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각장애
2. 지각장애의 유형
참고문헌
2. 지각장애의 유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갖는 행동감각의 중심이고, 신변세계와 관련을 중심이다. 신체도식은 자신의 신체에 대한 통합된 주관적 관념이라 할 수 있다. 정상아는 유유아기로부터 시각, 청각, 피부감각 등 여러 감각기관의 발달과 이들 감각의 통합으로 여러 가지 감각-운동적 활동을 기반으로 신체도식이 형성되어 간다. 신체도식을 통해 자기신체의 각 부위를 발견하고, 또 자기 신체를 기준으로 앞, 뒤, 위, 아래, 오른쪽, 왼쪽의 관계를 발견한다. 한층 더 나아가 자기와 타인, 물건간의 관계를 알 수 있는 것도 신체도식에 의해서이다. 이렇게 하여 우리는 자신의 신체부위의 정확한 위치나 작용을 도식화하고 또 주변환경을 조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도식 장애를 가지면 자기개념의 확립은 물론 앞으로 정신발달이나 적응에도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신체도식장애의 원인은 감각의 입력과정, 감각의 통합과정, 감각-운동회로 등의 기능부전을 생각할 수 있다. 시각장애아동은 신체의 부분적 혹은 전체적인 상을 인지하는 일, 자신과 주위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일이 곤란하기 때문에 신체도식의 형성에 지체나 이상이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다. 뇌성마비나 외인성 정신지체아는 자신의 신체부위를 지적하는데 곤란함이 있고, 신체부위의 위치나 작용을 인지하는데 곤란이 있다. 자폐아동은 뇌손상 특유의 신체도식을 보인다. 자폐아동은 자기의 확립, 자신과 환경과의 관계에 확립에 혼란상태를 보이는 것은 신체도식의 장애에 의한 것이다.
참고문헌
전헌선외, 중복 지체부자유아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2003
이규식, 송영혜, 국미경, 강수균, 감각훈련, 대구대학교출판부, 1994
참고문헌
전헌선외, 중복 지체부자유아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2003
이규식, 송영혜, 국미경, 강수균, 감각훈련, 대구대학교출판부, 1994
추천자료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
[특수교육]감각장애아(청각및시각장애)의 이해와 교육적 방법
학습장애
각 영역별 검사도구 요약표 (지능, 언어, 학습, 정서 및 행동, 지각 및 운동, 적응행동, 영유...
[지각장애][지각훈련][지각능력][지각학습훈련][장애인]지각장애의 개념, 지각훈련의 개념, ...
[지각운동]뇌성마비아(뇌성마비장애인)의 지각운동, 정신지체아(정신지체장애인)의 지각운동,...
정신지체아(지적장애아동) 의미와 특징, 정신지체아(지적장애아동) 사회성, 정신지체아(지적...
[대인지각과 문화] 지각과 대인평가에 있어서의 문화적 장애요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