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요][동요 정의][동요 가치][동요와 동시][동요와 전래동요][동요와 동요작곡가][동요의 표현분석 사례]동요의 정의, 동요의 가치, 동요와 동시, 동요와 전래동요, 동요와 동요작곡가, 동요의 표현분석 사례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요][동요 정의][동요 가치][동요와 동시][동요와 전래동요][동요와 동요작곡가][동요의 표현분석 사례]동요의 정의, 동요의 가치, 동요와 동시, 동요와 전래동요, 동요와 동요작곡가, 동요의 표현분석 사례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동요의 정의

Ⅱ. 동요의 가치
1. 어린이에게 즐거움을 준다
2. 어린이의 언어 발달을 돕는다
3. 어린이의 간접 경험의 폭을 넓혀 준다
4. 어린이의 사회성 발달을 돕는다
5. 어린이에게 음악적 경험을 제공한다

Ⅲ. 동요와 동시
1. 동시와 동요의 관계
1) 동시
2) 동요
2. 노래로 불리는 동요
1) 봄비 - 김요섭
2) 고향의 봄 - 이원수

Ⅳ. 동요와 전래동요
1. 전래 동요의 개념
2. 전래 동요의 특징
1) 가락
2) 가사
3) 기능
3. 전래 동요의 지도방법

Ⅴ. 동요와 동요작곡가
1. 나운영(작곡가)
2. 박태준(朴泰俊, 1900~1986)
3. 윤극영(尹克榮, 1903~1988)
4. 홍난파(洪蘭波, 1898~1941)

Ⅵ. 동요의 표현분석 사례
1. 우리들은 새싹들이다
2. 어린이 노래
3. 어린 꿈나무
4. 스스로 경험할 수 있게 - 일기예보
5. 아가에게 - NEXT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작, 홍난파 편곡으로 밝혀져 있는데, 자신의 작곡이 아닌 것을 어째서 넣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없다. 윤극영은 자신보다 5년 후배이지만 동요작가로는 선배가 되는 사이여서(말하자면 우정의 표시로 특별히 삽입한 것이 아닐런지) 그의 동요곡 중에는 같은 가사에 의한 작곡(별곡)이 상당히 많은데, 이것은 서로 경쟁하는 뜻에서 고의로 작곡했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갑자기 많은 곡을 쓰다보니 마땅히 가사가 없어서 남이 작곡한 가사에 새로 작곡한 것일 것이다. 예를 들어 〈봄편지〉(윤극영 작곡),〈오빠생각〉(박태준 작곡),〈꼬부랑 할머니〉(윤극영 작곡),〈눈. 꽃. 새〉(권태호 작곡)는 거의 불려지지 않고 있고, 〈고향의 봄〉(이일내 작곡),〈햇빛은 쨍쨍〉(박태준 작곡)은 홍난파의 작품만이 즐겨 불려지고 있다. 다만〈밤 한톨이 떽떼굴〉은 박태준과 홍난파의 경작(競作)에 있어서 박태준의 곡이 더 매력이 있어 보인다.
Ⅵ. 동요의 표현분석 사례
1. 우리들은 새싹들이다
(1) 마음을 열어 하늘을 보라 넓고 높고 푸른 하늘 /
가슴을 열고 소리쳐보자 우리들은 새싹들이다 /
(2) 해님 되자 달님 되자 별님이 되자 /
너른 세상 불 밝힐 큰 빛이 되자 /
(3) 무지개 빛깔 아름다운 꿈 모두 우리차지다 /
너와나 함께 우리가 되어 힘차게 나가자 /
후렴) 푸른 꿈이 자란다 곱고 고운 꿈 /
두리둥실 떠간다 구름이 되어 /
너른 벌판을 달려나가자 씩씩하게 나가자 /
어깨를 걸고 함께나가자 발맞춰 나가자 /
동요집에 나온 바로는 밝고 씩씩하게 부르라는 말이 있듯이 아동을 밝게 표현하고 있다. 미래에 무언가로 자라나기 위한 새싹으로 비유하여 그들이 가진 희망적 소망인 푸른 꿈이 잘 이루어져 세상을 밝힐 큰 인물로 자라길 바라는 마음으로 아동을 표현하였다.
2. 어린이 노래
(1) 물처럼 아름답고 해처럼 밝게 / 무럭무럭 자라나는 우리 어린이 /
우리는 이 나라의 귀여운 새싹 / 잎이 피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자 /
(2) 서로서로 사랑하고 서로 도우며 / 오늘도 뻗어가는 우리 어린이 /
바로보고 바로 듣고 바르게 자라 / 이 나라의 기둥 되자 대들보되자 /
우리나라의 미래를 짊어지고 갈 아동들이 바르고, 밝게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표현하였다. 위의 “우리들은 새싹들이다”처럼 바르게 자라서 결국은 우리나라의 밝은 미래가 될 대상으로 묘사되었다.
3. 어린 꿈나무
(1) 우리 우리는 어린 꿈나무 / 가슴마다 심어진 예쁜 꽃나무 /
맑은 샘 푸른 나무 정직한 마음 / 힘차게 자라나는 어린 꿈나무 /
(2) 우리 우리는 어린 꽃나무 / 집집마다 심어진 예쁜 꽃나무 /
높은 산 넓은 바다 씩씩한 마음 / 오늘도 달려가는 어린 꽃나무 /
아동을 꿈나무와 꽃나무로 표현하여 앞으로 열매를 맺을 수 있는 성장단계에 있음을 나타내었고 아이들의 잠재적인 가능성 또한 “자라남과 달려감”으로 표현하였다. 정직하고 씩씩한 맘을 가진 아동의 정서적인 특성도 묘사되었다.
4. 스스로 경험할 수 있게 - 일기예보
아장아장 걷는 나를 보며 늘 이렇게 말했죠 /
나를 바라보며 우리아기 착한아기 어서 자라서 훌륭한 사람되거라 /
학교를 졸업할 쯤 되어 또 이렇게 말했죠 /
나를 바라보며 졸업하면 취직해라 어서 돈 모아 결혼하여라 /
세상엔 내가 있죠 소중한 꿈도 있죠 /
당신의 잣대로 막지 마세요 스스로 경험할 수 있게 /
하고픈 일들을 해야해요 단 하루를 살더라도 /
어느날 갑자기 어찌될지 그 누구도 모르잖아요 알수 없어요 /
세상엔 내가 있죠 소중한 꿈도 있죠 /
당신의 잣대로 막지 마세요 스스로 경험할 수 있게 /
어른들은 아이들이 아무것도 모른다고 생각, 자신의 잣대로 모든 걸 강요하려 하지만, 아이는 자신의 꿈과 경험이 있는 존재로써 강요하거나, 장애물이 되지 말아야 된다고 말하고 있다.
5. 아가에게 - NEXT
(1) 아가야 너의 웃는 그 얼굴을 보기위해 우리는 이렇게도 오랫동안 기다렸나봐 /
너의 웃음은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어 또 다른 시작이 다가왔음을 아가야 /
(2) 아가야 너의 얼굴 하나 안엔 그렇게도 수많은 사랑하는 사람들의 얼굴이 있어 /
서로 자길 많이 닮았다며 싸우곤 해도 온 집안 가득히 웃음뿐이야 아가야 /
(3) 너의 미래는 텅 빈 종이처럼 이제 시작일 뿐 야 온 세상 모든 것을 그 위에다
그려보렴 / 항상 좋은 일만 있을 수는 없지만 기쁨도 슬픔도 훗날엔 모두 아름다워 /
(4) 언젠가 네가 자라나서 어른이 될 때면 세상은 지금보단 조금은 좋아지겠지 /
너에게 부끄럽지 않을 세상을 만들며 우리도 조금씩 배워 갈 꺼야 아가야 /
해철)니가 흘릴 눈물들은 지금의 눈물과는 다르겠지 세상의 어두운 그늘을 알게 된 후엔 /
하지만 기억해 두렴 슬프고 두려워도 피할 순 없어 넌 싸워 이겨야만 해 /
모두)아가야 너의 웃는 그 얼굴을 보기위해 우리는 이렇게도 오랫동안 기다렸나봐 /
너의 웃음은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어 또 다른 시작이 다가왔음을 아가야 /
해철)아가야 아침이 올 때 까지 잠들면 언제나 눈을 뜰 땐 너의 곁에 있을 거야 /
아직은 무서운 꿈은 몰라도 좋을 나이 창가에 햇님이 널 부를 때까지 안녕 /
아가는 어른의 또 다른 시작이고 사랑과 집 안 사람들의 웃음을 만들어낼 수 있는 존재로 표현되었다. 또한 “너의 미래는 텅 빈 종이처럼 이제 시작일 뿐이야”라는 구절을 보면, 아이는 인생의 시작기에 있으며 앞으로 살면서 모든 것을 배워나가는 하얀 백지장과 같은 존재로 표현하였다. 아이는 슬픔도, 기쁨도 아직 모르는 순수한, 또 순결한 존재로, 그들 앞에서면 부끄러움과 책임감을 느끼게 만드는 대상이다.
참고문헌
기청(1993), 어린이들에게 동요를 부르게 하자, 서울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새교육
김원석, 우리나라 전래동요, 동시, 파랑새어린이
변계원 외,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한국전래동요의 세계화 방안
이경우·이은화(1994), 한국 전래동요의 통합적 활용을 위한 큰 책, 서울 : 한국어린이육영회
엄성은 외, 전래동요를 활용한 자연친화교육의 방향 모색
정재영(1999), 전래동요의 교육적 수용방안 연구- 횡성지방의 전래동요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춘천교육대학교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11.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5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