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의 도시구조변화과정과 전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울산시의 변천과정

2. 울산시의 도시공간구조

3. 울산도시공간구조의 문제점

4. 미래의 도시공간구조의 구상

5. 공간구조상 발전 잠재력

본문내용

축의 보조축과 남북으로 이어진 개발제한구역을 따라 남북1축의 보조축을 구성하게 될 것이다. 즉 동서2축의 보조축과 남북1축의 보조축에는 개발제한구역의 단절을 최대한 방지하고 시가지내 녹지가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녹지체계를 구성하고, 백운산-가지산-신불산을 연결하는 산악축과 동대산-무룡산-염포산을 연결하는 산악축으로 구성되는 남북의 2개 주요 산지 생태축에는 대규모 녹지공간보존에 치중될 것이다.
5. 공간구조상 발전 잠재력
앞으로 울산시가 개발제한구역을 조정하게 되면 보전가치가 낮은 지역 중 개발 잠재력이 높은 지역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개발제한구역을 도시내부 지역의 개발수요를 밖과 공간적으로 연계하여 개발 및 정비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환동해축 개발에 따른 국제해상물류 수송거점에 위치하여 전략적 관문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향후 부산울산 간 고속도로 건설과 동해안 고속도로와의 연결, 동해남부선의 복선화 추진, 신항만 개발 등으로 인하여 울산시는 부산권과 경주포항지역의 중간지대로서 교통물류의 연계거점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아울러 남동 임해공업벨트의 중심도시로서 포항-울산-부산-여수로 이어지는 정보통신망 구축에 공동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중화학 공업도시라는 이미지가 강한 울산시이지만 시군 통합에 따라 서부지역의 백운산-가지산-신불산으로 이어지는 영남알프스, 중부지역의 문수산, 북부지역의 치술령 등 풍부한 산악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아울러, 강동-주전-서생-지역으로 이어지는 해안관광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관광자원화가 가능하다.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11.15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91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