페르샤시대(539-331 B.C)
3. 그리이스시대(331-63 B.C.)
4. 하스모니안 독립시대(167-163 B.C)
5. 로마의 통치시대(63 B.C.부터)

Ⅲ. 문화적 종교적 배경
1. 유대교(Judaism)
2. 헬레니즘(Hellenism)
3. 로마의 제국주의(제국주의)

본문내용

신비종교들에 빠져들었다. 헬라의 신비적인 요소들-엘류시스의 신비나 오르퓨스의 신비-이 서방에 알려진지는 오래였으나 로마제국의 영토확장과 함께 애굽(이시스와 오시리스/세라피스)과 페르샤(미드라스)와 그 밖의 동방 여러 곳에 퍼져 있던 유사한 신비종교들이 차이가 있었다. 할지라도 개인적으로 일정한 가입절차를 밟아서 입교하지 않는 자에 대해서는 일제의식에 참예시키지 않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다. 의식들은 자주 신(페르세폰, 오르퓨스,오시리스,그리고 그 밖의 신들)의 죽음과 부활에 관한 신화에 중심을 두었고 모든 입교자들이 다 참예하는 연극을 통해서 그 신화가 재연되곤 하였다. 그들은 공식적인 국가의 종교가 지닌 냉냉한 지성주의와는 아주 다른 따뜻하고 감동적이며 개인적인 헌신의 정신을 불러 일으켰다.
점성술과 복술, 마술,마귀숭배,그리고 그 밖의 신비적인 관습들 역시 동방종교의 매혹적인 요소들로서 종교에 어떤 실재성과 실제적인 효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들이었다.
신약의 서신서들이 저작될 때 쯤에는 뒤에 가서 "영지주의"로 총칭된(A.D. 2세기) 수많은 종파들이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세부사항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나 "물질"은 악하고 영은 선하다는 기본 사상을 함께나누고 있었다. 이 사상에 의하면 하나님이 물질로 만물을 창조하실 수 없었고 또 그의 아들이 그 물질세계 안에서 육신의 몸을 입으실 수도 없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하나님과 세상사이의 전반에 걸쳐서 종속적인 존재들을 대면하고 있었다. 사람들은 물질세계의 악을 함께 나누고 있었으나 가능한 신의 불꽃을 포함하고 있다. 사람이 구속받기 위해서는 하늘에 근원을 둔 지식(헬라어는 그노시스)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같은 견해들은 환상적인 신화들에 표현되어 있었고 또 신비종교들의 경우에서와 같이 영지주의의 여러 종파들의 초보자들에게 알려져 있었다.
바울이 지적한 바와 같이 그 당시의 세상은 "범사에 종교성이 많았다"(행 17:22). 사람들은 헛된 신화가 아닌 따를 만한 가치가 있는 신앙을 원하였다. 그것은 하나님을 구하고 참되고 실제적이며 만족을 주는 종교로 인도하는 길을 간절히 찾는 세상이었다.
3. 로마의 제국주의(帝國主義)
유대교와 헬레니즘과 함께 기독교에 큰 영향을 준 것은 로마의 제국주의이다. 특히 그들의 법률과 모든 제도는 초대 敎會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당시의 건축 양식이나 음악 같은 예술은 중세기에 그 꽃을 피우기까지 계속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그뿐 아니라 로마의 세계적인 통일은 온 세계를 한 이웃으로 만들어 주었다. 즉 세계의 평화와 교통의 편리,언 어의 통일은 기독교의 福音을 전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지금까지 우리는 기독교에 큰 영향을 준 3대 요소, 즉 유대교와 헬레니즘과 로마의 제국주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런데 역설적인 사실은 이 세 요소가 기독교 발생에 큰 영향을 주었으면서도 두고두고 기독교의 원수가 되어온 사실이다. 이것은 역사의 아이러니이다. 그래서 敎會는 오랫동안 이 세 문화적 공해(公害)를 제거하기 위하여 몸부림쳐 온 것이다.
끝으로 우리는 新約성경을 기록한 언어(코이네:κοινη) 헬라어에 대하여 잠간 생각해 보고자 한다. 본래 (코이네:κοινη)란 뜻은 (일반적인:common)이란 말이다. 이 언어는 300 B.C.에서 A.D.500까지 사용된 말이다. 헬라어에는 고전 헬라어와 일반 헬라어 두 종류가 있었는데 코이네 헬라어는 알렉산더 대왕이 세계를 정복한 후 통용시킨 말이다.
본래 이 코이네 헬라어는 고전 헬라어에 비해 누구나 읽고 이해하기 쉬운 글로 알렉산더가 문화의 교류와 정신세계의 통일을 위해 보급했지만 그러나 그것이 福音을 전 세계에 보급하는데 사용될 줄은 알렉산더 자신도 몰랐을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하나님의 섭리는 너무도 깊고 넓어 아무도 측량할 수 없음을 본다.
◈ 유다전쟁이란 무엇인가?
주후 44년부터 64년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로마군인들에 의해서 유대인들이 살상당하는 등의 탄압이 심해지자 주후 66년 유다의 과격파 열심당이 마사다 요새를 점령함으로써 유다 전쟁이 발단되엇다. 이들은 예루살렘으로 진군했고 예루살렘에서도 반란이 일어나 예루살렘의 로마군이 항복하고 말았다. 로마황제는 반란군을 진압하도록 명하였고, 66년에 예루살렘을 고립시키고 마케루스,헤로디움, 마사다 3요새를 제외한 유다 전토를 진압했다. 로마정변으로 더이상 공격을 진행시키지 못하다가 70년봄에 로마군이 재공격을 시작했다.
예루살렘을 포위공격을 계속하여 결국 8월 29일 성전도 함락되고, 열심당원을 중심으로 헤롯 궁전에서 최후의 저항을 했으나 9월 26일 전 시가지는 로마 군의 손에 함락되었다. 헤롯이 세운 3탑과 로마군단의 진지를 방위하는 서측 성벽(통곡의 벽)을 제하고는 전 시가를 파괴하여 초토화되었다. 이 포위공격으로 인한 전사자는 110만, 포로 9만 7천에 해당하는 처참한 전쟁이었다. 72년에 마케루스와 헤로디움이 점령되었고, 주후 73년에 마사다가 점령되었다. 마사다는 포위당하자 항복직전에 960명의 남녀노소가 타살 형식의 자살을 했다. 이로써 1차 유다 전쟁은 종결되었고 이후에 유대인은 실질적으로 조국을 상실하여 전세계를 향하여 흩어져야 하는 운명에 처하였다.
제 2차 유다 전쟁은 성전 멸망과 함께 직무가 폐지된 대제사장의 대신으로 랍비라는 율법 교사가 민중의 지도자가 되었다. 130년에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유대인의 열렬한 민족주의적 사상을 탄압하고자 반유대교의 법령을 반포하여 안식일과 할례의 의식준수를 금지했다. 이것이 전쟁(132-135)의 도화선이 되었다. 반란 최초에는 로마군의 거점을 점령하고 예루살렘을 회복하여 3년간 다시 조국 예루살렘을 수도 겸 종교적 중심지로 하는 독립국가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시 로마군에 의해 함락 되었고(135),남아있는 성벽과 건물을 파괴당하고 예루살렘은 엘리아 카피톨리나라는 로마도시로 불리웠다. 이 이교 도시는 콘티탄티누스 대제가 기원 313년 밀라노 칙령에 의해 그리스도교를 공인할 때까지 200년간 존속되었다. 137년 이후 유대인들은 예루살렘에 들어오는 것이 금지되었고 이후에 디아스포라 시대가 시작되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10.20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57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