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참고자료
※설 문 지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참고자료
※설 문 지
본문내용
회질서의 기본으로 보는 성역할불변론의 입장, 가정과 사회의 변화와 그에 따른 혼란을 '서구지향적 사조'의 탓으로 돌리고 페미니즘을 이런 것의 유행의 하나로 치부하는 반동적입장 등을 주목할 수 있다. 이것은 여성과 남성의 관계를 제로섬 게임의 원리로 파악하는 것이다. 즉 기존의 성불평등적 사회질서에 도전한다는 것은 남성의 권리를 빼앗아가는 만큼의 여성의 몫을 늘리는 상호적대성이 존재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성해방론은 기본적으로 여성해방과 남성해방을 함께 추구하는 입장이다. 페미니즘은 성불평등한 사회가 여성만이 아니라 남성도 함께 억압한다는 인식하에서 양성을 함께 성불평등 사회로부터 해방시킨다는 입장을 견지하는 것이다.(이영자,1998) 그러므로, 남성에게도 성차별에 따른 짐이 지워지고 있고, 성차별 문제를 양성 평등적인 관점에서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황성철, 1997 ;송하일, 2007 재인용 : 11 ) 또, 송하일(2007)은 절대적 평등을 외치지 말고 상대적 평등을 주장해야 한다고 말했다.(송하일, 2007) <페미니즘에 대한 남성학과 남성운동>에서는 젠더(gender)운동이라 명명하며, 여성운동과 더불어 남성운동이 인간을 위한 젠더운동으로 승화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사사키 마사노리 외 3명,2007,페미니즘에 대한 남성학과 남성운동, p.4
또한, (김용화,2006)은 평등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성 인지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성 인지적 (gender-sensitive)관점이란 여성이 남성과 다른 욕구를 가지고 있다고 보면서 여성 특유의 경험과 욕구를 반영하며 특정한 정책이나 법이 여성 또는 남성에게 상대적으로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지 또는 성 역할 고정관념이 개입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고찰하는 관점을 말한다.(김용화, 2006 : 70)
이에 대해 조금 더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이는 위에 첨부한 학내 성희롱 기사 중 일부를 참고한 것이다. 대학교 내 남성차별의 원인을 대학 당국의 미흡한 조치로 꼽고 있다. 서울 A대학 경제학과 K씨(22)는 “최근에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때부터 남성과 여성 사이에 지켜야 할 성예절을 교육시킨다고 들었다. 그러나 입학 이후에는 실질적인 수업이나 교양 강좌, 세미나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한 편”이라고 지적 공현정 대학생 명예기자,(2010-02-16),낯부끄러운줄 모르는 학내 성희롱,파이낸셜 뉴스
하면서, 실질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성과 관련된 인식의 개선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 대학교에서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부터 성예절을 교육시키는지 몰라도 우리 학교에는 그런 프로그램이 거의 없다. 학교 홈페이지를 자주 들어가서 봐도 이와 관련된 강좌나 세미나가 있는 것을 자주 보지는 못했다. 가끔 연애특강 같이 남녀에 관한 특강은 있어도 성차별이나 성희롱 같은 주제의 것은 찾기 힘들었다. 전에 한 번 여성학을 연구하는 강사님의 성교육을 들은 적이 있는데, 이는 거의 중,고등학교 때 받은 성교육 보다 한 단계 나아간 것일 뿐이었다.
B대학에 재학 중인 박모씨(22)도 “교내 성교육을 담당하는 양성평등센터가 다양한 행사와 교육을 진행하고 있긴 하지만 의무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저조하다”며 “보다 많은 참여를 이끌기 위해서는 교육을 학점으로 공식 인정해주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 공현정 대학생 명예기자,(2010-02-16),낯부끄러운줄 모르는 학내 성희롱,파이낸셜 뉴스
하였다.
위의 기사의 내용처럼 실제 대학교 내 일어나는 성차별의 경우 필자의 조사에 따르면 시설이나 현물적인 문제이기 보다는 신체적, 언어적 성희롱이나 성추행에 의한 것이 많아 그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서는 남성 차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겪고 있는 차별에 관해 심각성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 참고문헌
김용화(2006), 성 인지적 관점에서 바라본 성평등 실현에 관한 연구 11-70,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민현식(1995), 국어의 여성어 연구, <아세아여성연구> 34, 숙명여대 아세아 여성문제연구소.
송하일(2007), 성차이어와 성차별어에 관한 고찰,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여정권, 이창섭, 남상우(2007), 중학교 혼성체육수업에서 남학생들이 인식하는 역차별 사례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0.No.1 29
이영자(1998), 남성의 성 역차별에 관한 논쟁(남성해방으로서 여성해방), 가톨릭대학교 성평등연구소 Vol.2 No.- 168-171
이익섭(1994), <사회언어학>, 믿음사
사사키 마사노리, 이재택, 정채기, 한지환 공저(2007), <페미니즘에 대한 남성학과 남성운동>, 원미사
한정자(2001), 직장내 성차별 문화와 여성정책 효과에 관한 연구 20,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참고자료
1. 이은지 기자, (2010-01-25) ,‘여자 허벅지만 소중하냐1 남자 허벅지도 지켜줘라!’ 베컴-민호-데니안 ,티브이 데일리 뉴스
http://www.tvdaily.co.kr/read.php3?aid=126440516740848002
2. 공현정 대학생 명예기자,(2010-02-16),낯부끄러운줄 모르는 학내 성희롱,파이낸셜 뉴스
http://www.fnnews.com/view?ra=Sent1501m_View&corp=fnnews&arcid=0921901576&cDateYear=2010&cDateMonth=02&cDateDay=16
3. 양선희 기자, (2010-02-22),[노트북을 열며] 남성들, 소외를 말하다, 중앙일보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4023031
※ 설문지
1. 당신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① 남성 ② 여성
2. 당신은 대학 내 성차별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까?
① 네 ② 아니오
3. 만약 존재한다고 생각하면, 생각나는 대로 써 주세요.
4. 만약 없다고 생각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써 주세요.
설문지에 응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또한, (김용화,2006)은 평등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성 인지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성 인지적 (gender-sensitive)관점이란 여성이 남성과 다른 욕구를 가지고 있다고 보면서 여성 특유의 경험과 욕구를 반영하며 특정한 정책이나 법이 여성 또는 남성에게 상대적으로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지 또는 성 역할 고정관념이 개입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고찰하는 관점을 말한다.(김용화, 2006 : 70)
이에 대해 조금 더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이는 위에 첨부한 학내 성희롱 기사 중 일부를 참고한 것이다. 대학교 내 남성차별의 원인을 대학 당국의 미흡한 조치로 꼽고 있다. 서울 A대학 경제학과 K씨(22)는 “최근에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때부터 남성과 여성 사이에 지켜야 할 성예절을 교육시킨다고 들었다. 그러나 입학 이후에는 실질적인 수업이나 교양 강좌, 세미나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한 편”이라고 지적 공현정 대학생 명예기자,(2010-02-16),낯부끄러운줄 모르는 학내 성희롱,파이낸셜 뉴스
하면서, 실질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성과 관련된 인식의 개선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 대학교에서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부터 성예절을 교육시키는지 몰라도 우리 학교에는 그런 프로그램이 거의 없다. 학교 홈페이지를 자주 들어가서 봐도 이와 관련된 강좌나 세미나가 있는 것을 자주 보지는 못했다. 가끔 연애특강 같이 남녀에 관한 특강은 있어도 성차별이나 성희롱 같은 주제의 것은 찾기 힘들었다. 전에 한 번 여성학을 연구하는 강사님의 성교육을 들은 적이 있는데, 이는 거의 중,고등학교 때 받은 성교육 보다 한 단계 나아간 것일 뿐이었다.
B대학에 재학 중인 박모씨(22)도 “교내 성교육을 담당하는 양성평등센터가 다양한 행사와 교육을 진행하고 있긴 하지만 의무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저조하다”며 “보다 많은 참여를 이끌기 위해서는 교육을 학점으로 공식 인정해주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 공현정 대학생 명예기자,(2010-02-16),낯부끄러운줄 모르는 학내 성희롱,파이낸셜 뉴스
하였다.
위의 기사의 내용처럼 실제 대학교 내 일어나는 성차별의 경우 필자의 조사에 따르면 시설이나 현물적인 문제이기 보다는 신체적, 언어적 성희롱이나 성추행에 의한 것이 많아 그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서는 남성 차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겪고 있는 차별에 관해 심각성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 참고문헌
김용화(2006), 성 인지적 관점에서 바라본 성평등 실현에 관한 연구 11-70,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민현식(1995), 국어의 여성어 연구, <아세아여성연구> 34, 숙명여대 아세아 여성문제연구소.
송하일(2007), 성차이어와 성차별어에 관한 고찰,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여정권, 이창섭, 남상우(2007), 중학교 혼성체육수업에서 남학생들이 인식하는 역차별 사례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0.No.1 29
이영자(1998), 남성의 성 역차별에 관한 논쟁(남성해방으로서 여성해방), 가톨릭대학교 성평등연구소 Vol.2 No.- 168-171
이익섭(1994), <사회언어학>, 믿음사
사사키 마사노리, 이재택, 정채기, 한지환 공저(2007), <페미니즘에 대한 남성학과 남성운동>, 원미사
한정자(2001), 직장내 성차별 문화와 여성정책 효과에 관한 연구 20,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참고자료
1. 이은지 기자, (2010-01-25) ,‘여자 허벅지만 소중하냐1 남자 허벅지도 지켜줘라!’ 베컴-민호-데니안 ,티브이 데일리 뉴스
http://www.tvdaily.co.kr/read.php3?aid=126440516740848002
2. 공현정 대학생 명예기자,(2010-02-16),낯부끄러운줄 모르는 학내 성희롱,파이낸셜 뉴스
http://www.fnnews.com/view?ra=Sent1501m_View&corp=fnnews&arcid=0921901576&cDateYear=2010&cDateMonth=02&cDateDay=16
3. 양선희 기자, (2010-02-22),[노트북을 열며] 남성들, 소외를 말하다, 중앙일보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4023031
※ 설문지
1. 당신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① 남성 ② 여성
2. 당신은 대학 내 성차별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까?
① 네 ② 아니오
3. 만약 존재한다고 생각하면, 생각나는 대로 써 주세요.
4. 만약 없다고 생각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써 주세요.
설문지에 응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남성의 7가지 콤플렉스
여성학_여성_남성
남성복 패션 스타일의 이해
남성과 여성의 차이
남성의 군대경험이 남.여성에게 주는 사회적 의미의 차이
남성과 여성의 언어
남성화장품 ‘꽃을든남자’ 마케팅 전략분석과 꽃을든남자 마켓쉐어 확대위한 전략제안
[결혼과 가족] 남성중심의 성문화가 남성에게 주는 이득과 손해가 무엇인지를 서술해보자 (성...
[성사랑사회 E형]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억압적인만큼, 남성을 여성보다 우월한 존재로 여...
(사회문제론 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사회문제론 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사회문제론 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보건교육B형) 중년 여성 남성의 운동증진교육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 적용 학습지도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