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탄수화물이란?
정의와 분류
탄수화물의 종류
1) 단당류 탄수화물(단순당)
2) 다당류 탄수화물 - 복합 탄수화물
3) 이당류 (단순당 + 단순당)
본론
1.인체의 연료로써 탄수화물의 중요성
2. 운동시 탄수화물섭취의 중요성
⊚ 운동 전-후 탄수화물의 필요성과 효과
탄수화물이란?
정의와 분류
탄수화물의 종류
1) 단당류 탄수화물(단순당)
2) 다당류 탄수화물 - 복합 탄수화물
3) 이당류 (단순당 + 단순당)
본론
1.인체의 연료로써 탄수화물의 중요성
2. 운동시 탄수화물섭취의 중요성
⊚ 운동 전-후 탄수화물의 필요성과 효과
본문내용
가 ATP-PCr 시스템의 지속시간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고 한다. 근육 내에 PCr의 고갈로 인해 근육은 근글리코겐을 분해 시켜 해당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하게 한다. PCr보다는 많은 양의 글리코겐이 근육 내에 저장되어 있지만 장시간의 운동을 하기에는 충분한 양의 글리코겐이 근육에 저장되어 있지는 않다. 하지만 보디빌더와 같은 근력운동을 수행해 내기에는 충분하다. 또한 근력 운동을 하게 되면 근그리코겐의 저장능력도 증가하게 되어 근력 운동을 많이 한 사람들이 보다 높은 근글리코겐 함량을 보유하게 된다. 따라서 근력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근육의 비대를 위해 단백질의 섭취도 중요하지만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탄수화물의 섭취도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충분한 탄수화물의 섭취가 부족하게 되면 근력운동에 필요한, 특히 무산소 환경에서의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근육 내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해당과정의 중간 생성물로 변환시켜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것은 근육 성장을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치명적인 것이 아닐 수 없다.
지속적이고 장시간을 수행하는 운동 유형의 대부분은 운동 초기에는 역시 ATP-PCr과 무산소 해당과정을 사용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근글리코겐 또는 혈당과 지방의 사용이 증가하게 된다. 앞에서 언급했다시피 유산소 시스템은 산소의 충분한 공급으로 인해 더 많은 에너지를 발생하게 되는데 운동강도와 운동시간에 따라 어떤 에너지원이 사용되는가를 결정하게 된다. 특히 근육 내의 중성지방은 중저강도로 장시간을 운동할 경우에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또한 고강도 장시간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면 이 역시 탄수화물의 보충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마라톤과 같이 고강도의 장시간 운동은 주 에너지원으로 근글리코겐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되고 근육 내 지방도 어느 정도 에너지원으로 서 기여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은 탄수화물이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근력운동이나 장시간의 유산소 운동 모두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은 탄수화물이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근력운동과 같이 근육을 비대하게 만드는 운동은 단백질 섭취의 중요성을 많이 부각시켜 상대적으로 탄수화물의 중요성이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탄수화물의 섭취 시기와 섭취량을 고려하여 보충한다면 근력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해 줄 뿐만 아니라 단백질 절약 효과를 가져와 근육 증가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운동 전-후 탄수화물의 필요성과 효과
운동 전-후, 그리고 운동하는 동안 탄수화물 흡수 조절은 근육과 간 글리코겐 저장량을 최적으로 함으로써 또는 혈당의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훈련 시 근육의 효과적인 수축을 위한 에너지를 제공함으로 빼놓아서는 안 되는 요소이다.
①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은 총 칼로리의 55~70%의 탄수화물을 섭취해야 한다.
②운동하기 2~3시간 전에 섭취하는 탄수화물은 지구력을 향상시킨다.
③운동을 시작한지 1시간 내에 탄수화물 섭취가 트레이닝을 향상시킨다.
④운동 전 음식섭취는 kg당 1~5g의 탄수화물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⑤탄수화물 과보충은 90분 이상 지속되는 운동을 하는 사람들의 지구력을 향상시킨다.
⑥운동시 최소한 45~60g의 탄수화물 섭취가 피로를 연기시킬 수 있고 혈당 이용성을 최상으로 해 줌으로써 지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⑦운동시 포도당은 빠른 속도로 흡수하기 때문에 상당히 이로우나, 과당은 비교적 느린 흡수력과 주로 간에서 대사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에 선호하는 탄수화물이 아니다.
⑧운동 후 곧 탄수화물을 섭취하고, 운동후 최초 6시간 동안 2시간마다 kg당 0.7~1.5g의 포도당을 소비하고, 운동 후 24시간 동안 약 600g의 탄수화물을 섭취할 때 최대의 글리 코겐 을 우리몸에서 만들 수 있다.
⑨운동후 포도당의 섭취는 간 글리코겐 보다 많은 근육 글리코겐을 합성하고, 과당은 근육 글리코겐보다 많은 간 글리코겐을 합성한다.
⑩운동후 탄수화물의 섭취는 글리코겐 재합성을 촉진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 참 고 문 헌 -
조성숙,스포츠영양학(스포츠 전문가를 위한 지침서),도서출판효일
2002.07.20
현송자,스포츠영양학,도서출판태근,2004.08.25
이명천외8名,운동영양학길라잡이,라이프사이언스,
참고사이트
http://blog.naver.com/neobarabbas?Redirect=Log&logNo=700154127
충분한 탄수화물의 섭취가 부족하게 되면 근력운동에 필요한, 특히 무산소 환경에서의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근육 내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해당과정의 중간 생성물로 변환시켜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것은 근육 성장을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치명적인 것이 아닐 수 없다.
지속적이고 장시간을 수행하는 운동 유형의 대부분은 운동 초기에는 역시 ATP-PCr과 무산소 해당과정을 사용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근글리코겐 또는 혈당과 지방의 사용이 증가하게 된다. 앞에서 언급했다시피 유산소 시스템은 산소의 충분한 공급으로 인해 더 많은 에너지를 발생하게 되는데 운동강도와 운동시간에 따라 어떤 에너지원이 사용되는가를 결정하게 된다. 특히 근육 내의 중성지방은 중저강도로 장시간을 운동할 경우에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또한 고강도 장시간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면 이 역시 탄수화물의 보충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마라톤과 같이 고강도의 장시간 운동은 주 에너지원으로 근글리코겐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되고 근육 내 지방도 어느 정도 에너지원으로 서 기여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은 탄수화물이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근력운동이나 장시간의 유산소 운동 모두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은 탄수화물이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근력운동과 같이 근육을 비대하게 만드는 운동은 단백질 섭취의 중요성을 많이 부각시켜 상대적으로 탄수화물의 중요성이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탄수화물의 섭취 시기와 섭취량을 고려하여 보충한다면 근력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해 줄 뿐만 아니라 단백질 절약 효과를 가져와 근육 증가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운동 전-후 탄수화물의 필요성과 효과
운동 전-후, 그리고 운동하는 동안 탄수화물 흡수 조절은 근육과 간 글리코겐 저장량을 최적으로 함으로써 또는 혈당의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훈련 시 근육의 효과적인 수축을 위한 에너지를 제공함으로 빼놓아서는 안 되는 요소이다.
①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은 총 칼로리의 55~70%의 탄수화물을 섭취해야 한다.
②운동하기 2~3시간 전에 섭취하는 탄수화물은 지구력을 향상시킨다.
③운동을 시작한지 1시간 내에 탄수화물 섭취가 트레이닝을 향상시킨다.
④운동 전 음식섭취는 kg당 1~5g의 탄수화물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⑤탄수화물 과보충은 90분 이상 지속되는 운동을 하는 사람들의 지구력을 향상시킨다.
⑥운동시 최소한 45~60g의 탄수화물 섭취가 피로를 연기시킬 수 있고 혈당 이용성을 최상으로 해 줌으로써 지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⑦운동시 포도당은 빠른 속도로 흡수하기 때문에 상당히 이로우나, 과당은 비교적 느린 흡수력과 주로 간에서 대사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에 선호하는 탄수화물이 아니다.
⑧운동 후 곧 탄수화물을 섭취하고, 운동후 최초 6시간 동안 2시간마다 kg당 0.7~1.5g의 포도당을 소비하고, 운동 후 24시간 동안 약 600g의 탄수화물을 섭취할 때 최대의 글리 코겐 을 우리몸에서 만들 수 있다.
⑨운동후 포도당의 섭취는 간 글리코겐 보다 많은 근육 글리코겐을 합성하고, 과당은 근육 글리코겐보다 많은 간 글리코겐을 합성한다.
⑩운동후 탄수화물의 섭취는 글리코겐 재합성을 촉진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 참 고 문 헌 -
조성숙,스포츠영양학(스포츠 전문가를 위한 지침서),도서출판효일
2002.07.20
현송자,스포츠영양학,도서출판태근,2004.08.25
이명천외8名,운동영양학길라잡이,라이프사이언스,
참고사이트
http://blog.naver.com/neobarabbas?Redirect=Log&logNo=700154127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 몸속에 일어나는 생화학 반응
보디빌딩에 관련한 영양과 보충제 및 크레아틴이 경기력의 향상에 관한 영양 프로그램
(생물)세포의 분자구성 과 산과 염기
유아기 건강관리
곡류의 분류와 영양학적 특징 및 저장관리
성인병을 잡아라 -당뇨병-
광합성 &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지구를 살리는 7가지 불가사의한 물건들
운동처방 (영양학)
2014년 2학기 운동과영양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운동과영양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비만예방] 비만의 정의와 분류, 비만의 원인과 증상, 비만판정법(비만판정방법)
2016년 2학기 운동과영양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운동과영양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