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6. 키신저의 국제정치론에 대해 약술하시오.
17. Kant의 평화론을 논하시오.
18. 전통적 현실주의와 신현실주의간의 관계를 논하라.
19. 신제도주의 혹은 자유주의적 제도주의를 논하시오.
20. 고전적 접근번(영국학파)를 약술하고 자유주의 및 현실주의와 비교 평가하라.
17. Kant의 평화론을 논하시오.
18. 전통적 현실주의와 신현실주의간의 관계를 논하라.
19. 신제도주의 혹은 자유주의적 제도주의를 논하시오.
20. 고전적 접근번(영국학파)를 약술하고 자유주의 및 현실주의와 비교 평가하라.
본문내용
잘 연결만 시켜주고 관계만 형성되게 되면 평화로울 수 있다. 반면에 사람은 본래 악하다는 관점에서 보면 약육강식의 정글의 법칙과 유사하게 힘이 지배하며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억압하는 힘이 지배하며 그들 사이에는 평화로울 수 없으며 평화롭기 위해서는 강한자의 억압에 의한 강제적 평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점은 오늘날 국제정치 현상을 바라보는 데도 서로 다른 관점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이중하나가 이상주이이며 또 하나는 현실주의이다.
이상주의는 평화로운 세계질서의 구현이란 이상의 실현을 위해 인간의 근본적인 선에 기초해서 국제적인 문제를 국제법과 제도를 가지고 해결할 수 있다는 관점이며 현실주의는 이상주의와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힘의 논리에 의한 국제문제 해결과 국가이익을 위한 국가체제구조 등을 강조한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현실주의와 이상주의사이의 존재하는 시각 차이를 비교하면서 서술하고자 한다. 먼저 기본적 가정은 현실주의는 인간의 본성은 악하며 권력 추구적 존재이며 국가는 그러한 인간성을 소유하고 있으며 본질적으로 국가이익을 추구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에 반에 이상주의는 인간의 이성에 대해 신뢰하며 영토 국가체계를 대체할 초국가적 제도의 창출을 목표로 하며 '여론'이라는 세계법정에 대한 확신이 있다.
1) 현실주의 - 홉스의 자연상태
현실주의자들에게 국제체제는 주권국가들로 구성된 체제이며, 그 속성은 홉스적 자연상태 즉, 전쟁상태라고 가정한다.(비록 전쟁이 직접적으로 일어나지 않을지라도 , 하늘이 계속 흐린것 처럼 항상 긴장상태에 놓여 있는 것 같은) 따라서, 모든 국가들은 일차적으로 생존을 위해 경쟁하며, 생존을 위한 힘의 증강이 국가의 최고 목표라고 본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공식적으로 탄생했고, 그 체제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고 본다.
2) 자유주의 - 복합적 상호의존체
자유주의자들은 국가의 상태를 무정부상태가 아닌 다양한 제도, 규범에 의해 특정 질서가 존재한다는 견해도 있고, 무정부 체제이나 그 속성이 현실주의(긴장된 전쟁상태)와는 구별이 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예컨데, 상호의존론자들은 국제체제는 다양한 행위자들이 다양한 이슈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계가 형성되어 나름대로의 질서가 유지되고 있는 '복합적 상호의존체제'라고 본다. 한편, 신자유제도주의자들은 국제체제가 국가들에 의해 형성된 무정부체제이나 홉스적 자연상태가 아니라 단순히 중앙정부가 없는 체제일 따름이라고 본다.
이상주의는 평화로운 세계질서의 구현이란 이상의 실현을 위해 인간의 근본적인 선에 기초해서 국제적인 문제를 국제법과 제도를 가지고 해결할 수 있다는 관점이며 현실주의는 이상주의와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힘의 논리에 의한 국제문제 해결과 국가이익을 위한 국가체제구조 등을 강조한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현실주의와 이상주의사이의 존재하는 시각 차이를 비교하면서 서술하고자 한다. 먼저 기본적 가정은 현실주의는 인간의 본성은 악하며 권력 추구적 존재이며 국가는 그러한 인간성을 소유하고 있으며 본질적으로 국가이익을 추구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에 반에 이상주의는 인간의 이성에 대해 신뢰하며 영토 국가체계를 대체할 초국가적 제도의 창출을 목표로 하며 '여론'이라는 세계법정에 대한 확신이 있다.
1) 현실주의 - 홉스의 자연상태
현실주의자들에게 국제체제는 주권국가들로 구성된 체제이며, 그 속성은 홉스적 자연상태 즉, 전쟁상태라고 가정한다.(비록 전쟁이 직접적으로 일어나지 않을지라도 , 하늘이 계속 흐린것 처럼 항상 긴장상태에 놓여 있는 것 같은) 따라서, 모든 국가들은 일차적으로 생존을 위해 경쟁하며, 생존을 위한 힘의 증강이 국가의 최고 목표라고 본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공식적으로 탄생했고, 그 체제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고 본다.
2) 자유주의 - 복합적 상호의존체
자유주의자들은 국가의 상태를 무정부상태가 아닌 다양한 제도, 규범에 의해 특정 질서가 존재한다는 견해도 있고, 무정부 체제이나 그 속성이 현실주의(긴장된 전쟁상태)와는 구별이 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예컨데, 상호의존론자들은 국제체제는 다양한 행위자들이 다양한 이슈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계가 형성되어 나름대로의 질서가 유지되고 있는 '복합적 상호의존체제'라고 본다. 한편, 신자유제도주의자들은 국제체제가 국가들에 의해 형성된 무정부체제이나 홉스적 자연상태가 아니라 단순히 중앙정부가 없는 체제일 따름이라고 본다.
추천자료
행정학의 접근방법
21세기에 노동법 발전방향
[스포츠][윤리][스포츠와 윤리][스포츠와 철학][스포츠와 양명철학][스포츠의 도덕적 접근]윤...
일기쓰기지도(학습, 수업)방법, 동시쓰기지도(학습, 수업)방법, 주의력결핍아동지도(학습, 수...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공정거래법)과 도입배경, 지주회사금지제도, 독점규제및공정거...
보육이론의 이해( 정신분석, 행동주의, 성숙주의, 구성주의)
교육사회학 접근이론
[사회적 촉진] 사회적 촉진이론 (단순존재이론, 평가염려이론, 주의분산갈등이론, 중재적각성...
교육심리학-학습의_ 행동주의적_접근
[성매매특별법 찬반]성매매특별법의 찬반론, 찬성과 반대의견 분석
인간人間과심리1공통)1. 심리학의 주요 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
[성매매특별법반대] 성매매특별법의 위헌여부와 폐지되어야 할 이유 ; 성매매특별법이 나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