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학습]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기능,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분류,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반복 간격,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지침과 유의사항,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선정 기준 및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휘학습]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기능,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분류,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반복 간격,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지침과 유의사항,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선정 기준 및 시사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기능
1. 듣기기능과 어휘지도
2. 말하기 기능과 어휘지도
3. 읽기 기능과 어휘지도
4. 쓰기 기능과 어휘지도

Ⅲ.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분류
1. 의미(meaning)
2. 단어 사용(word use)
3. 단어 형성(word formation)
4. 단어 문법(word grammar)

Ⅳ.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반복 간격

Ⅴ.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지침과 유의사항

Ⅵ.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선정 기준
1. 가장 일상적인 낱말
2. 학생의 욕구
3. 학생의 모국어
4. 낱말 구조

Ⅶ.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Ⅵ. 초등영어교육 어휘학습의 선정 기준
수많은 어휘 중에 어떤 단어를 선정해서 가르쳐야 하는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어휘를 잘 선정해서 계획성 있게 가르치는 것은 전체 영어교육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어휘선정 기준에 대해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주장을 해왔는데 Haycraft는 어휘선정시 기초로 삼아야 할 지침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1. 가장 일상적인 낱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말이나 학생이 필요로 하는 가장 일상적인 낱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일상적인 말을 가르치면 학생은 필요한 말로 대치하려 할 것이다.
2. 학생의 욕구
학생이 알고자 하는 욕구가 그 낱말을 기억하게 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특정한 낱말을 가르쳐 줄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가급적 여러 학생들의 관심을 야기할 수 있는 어휘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학생의 모국어
학생의 모국어 또한 중요하다. 프랑스인에게 영어를 가르칠 때는 영어가 프랑스어와 유사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많은 참고가 된다.
4. 낱말 구조
teach-teacher, work-worker 처럼 일반 규칙이 적용될 수 있는 낱말을 선정하는 것도 가치 있는 일이다.
Huebener(1959, p. 80)는 “어휘는 가급적이면 일상생활과 관련 있는 실용적인 것에 치중해야 하며 개념이 분명하고 사용 빈도가 높은 것을 선택해야 한다”라고 주장하였으며, Savile-Trokie(1976, p. 37)에 따르면 추상적인 어휘보다는 실제로 학교, 사회, 가정 등 생활 주변에서 자주 사용되는 즉 빈도가 높은 어휘를 우선적으로 선택해야 어휘학습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한다. Morris(1960, p. 41)는 어휘는 “배우는 과정을 쉽게 할 목적으로 엄격히 선정한 범위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Mackey(1965, p. 188-190)는 학습자가 필요로 하고 실제로 사용하는 어휘를 선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어휘선정에 적용되어야 할 5개의 조건을 우선 순위별로 제시하고 있다: ① frequency(빈도), ② coverage(적용도), ③ range(분포범위), ④ availability(유용도), ⑤ learnability(학습용이도) Thorndike(1944, ⅲ)도 어휘선정에서 분포와 빈도를 중요도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Finocchiaro(1973, p. 87)는 “외국어 학습에서 학생의 환경과 경험에 직결되는 어휘를 우선 학습해야 한다”고 말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 어휘지도와 관련된 여러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는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기본 어휘선정에는 빈도와 분포를 기준으로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쓰이는 단어들이 선정되어야 하며, 여기에 선정자의 교육경험에 의한 주관적 판단을 통하여 환경어 (environmental vocabulary)를 첨가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어휘는 아무렇게나 선정하여 가르치기보다는 교육의 학습효과나 능률면을 심사숙고하여 어휘들을 잘 선정하여야 한다. 어휘는 기본적인 명사, 동사, 형용사들을 가르치되 우선 구체어(concrete words)를 먼저 가르치고 추상어(abstract words)를 뒤에 가르쳐야 한다. 그리고 어휘선정은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주변 환경 등에 관한 어휘들 중에서 한국어에서 사용 빈도가 높거나 자주 접하는 어휘들을 영역별로 선정하여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학생들이 한국어로 잘 알고 있는 친숙한 주변의 물건이나 장소, 직업 등을 위주로 어휘를 선정하여 이것들을 영어로 무엇이라 하는가를 먼저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에게 호기심과 흥미를 갖게 할 수 있다.
Ⅶ. 결론 및 시사점
독해 전략에 관한 연구 결과로 인해, 언어 지식이 독해 과정과 결과에 끼치는 영향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독자가 자신의 배경 지식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언어 지식이 필요하다. 언어 지식은 크게 어휘 지식과 문법 지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많은 학생들이 독해가 어려운 이유를 어휘 지식의 부족 때문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어휘의 의미를 알지 못하고서는 전혀 내용 이해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읽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어휘 습득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연구들이 많아, 어휘 지식과 읽기 이해의 관련성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Huckin & Coady, 1999; Nation & Coady, 1988; Paribakht & Wesche, 1999).
외국어 어휘 학습은 다독을 통해 우연히 일어난다(Huckin & Coady, 1999). 학습자들은 글을 읽으면서 모르는 어휘의 의미를 추론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차적 종류의 학습은 읽기라는 주요한 인지적 활동의 부산물로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우연적” 학습이라고 불린다. 우연적 어휘 학습이란 새로운 어휘를 배우기 위한 활동이 아니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읽기나 듣기 활동을 통해 어휘를 저절로 알게 되는 것(“picking up”)을 말한다. 다시 말해 그 어휘를 기억하려는 별도의 의도나 노력 없이 어휘를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우연적 어휘 학습에서 학습자 주의력은 주로 형태가 아닌 의미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이론가들은 의미와 형태 모두에 주의력이 필요하다고 하고 있으며(Ellis, 1995; Robinson, 1995) Schmidt(1993)는 우연적 학습에도 일정한 정도의 의식적 주의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참고문헌
교육부(1996), 초등영어 교육과정 해설(IV), 교육부
김영숙(1997), 초등영어 기본 어휘에 관한 제안, 초등영어교육 제3호,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나기연 외(1998), 초등영어 지도법, 서울 : 문진미디어
손병용(1991), 영어교과서의어휘선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우형규(1975), 영어기본어휘연구, 천인문화사
이화자(1999), 어휘 지도의 효율적인 방안, 영어교수, 학습 방법론, 한국문화사
허구(1995),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각 학년의 영어 어휘 지도에 관한 연구, 초등영어교육 제1호,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9.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4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