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처치 붕대법(드레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처치 붕대법(드레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드레싱의 정의

2.붕대법의정의

3. 붕대의 종류

4. 붕대법의 종류(각부위별)

5. 삼각건의 사용방법

5. 감상문

본문내용

도록 조심하여야 한다.
○ 드레싱 위에 붕대를 맨다
5. 드레싱 주의사항
○ 상처를 만지거나 상처에 닿는 부분의 드레싱은 손에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상처나 드레싱 위에서 기침하거나 숨쉬거나 말하지 않는다.
◈ 붕대법 ◈
1. 붕대법의 정의 및 목적

○ 드레싱을 상체에 붙어있게 고정 기능
○ 부목의 고정기능
○ 상처 부위 보호
○ 세균 감염 예방
○ 지혈 작용 증진
○ 상처의 약물 유지
○ 기형의 교정 및 변형 방지
2. 붕대의 조건
○ 상처에 자극이 없어야 하며
○ 흡수가 잘되며
○ 공기유통이 잘되고
○ 소독하기 쉬운 것
3. 붕대의 종류
○ 감은붕대
폭, 길이, 소재가 다양하다. 신체부위에 따라 다른 넓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5cm~ 손가락·5cm~ 손목, 손, 발·7.5cm~ 발목, 팔꿈치, 팔·10cm~15cm~ 무릎, 다리, 팔
○ 접착성 붕대
신축성이 있고 거즈와 유사한 재질로 되어 있으며 폭이 다양하다.접착성질이 있어 사용하기가 쉽다.
○ 거즈붕대
면 소재이고 뻣뻣하게 신축성이 없다. 폭은 2.5cm, 5cm, 7cm로 다양하고 길이는 대개 9m정도이다.
○ 탄력붕대
염좌, 근육염좌, 좌상 시 압막용으로 사용하면 폭도 다양하다. 탄력붕대는 대개 상처를 덮는 드레싱 위에 직접 사용하지 않는다.시판되는 붕대가 없으면 넥타이를 사용하거나 그와 유사한 천으르 길게 찢어서 즐석 붕대를 만들수 있다.
○ 삼각건붕대
약국에서 살수도 있고 직접 만들 수도 있다. 90~100cm정도 되는 무명천으로 정사각형을 만들어 대각선으로 잘라 두 개의 삼각건을 만든다. 가장 긴 변을 밑변으로 하고 마주 보이는 각을 꼭지점이라 한다. 나머지 두 점을 끝점이라 한다. 삼각건붕대 사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접지 않고 완전히 펼친 형태는 다친 팔을 어깨에 매는 용도로 적합하다. 상처에 필요한 압력을주지 못하므로 드레싱을 고정시킬 때에는 사용하지 않는다.·접은 넥타이 모양의 붕대를 만들 때는 꼭지점을 밑변의 중앙에 오도록 접고 다시 한번 반으로 접어 넥타이 모양을 만든다. 부목을 고정하는 데 사용한다. 또한 드레싱 위에 골고루 압력을줄 때도 사용하고 부상자의 다친 팔을 팔거리에 건 후 이를 몸 주위에 고정시키는 데도사용한다.
○ 접착 반창고감아둔 모양으로 되어 있고 폭도 다양하다. 주로 감은 붕대를 고정시키거나 작은 드레싱을 고정 할 때 사용한다. 접착반창고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종이 반창고나 피부과용 특수 반창고를 사용한다.
○ 접착밴드작은 베인 상처나 찰과상에 사용하며 드레싱과 붕대의 혼합 형태이다.
4. 붕대법의 종류
○ 삼각건 붕대법
1) 삼각건및 표준 삼각건
2) 끝매기법
○ 감은 붕대법
1) 감은 붕대법의 일반 원칙
● 감은 붕대의 뭉치는 오른손에 끝은 왼손에 붕대 겉면을 피부 표면에 닿게하여
● 시작과 끝은 2-3회 환횡대
● 사지를 감을 때는 혈액 장애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손, 발가락은 노출
● 말단 부위에서 중심부로 감음
● 붕대를 다 감았을 때에는 두 갈래로 매든지 또는 안전핀과 반창고로 고정
● 끝매기 매듭이 상처 부위에 오지 않도록
2) 감은붕대법의 종류
○ 신체부위별 손상에 따른 붕대 사용법
1. 두부손상
1) 머리의 삼각건법
2) 머리회귀붕대법(의식이 있는 환자)
3) 머리회귀붕대법(의식이 없는 환자)
2. 눈의 손상
1) 외눈의 삼각건법
2) 외눈 교차 붕대법
3) 양눈의 교차 붕대법
3. 턱의 손상
1) 턱에 접은 삼각건법
2) 하악의 붕대법
4. 어깨의 손상
1) 어깨의 삼각건법
2) 어깨및 겨드랑이에 접은 삼각건법
3) 어깨의 수상 붕대법
5. 관절부위에 손상
1) 팔굽에 접은 삼각건법
2) 무릎에 접은 삼각건법
3) 발목에 접은 삼각건법
4) 팔굽의 8자 붕대법
6. 손, 발의 손상
1) 손의 삼각건법
2) 발의 삼각건법
3) 손싸기 붕대법
4) 손의 8자 붕대법(손과 손목)
5) 반장갑 붕대법(손등)
6) 장갑 붕대법(손등과 손가락)
7) 발의 수상붕대법(발목)
8) 발의 8자 붕대법(발등, 뒤꿈치)
7. 흉부손상
1) 가슴의 삼각건법
2) 어깨의 대한 삼각건법
8. 쇄골골절(쇄골의 8자 붕대법)
9. 견갑골 골절(벨포붕대법)
붕대법의 대한 나의 생각
이 붕대법 레포트를 하면서 참 그런 생각을 하였습니다. 과연 내가 이것을 알아서 써먹을수가 있을까? 라는 것을 말입니다. 제 스스로 내린 결론은 절대로 이렇게 레포트를 쓰는것만으로는 써먹을수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실제로 못해도 세네번은 해봐야 실제 상황에서 써먹을수가 있을것 같습니다. 아무리 붕대의 종류가 뭐가 있느니 매듭은 어떻게 짓느니 듣기만 하고 보기만 해봤자 실제 상황이 되면 써먹기가 힘들것 같습니다. 아무리 제가 레포트를 하면서도 그림을 보고서는 잘 이해가 가질 않는 부분이 많습니다. 정확한 동영상이 그나마 조금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허나 정확한 동영상을 본들 최고의 강사가 직접 설명하는 수업을 들은들 제생각엔 자신이 직접 한번 해보는 것이 최고의 수업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교수님이 심폐소생술도 아무리 보기만 하고 듣기만 해서는 실상황에서 써먹기가 엄청 힘들다고 하신것 처럼 이 붕대법도 마찬가지인것 같습니다. 아니 이 붕대법 말고도 모든 응급처치가 거의 그러한것 같습니다. 꼭 실제상황이 아니더라도 가상으로 실제상황을 만들어보고 실제 시술자가 되어서 해보는 것이 정말 실제 상황이 일어났을때 흥분하지 않고 긴장하지 않고 정확한 응급처치를 할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이 붕대법 레포트를 하면서 삼각건에 대한 유용성을 굉장히 많이 느꼈습니다. 정말 어찌보면 그냥 하찮은 천쪼가리가 될수 있을 것인데 응급처치에서는 이렇게 큰 역할을 한다니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꼭 삼각건 뿐이 아니라 내가 입고 있는 옷, 넥타이, 속옥 등 모든 것이 이 붕대법에 사용이 될수 있다 생각합니다. 평소에 옷을 좀 잘 찢어지는 옷을 입고 다녀야 할것 같습니다. 앞으로 이수업을 들은후 응급처치원 자격증이 나온다고 들었는데 그런 자격을 갖추게 되는 만큼 항상 내가 응급처치원이라는 자세로 실상황 발생시 배운데로 실습한데로 응급처치를 할것입니다.
이상 저의 소감문이었습니다.

키워드

  • 가격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11.17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9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