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비만 예방
I. 에너지 대사
1. 식품 에너지와 인체이용 에너지
A. 식품에너지 측정
B. 인체에너지 대사량 측정
2. 인체의 에너지 요구량
A. 기초대사량(BMR)
B. 활동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TEE)
C. 식품 이용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TEF)
D. 적응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AT)
3. 에너지 균형
II. 비만의 정의
III. 비만의 분류
1. 원인에 따른 분류
2. 지방조직의 형태에 의한 분류
3. 지방분포 부위에 따른 분류
IV. 비만의 원인
1. 유전
2. 내분비 및 대사장애
3. 정신 및 신경인자
4. 환경인자
5. 섭취에너지와 소비
6. 식사습관
V. 치내 에너지 사용
1. 기초대사량
2. 활동에 의한 에너지소모량
3. 식품 이용을 위한 에너지소모량
4. 적응 대사량
VI. 비만판정법
1. 표준체중표
2. 체격지수에 의한 비만의 판정
3. 피하지방 두께 측정법
* 참고문헌
I. 에너지 대사
1. 식품 에너지와 인체이용 에너지
A. 식품에너지 측정
B. 인체에너지 대사량 측정
2. 인체의 에너지 요구량
A. 기초대사량(BMR)
B. 활동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TEE)
C. 식품 이용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TEF)
D. 적응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AT)
3. 에너지 균형
II. 비만의 정의
III. 비만의 분류
1. 원인에 따른 분류
2. 지방조직의 형태에 의한 분류
3. 지방분포 부위에 따른 분류
IV. 비만의 원인
1. 유전
2. 내분비 및 대사장애
3. 정신 및 신경인자
4. 환경인자
5. 섭취에너지와 소비
6. 식사습관
V. 치내 에너지 사용
1. 기초대사량
2. 활동에 의한 에너지소모량
3. 식품 이용을 위한 에너지소모량
4. 적응 대사량
VI. 비만판정법
1. 표준체중표
2. 체격지수에 의한 비만의 판정
3. 피하지방 두께 측정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드나, 섭취량은 요구량의 감소에 비하면 얼마 줄지 않아서 비만이 일어나기가 쉬워졌다.
5. 섭취에너지와 소비
신체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은 'energy balance'와 관계되는데, 에너지 평형은 음식을 통해 섭취한 에너지량과 신체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모한 에너지량을 비교함으로써 계산된다.
섭취한 에너지량과 소모한 에너지량이 같다면 에너지 평형상태에 있다고 하는데, 이 에너지 상태가 평형을 잃게 되면 체중에 변화가 생긴다. 섭취한 에너지의 양이 많을 때 체내에 남은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이 된다. 반대로 소모한 에너지량이 많을 때는 이미 저장된 지방을 사용하여서 체지방량이 줄게 된다.
일반적인 체지방량은 남자는 체중의 15%, 여자는 체중의 25-30%가량이 지방으로 되어 있다. 이 지방은 에너지 저장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 및 단열작용 등의 기능이 있다. 그러나 신체는 생리적으로 필요한 지방량을 훨씬 초과하여 무제한으로 잉여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비만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6. 식사 습관
잘못된 식사습관도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하루에 두세 차례에 걸쳐 폭식을 하는 것이 같은 양이라도 5-6번에 나누어 식사를 할 때보다 더욱 비대해지는 결과를 가져 왔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아침을 거론 후 폭식을 하게 되는 경우와, 또한 저녁에 과식을 하는 것은 비만의 큰 원인이 될 수 있다. 그 외에도 개인의 Leptin, UCP, Lipo protein lipase(LPL) 등의 차이에 의해 비만이 나타날 확률도 크다.
1/ Leptin
16,000 Mr cytokine-like protein으로서, 지방세포에서 분비된다. 에너지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하는데, 에너지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음식의 섭취를 줄인다.
2/ UCP(uncouplina Protein)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 주로 발현되는 단백질로 ATP생성시 필요한 수소이온을 ATP생성 대신 열로 방출한다. 동물은 갈색 지방세포에서 발현되며 체온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CP1, UCP2, UCP3의 3종류가 밝혀져 있고, UCP의 열생산은 자연적으로 에너지 소비를 촉진한다.
V. 체내 에너지 사용
1. 기초대사량
기초대사량이란 아침에 일어나 잠자리에서 쉴 때의 열량 소모량으로 총 열량소비량
의 60-65%를 차지한다. 이러한 기초대사량이 비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섭취하
는 양이 비슷하더라도 기초대사량이 낮은 사람은 높은 사람보다 비만이 될 확률이 높
다. 이러한 기초대사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래와 같다.
A. 체구성 성분
체내에 여러 기관들의 대사는 다른데, 근육, 뇌, 간은 대사가 활발하고, 뼈, 체지방 조
직은 대사활동이 낮다. 그리고 체 근육량이 많은 사람은 체지방이 많은 사람보다 높다.
B. 성별
여자는 지방이 많아 기초대사량이 남자에 비해 10-20% 정도 낮다.
C. 호르몬
부신(epinephrine),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는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킨다.
D. 수면
수면 동안의 열량요구량은 기초대사량에 비해 낮다.
E. 연령
연령이 증가하면 기초대사량이 감소한다. 이는 체중당 근육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85세 근육량은 20-25세 때에 비해 약 75% 정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총열
량 소비는 21% 감소하게 된다.
F. 임신
임신 6-7개월 때 약 20% 증가한다. 따라서 임신시는 비임신시보다 더 많은 에너지
가 요구된다.
G. 영양상태
열량의 섭취가 부족하면 기초대사량이 20-30% 정도 감소한다. 따라서 체중 감량시
에 섭취열량을 줄이게 되면 기초대사량이 줄어들어서 에너지 소비가 더 적어지게 되는
데, 이렇게 기초대사량이 줄어든 상황에서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예전보다 살이 더 많
이 찌게 된다.
H. 체온
제온이 증가하면 기초대사량이 증가된다. 체온이 rc 상승하면 기초대사량이 13%증
가하게 된다.
2. 활동에 의한 에너지 소모량
활동이나 운동에 의해 소모되는 에너지를 발하며, 총 소비열량의 30% 정도에 해당된
다. 또한 이는 개인차가 크다.
3. 식품 이용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
식품을 섭취한 후 체내에서 그 식품의 영양분이 소화, 흡수되고, 대사 및 저장되는데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이를 환산하는 방법은 기초대사량과 활동에 필요한 열량을 더한 값의 약 10%로 한다. 또한 섭취식사의 조성에 따라 에너지 소모량이 달라지는데, 단백질은 상승하고, 지방은 감소한다.
4. 적응 대사량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대사량으로 온도, 스트레스 등의 자율신경 활동 증가에 따라 달라진다. 총열량 소비의 10%이다. 또한 잉여 열량을 섭취했을 때는 잉여 열량을 열로 발산하게 된다. 그리고 대기온도가 내려가면 델림으로 인한 열 발산이 증가한다.
VI. 비만판정법
러만은 체지방이 증가된 상태이며, 골격근이 발달편 과체중파는 구별되는데, 보를 간단히 표준 체중표나 체격지수에 의한 비만판정을 하고 있는데, 더 정확하게는 피하지방두께 측정이나 체지방을 측정이 필요하다.
1. 표준 체중표
A. Broca법
키가 150cm 이하 : 신장(cm)-100=체중
키가 150cm 이상 : (신장(cm)-100) x 0.9=체중
B. 비민도(%)
(측정체중-표준체중) / 표준체중 x 100
2. 체격지수에 의한 비만의 판정
A. Body Mass Index(BMI)
B. Rohrer Index
C. Kaup지수
학령기 전 어린이(출생 후부터 만 5세까지의 어린이)를 위한 지수
3. 피하지방 두께 측정법
체지방을 산출봅이 있는데, 피하지방의 두께를 caliper로 측정하여서 체지방량을 산출한다. 측정부위는 Triceps, Suprailium, Thigh 등이 있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5. 섭취에너지와 소비
신체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은 'energy balance'와 관계되는데, 에너지 평형은 음식을 통해 섭취한 에너지량과 신체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모한 에너지량을 비교함으로써 계산된다.
섭취한 에너지량과 소모한 에너지량이 같다면 에너지 평형상태에 있다고 하는데, 이 에너지 상태가 평형을 잃게 되면 체중에 변화가 생긴다. 섭취한 에너지의 양이 많을 때 체내에 남은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이 된다. 반대로 소모한 에너지량이 많을 때는 이미 저장된 지방을 사용하여서 체지방량이 줄게 된다.
일반적인 체지방량은 남자는 체중의 15%, 여자는 체중의 25-30%가량이 지방으로 되어 있다. 이 지방은 에너지 저장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 및 단열작용 등의 기능이 있다. 그러나 신체는 생리적으로 필요한 지방량을 훨씬 초과하여 무제한으로 잉여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비만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6. 식사 습관
잘못된 식사습관도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하루에 두세 차례에 걸쳐 폭식을 하는 것이 같은 양이라도 5-6번에 나누어 식사를 할 때보다 더욱 비대해지는 결과를 가져 왔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아침을 거론 후 폭식을 하게 되는 경우와, 또한 저녁에 과식을 하는 것은 비만의 큰 원인이 될 수 있다. 그 외에도 개인의 Leptin, UCP, Lipo protein lipase(LPL) 등의 차이에 의해 비만이 나타날 확률도 크다.
1/ Leptin
16,000 Mr cytokine-like protein으로서, 지방세포에서 분비된다. 에너지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하는데, 에너지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음식의 섭취를 줄인다.
2/ UCP(uncouplina Protein)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 주로 발현되는 단백질로 ATP생성시 필요한 수소이온을 ATP생성 대신 열로 방출한다. 동물은 갈색 지방세포에서 발현되며 체온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CP1, UCP2, UCP3의 3종류가 밝혀져 있고, UCP의 열생산은 자연적으로 에너지 소비를 촉진한다.
V. 체내 에너지 사용
1. 기초대사량
기초대사량이란 아침에 일어나 잠자리에서 쉴 때의 열량 소모량으로 총 열량소비량
의 60-65%를 차지한다. 이러한 기초대사량이 비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섭취하
는 양이 비슷하더라도 기초대사량이 낮은 사람은 높은 사람보다 비만이 될 확률이 높
다. 이러한 기초대사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래와 같다.
A. 체구성 성분
체내에 여러 기관들의 대사는 다른데, 근육, 뇌, 간은 대사가 활발하고, 뼈, 체지방 조
직은 대사활동이 낮다. 그리고 체 근육량이 많은 사람은 체지방이 많은 사람보다 높다.
B. 성별
여자는 지방이 많아 기초대사량이 남자에 비해 10-20% 정도 낮다.
C. 호르몬
부신(epinephrine),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는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킨다.
D. 수면
수면 동안의 열량요구량은 기초대사량에 비해 낮다.
E. 연령
연령이 증가하면 기초대사량이 감소한다. 이는 체중당 근육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85세 근육량은 20-25세 때에 비해 약 75% 정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총열
량 소비는 21% 감소하게 된다.
F. 임신
임신 6-7개월 때 약 20% 증가한다. 따라서 임신시는 비임신시보다 더 많은 에너지
가 요구된다.
G. 영양상태
열량의 섭취가 부족하면 기초대사량이 20-30% 정도 감소한다. 따라서 체중 감량시
에 섭취열량을 줄이게 되면 기초대사량이 줄어들어서 에너지 소비가 더 적어지게 되는
데, 이렇게 기초대사량이 줄어든 상황에서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예전보다 살이 더 많
이 찌게 된다.
H. 체온
제온이 증가하면 기초대사량이 증가된다. 체온이 rc 상승하면 기초대사량이 13%증
가하게 된다.
2. 활동에 의한 에너지 소모량
활동이나 운동에 의해 소모되는 에너지를 발하며, 총 소비열량의 30% 정도에 해당된
다. 또한 이는 개인차가 크다.
3. 식품 이용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
식품을 섭취한 후 체내에서 그 식품의 영양분이 소화, 흡수되고, 대사 및 저장되는데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이를 환산하는 방법은 기초대사량과 활동에 필요한 열량을 더한 값의 약 10%로 한다. 또한 섭취식사의 조성에 따라 에너지 소모량이 달라지는데, 단백질은 상승하고, 지방은 감소한다.
4. 적응 대사량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대사량으로 온도, 스트레스 등의 자율신경 활동 증가에 따라 달라진다. 총열량 소비의 10%이다. 또한 잉여 열량을 섭취했을 때는 잉여 열량을 열로 발산하게 된다. 그리고 대기온도가 내려가면 델림으로 인한 열 발산이 증가한다.
VI. 비만판정법
러만은 체지방이 증가된 상태이며, 골격근이 발달편 과체중파는 구별되는데, 보를 간단히 표준 체중표나 체격지수에 의한 비만판정을 하고 있는데, 더 정확하게는 피하지방두께 측정이나 체지방을 측정이 필요하다.
1. 표준 체중표
A. Broca법
키가 150cm 이하 : 신장(cm)-100=체중
키가 150cm 이상 : (신장(cm)-100) x 0.9=체중
B. 비민도(%)
(측정체중-표준체중) / 표준체중 x 100
2. 체격지수에 의한 비만의 판정
A. Body Mass Index(BMI)
B. Rohrer Index
C. Kaup지수
학령기 전 어린이(출생 후부터 만 5세까지의 어린이)를 위한 지수
3. 피하지방 두께 측정법
체지방을 산출봅이 있는데, 피하지방의 두께를 caliper로 측정하여서 체지방량을 산출한다. 측정부위는 Triceps, Suprailium, Thigh 등이 있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