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화 이후 사림의 동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화 이후 사림의 동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사림이란
2. 사화의 배경과 각 사화의 전개
Ⅱ. 본론
1. 16세기 말 사림의 집권부터 붕당의 출현까지
1) 명종~ 선조시기 정치 세력의 재구성과 사림의 정치기반 강화
2) 중앙정계 진출을 통한 신지사류와 기성사류의 대립
2. 사림의 기반
1) 서원
2) 유향소
3) 향약
Ⅲ. 결론

본문내용

통해 그들의 정치적 입지를 확보하고자 했고, 또한 그것을 통해 향촌의 근원적인 교화를 도모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사화이후 사림세력의 집권과정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명종대부터 선조대까지의 정치적 사건과 논의를 통해 사림세력의 집권과정과 정치변화 속에서 사림세력이 보여준 대응을 통해 집권세력으로 성장해 나가는 과정과 그 기반을 확인하였다.
사림이 지속적으로 중앙정계에 진출하고자 했던 이유는 아마도 중앙집권의 강화 때문일 것이다. 향촌자치를 기반으로 하던 재지사족으로서의 사림의 입장에서 수령권의 강화는 직접적으로 자신의 기반의 약화를 가져왔을 것이다. 사림은 그러한 입지의 약화를 막기 위해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지속적으로 자신의 의견-도학정치나 지방의 서원, 유향소에서 형성되는 공론의 중요성을 피력해야 했다. 그리하여 지속적으로 중앙정계에 진출을 시도하였는데 세조때 이후로 성종때는 훈구세력을 견제하기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 등장되기도 하였고 성종대 본격적으로 사림이 등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세력의 등장은 항상 기존세력의 반발을 가져오게 하였고 그것은 이른바 ‘사화’로 나타났다. 사화는 딱히 훈구와 사림의 대립이라는 이분법으로 정리할 수는 없지만 신진세력에 대한 기존세력의 탄압- 주로 사림세력이 화를 입었다. 그러나 이들은 중아에서 제거당하더라도 광범위하게 펼쳐있는 자신들의 향촌 기반- 재지사족을 결집하고 공론을 형성하는 정치적 기구로서의 유향소와 서원을 통해 끊임없이 정계에 진출하였고 마침내 선조 때에 이르러서는 사림정치의 구현이 이루어졌다.
문정왕후 사후 개혁을 하려고 했던 명종이 일찍 죽은 것이나, 사림의 지지에 의해 왕위에 오른 선조의 입장에서는 왕권강화를 위해 사림을 억누를 수 없는 요건이 되었다. 여기에는 왕으로서 정비의 자손이 아니라는 선조의 약점이 크게 작용하기도 했다. 외척이 없었기 때문에 척신세력이 등장할 만한 여건이 충족되지 못했고, 이러한 상황으로 사림은 충분히 크게 성장하여 선조이후로는 정계를 주도하게 된다. 그 기반으로는 지방에 유향소와, 서원, 향약을 두고 있다. 유향소는 재지사족의 공론이 수렴되는 제도적 공간으로서, 서원은 사림문화의 결집지로서, 향약은 지방민의 교화를 위한 규범적 제도로서 기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림도 그 의식수준의 차이로 인해 분열이 일어나 기성사림과 신진사림, 신진사림 중세서도 선배사림과 후배사림으로 나누어지면서 후에 붕당정치가 출현하게 되었다.

키워드

사림,   유향소,   향약,   서원,   사화,   명종,   선조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1.09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1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