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생활영어(생활영어교육)의 목표
1. 듣기
2. 말하기
Ⅱ. 생활영어(생활영어교육)의 중요성
Ⅲ. 생활영어(생활영어교육)의 이론
Ⅳ. 생활영어(생활영어교육)의 환경
Ⅴ. 생활영어(생활영어교육)의 사례
Ⅵ. 향후 생활영어(생활영어교육)의 지도 방안
참고문헌
1. 듣기
2. 말하기
Ⅱ. 생활영어(생활영어교육)의 중요성
Ⅲ. 생활영어(생활영어교육)의 이론
Ⅳ. 생활영어(생활영어교육)의 환경
Ⅴ. 생활영어(생활영어교육)의 사례
Ⅵ. 향후 생활영어(생활영어교육)의 지도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u.
a glass of water? Yes, please.
a glass of milk? No, thanks.
some more bread? Yes, please.
(5) May I have a cup of coffee? Sure, with sugar?
a cup of tea? Of course.
a glass of water? Sure.
a glass of milk? Of course.
some more salad? Sure.
(6) Pass me the salt. Here it is.(or Here you are)
the pepper. Here you are.(or Here it is)
the peppers. Here they are.
(or Here you are)
(7)Have you ever eaten Korean food? Yes, I have.
Chinese food?
Yes, this is my second time.
Japanese food? No, I haven\'t.
Italian food?
Yes, I like spaghetti.
Ⅵ. 향후 생활영어(생활영어교육)의 지도 방안
영어 교육의 도입기인 초등학교에서의 영어 교육은 영어에 대한 친숙감을 심어 주고,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분위기와 학습 태도는 향후 중고등학교 영어 교육으로 이어져, 영어 구사능력을 향상시키는 첫 걸음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지도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가) 읽기 보다는 듣기, 말하기가 선행되어야 한다.
나) 가능하면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을 모델로 써야 한다.
다) 학생들이 배우는 발음은 자연스러워야 한다.
라) 말과 관련된 행동도 학습자가 익혀야 한다.
마) 의미의 이해와 구문의 사용은 그것을 들어서 알 수 있고, 말로서 표현할 수 있도록 훈련과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바) 학습은 학습자에게 호소력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 언어 구조와 음운론에 대한 인식은 언어 사용을 통해 습득되어야 한다.
아) 모국어는 교수 활동의 원활을 기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만 사용해야 한다.
박의제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성공 여부는 유능한 교사가 가장 중요한 요건이라고 했고 이상적인 것은 본국인에 가까운 발음과 유창성을 지닌 전문가라야 하며 어린이를 가르치는데 숙달되어야 한다고 했다.
반면 영어를 잘 말하고 잘 읽는 사람이 영어를 잘 가르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언어교육은 전인교육의 일부이므로 초등학교 영어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라면 다소영어에 유창하지 못하더라도 교육목표와 내용, 방법을 알고 있으므로 부단한 연구를 통해 성공적으로 영어를 가르칠 수 있다고 본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김인숙 외(1998), 영어사,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박덕재(1996), 영어교육과정의 개발, 영어교육, 51권 1호
신길호(2004), 영어교육 연구, 서울 : 북스힐
이근철, 생활영어 관용표현 150개
영어,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도서출판 성문
전상범(1998), 영어학개론, 한국문화사
a glass of water? Yes, please.
a glass of milk? No, thanks.
some more bread? Yes, please.
(5) May I have a cup of coffee? Sure, with sugar?
a cup of tea? Of course.
a glass of water? Sure.
a glass of milk? Of course.
some more salad? Sure.
(6) Pass me the salt. Here it is.(or Here you are)
the pepper. Here you are.(or Here it is)
the peppers. Here they are.
(or Here you are)
(7)Have you ever eaten Korean food? Yes, I have.
Chinese food?
Yes, this is my second time.
Japanese food? No, I haven\'t.
Italian food?
Yes, I like spaghetti.
Ⅵ. 향후 생활영어(생활영어교육)의 지도 방안
영어 교육의 도입기인 초등학교에서의 영어 교육은 영어에 대한 친숙감을 심어 주고,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분위기와 학습 태도는 향후 중고등학교 영어 교육으로 이어져, 영어 구사능력을 향상시키는 첫 걸음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지도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가) 읽기 보다는 듣기, 말하기가 선행되어야 한다.
나) 가능하면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을 모델로 써야 한다.
다) 학생들이 배우는 발음은 자연스러워야 한다.
라) 말과 관련된 행동도 학습자가 익혀야 한다.
마) 의미의 이해와 구문의 사용은 그것을 들어서 알 수 있고, 말로서 표현할 수 있도록 훈련과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바) 학습은 학습자에게 호소력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 언어 구조와 음운론에 대한 인식은 언어 사용을 통해 습득되어야 한다.
아) 모국어는 교수 활동의 원활을 기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만 사용해야 한다.
박의제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성공 여부는 유능한 교사가 가장 중요한 요건이라고 했고 이상적인 것은 본국인에 가까운 발음과 유창성을 지닌 전문가라야 하며 어린이를 가르치는데 숙달되어야 한다고 했다.
반면 영어를 잘 말하고 잘 읽는 사람이 영어를 잘 가르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언어교육은 전인교육의 일부이므로 초등학교 영어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라면 다소영어에 유창하지 못하더라도 교육목표와 내용, 방법을 알고 있으므로 부단한 연구를 통해 성공적으로 영어를 가르칠 수 있다고 본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김인숙 외(1998), 영어사,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박덕재(1996), 영어교육과정의 개발, 영어교육, 51권 1호
신길호(2004), 영어교육 연구, 서울 : 북스힐
이근철, 생활영어 관용표현 150개
영어,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도서출판 성문
전상범(1998), 영어학개론, 한국문화사
추천자료
[어휘학습]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기능,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분류, 초등영어교육 어휘...
[영어]영어과(영어교육)의 목표, 영어과(영어교육)의 내용과 영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의 단...
[게임,놀이]영어교육(영어학습) 게임(놀이)활용의 교육적 의의, 영어교육(영어학습) 게임(놀...
중등(중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교육내용, 중등(중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습자중심교...
초등학교 4학년 영어과(영어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 초등학교 4학년 영어과(영어교육) 학습...
초등학교 5학년 영어과(영어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 초등학교 5학년 영어과(영어교육)의 지...
초등학교 4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성취기준과 내용체계, 초등학교 4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수...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실태와 지도중점,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수준별...
초등학교 6학년 영어과(영어교육)의 목표와 성취기준, 초등학교 6학년 영어과(영어교육)의 주...
열린교육 정의, 열린교육 성격, 영어과(영어교육) 열린교육 의미, 영어과(영어교육) 열린교육...
[인터넷활용 영어교육]인터넷활용 영어교육의 이론, 인터넷활용 영어교육의 장점, 인터넷활용...
[조기교육][영어교육]조기영어교육(영어조기교육)의 제 배경, 조기영어교육(영어조기교육)의 ...
초등학교 6학년 영어과(영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6학년 영어과(영어교육) 내용체계, 초등학...
중학교 영어과(중등 영어교육)의 성격, 중학교 영어과(중등 영어교육)의 목표, 중학교 영어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