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서원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서원의 성립과 발달
1. 서원의 성립배경
2. 서원의 발달

Ⅲ. 서원의 교육활동
1. 교육목표
2. 교육내용
3. 교육방법
4. 서원의 조직

Ⅳ. 맺음말

본문내용

특히, 學問의 발전양상은 性理學을 중심으로 하는 朝鮮 儒學이 서원을 중심으로 꽃을 피웠다해야 할 것이다.
이렇듯 書院에 대한 평가는 政治, 經濟的인 측면만으로 만족해야 할 것이 아니라 하나의 敎育機關으로서 당시 敎育體系의 역학적 구조에서 나타난 소산이면서 전통적인 私學의 맥을 이어 鄕村社會를 敎化하였으며 쇠퇴해 가는 官學을 대신하여 조선족 교육을 진작시키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看過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書院의 敎育史的 意義를 살펴보면 첫째로, 私學의 再興을 들 수 있다. 書院은 朝鮮時代에 나타난 私學이지만 그 私學의 전통은 高麗時代와 三國時代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朝鮮 建國 당시에는 고려말 私學이 官學에 흡수되어 地方에 鄕校를 세우고 전국적으로 유교이념을 보급하여 유교사회의 건설을 촉진하였다. 그리고 朝鮮初期의 地方有志들은 자기 鄕土의 발전을 위해서 鄕校의 설립과 육성에 적극 협조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朝鮮中期에 이르러 官學이 衰退하기 시작하여 官學의 敎育機能이 상실되어 갔다. 그것은 官學이 기존 官僚子弟들의 출세를 위한 도구로 전략되어 감으로 그 자체에 한계성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또한 15세기 후반에는 中央執權的인 王權强化와 支配理念인 儒敎의 보급이 어느 정도 실현된 단계였으므로 官學에 대한 기대가 점점 약화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時期에 私學인 書院이 설립됨으로써 저하된 敎育機能을 담당하고 學風을 刷新하게 된다. 그것은 사학파들이 유학을 內包的, 哲學的으로 탐구하려는 자세를 지녀 기존의 관학파의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경향과 대조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書院의 설립자와 院生들은 본래 관계를 멀리하고 學問에만 몰두하여 출세를 위한 詞章의 學과는 구별되는 經學爲主의 學問을 세우고 인생과 우주의 본질을 탐구하고 자신을 道德的으로 완성시키려는 데 노력을 경주했다. 이러한 書院의 敎育思想은 退溪와 栗谷에 의해 이론화되었다. 특히 퇴계는 正心修身, 爲己之學의 중요성을 역설하여 타인의 평가를 받기 위한 爲人之學이 아니라 自己自身에 존재하는 理를 찾아 자기완성을 목적으로 위기지학 즉 위학을 내세웠다.
둘째로, 書院은 鄕村社會의 敎化라는 敎育的 意義를 갖는다. 官學의 쇠퇴로 인해 향촌에 대한 敎化機能을 맡았던 鄕校의 영향력이 약화되는 시기에 私學인 書院이 창건되기 시작되자 書院은 地方에 위치하는 특수성을 바탕으로 鄕村을 敎化시키는 機能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조정으로서도 官學의 역할을 書院에 부담시키려 했고 書院 스스로 그 역할을 自任하고 나섬으로써 자연적으로 書院이 鄕風醇化라고 할 수 있는 鄕村社會의 敎化機能을 맡았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鄕村의 敎化는 주로 文字와 儀式 및 鄕村의 보급 등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書院은 다시 鄕校가 맡고 있던 道德的 機能을 맡게되고 그에 따라 조정으로부터 庇護를 받았던 것이다.
書院은 地方의 最高知性人들의 모임으로서 地方의 高等敎育機關이면서 地方文化의 중심적 기능을 담당하였다. 조정에서 주도했던 鄕校나 鄕約, 留鄕所에 못지 않게 學問的이고 道學的인 분위기로 性理學의 발전이 기여함과 아울러 여러 가지 의식을 예의와 질서로 엄숙히 하여 성대하게 하였으므로 한 地方을 敎化시키는 역할을 했다. 또한 이러한 의식에서 德行이 있는 院生을 표창함으로써 지방민들의 존경심을 키워주웠다.
또 書院에서는 鄕約을 立約, 普及하여 지방민을 敎化했다. 즉 鄕約을 세울 때는 처음부터 書院에서 立約하고 議定하였으며 그 任員도 書院에 모여 선정하였다. 따라서 鄕約의 運營이나 組織은 모두 書院에서 이루어졌으며, 또한 書院이 鄕約의 보급을 담당했던 것이다. 이상에서 私學의 再興과 鄕村社會의 敎化라는 측면에서 書院의 敎育史的 意義를 살폈다. 그밖에도 몇 가지 주의를 기울일 만 한 것을 지적할 수 있는데, 書院의 확대에 의해 전시대부터 존재해 오던 書堂이 再編成되었다는 것이다. 당시 書堂은 科擧試驗 準備敎育에 치중하였는데 書院이 설립되면서 그 기능이 초등교육시설로 지위가 낮아지고 17세기 이후에는 완전히 初等敎育機關으로 자리를 굳히게 된다.
또한 書院을 중심으로 발전되었던 性理學은 朝鮮後期 實學의 발생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즉 實學에 뜻을 두었던 당시의 일부 유학자들은 書院 中心의 학문풍토에서 性理學을 익히면서 兩班社會의 현실적 모순을 알게되고 書院의 幣를 스스로 이에 대한 批判意識을 갖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實學의 學風은 書院을 중심으로 성립된 것으로 정계에서 소외된 在鄕 兩班들에 의해 운영되는 書院에서 특히 강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朝鮮中期의 敎育이 成均館, 西學, 鄕校 등 官學機關을 중심으로 展開되었는데 비해서, 後期에는 書院이 등장하여 敎學의 機能을 주도하였으며, 後에는 書院이 보급되어 鄕村社會의 庶民層까지 敎育의 기회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書院은 朝鮮時代의 敎育史에서 前期와 後期를 잇는 중요한 위치를 點하고 있는 것이다.
《 參考文獻 》
金麟基, 「武城書院誌」,『書院誌叢書』9, 민족문화사, 1987.
李東歡, 「韓國文敎風俗史」,『韓國文化史大系』4, 高大 民族文化硏究所, 1970.
孫仁銖, 『韓國敎育史』, 문음사, 1987.
丁淳睦, 『韓國書院敎育制度硏究』, 전남대민족문화연구소, 1979.
韓基彦, 『韓國敎育史』, 전영사, 1963.
姜萬吉, 「朝鮮王朝에 있어서의 16세기의 變化」,『韓國史』12, 국사편찬위원회, 1987.
李佑成, 「高麗朝의 吏에 대하여」,『歷史學報』23, 1964.
宋競燮, 「李退溪의 敎學思想」,『東洋文化』13, 1972.
宋楊燮, 「朝鮮時代 書院敎育에 관한 一考察」,『敎育硏究』8, 춘천교대, 1990.
李泰鎭, 「士林과 書院」,『韓國史』12, 국사편찬위원회, 1984.
鄭萬祚, 「朝鮮書院의 成立過程」,『韓國史論』8, 국사편찬위원회, 1980.
鄭萬祚, 「朝鮮朝 書院의 政治·社會的 役割」,『한국사학』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崔完基, 「朝鮮書院一考」,『역사교육』18, 1974.
崔完基, 「朝鮮朝 書院成立의 諸問題」,『한국사론』8, 1980.
崔完基, 「朝鮮朝 書院의 敎育機能一考」,『사학연구』25, 1975.
韓佑劤, 「中央執權體制의 特性」,『韓國史』10, 국사편찬위원회, 1984.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1.06.21
  • 저작시기20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8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