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부모님 이름을 입에 직접 올리는 것도 금기 되었다.
- 청왕조의 멸망과 함께 2000여년을 이어오던 피휘(避諱)제도도 종말을 고하였다.
- 중국인들은 고대로부터 아이에게 아주 천박하거나 이상한 이름, 심지어는 동물 호칭 등으로 아명(兒名)을 삼곤했다. 아명이란 집안에서 아이에게 본명 이외의 또 다른 이름을 지어주는 것을 말함. 고대 이래로 신분의 높고 낮음이나 남녀의 구별 없이 아명을 지어주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이었다.
- 이름을 지을 때 음양오행사상의 상생상극설에 따라 쓰지 못하는 글자가 정해지기도 함.
예를들어 오행(五行) 중 금(金)이 부족할 경우, 금을 극(剋)하는 화(火)가 들어가는 글자는 사용하지 않는다.
② 중국의 신조어
- 언어습관 중 성(性)이나 성기(性器)에 관련된 언어는 직접적인 언급을 회피
- 성행위는 판사(判事), 방사(房事), 동상(同床), 부부생활 등으로 완곡히 표현
- 월경(月經)을 예가(例假)로, 피임(避妊)은 계획생육(計劃生育)으로 대신
8. 금기의 극복
중국인들이 가진 금기의 성격을 ㅂ로면 신령과 관련된 것보다는 중국어가 갖고 있는 언어적 특징으로부터 생성된 금기가 상당히 많음을 알수 있다. 언어적 특성으로부터 생성된 금기는 마찬가지로 언어적 특성을 이용하여 극복하는 것이 그 방법이다. 이중 대체의 언어의 사용이나 완곡한 표현 혹은 해음 현상을 이용하여 금기를 반대로 길상한 것으로 전환시키는 방법 등이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 대체 언어의 사용 : 다른 언어를 사용해서 언어 금기에 직접 저촉되지 않도록 피해가는 방법으로, 사용상에 있어서 임시 대용적인 성격을 갖는다.
예를 들어 ‘죽음’이란 단어는 붕(崩), 순국(殉國), 열반(涅槃), 승천(昇天), 작고(作故) 등등의 단어로 죽음을 대신 형용한다.
단어 이외에도 문장의 형식으로 죽음을 대체 표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계시지 않게 되다 [不在了]’, ‘우리와 영영 이별 하였다[和我們永別了]’, ‘다른세계로 가셨다[到一個世界去了] 등의 표현으로 대체한다.
- 해음 현상 이용 : ‘물건이 깨어지다’는 중국어로 쇄(碎, sui)이다. 그래서 물건을 깨뜨리면 주변에서 즉시 ‘세세평안(歲歲平安, sui sui ping an)하고 외친다. 歲와 碎의 발음이 같은 점을 이용하여 불길한 현상을 오히려 길한 현상으로 바꾸는 지혜인 것이다.
각종 금기나 선호의 저변에는 결국 행복을 추구하고 불행한 일을 기피하고자 하는 피흉취길(避凶就吉)의 심리적인 요소가 깔려 있다. 대부분 금기의 근본 성격은 과학과는 전혀 거리가 먼 단지 관념적인 인식에 있다. 금기 혹은 선호의 대상이 이지적이거나 혹은 실제 체험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고 미신적 강박 관념의 산물인 이상, 결국 또 다른 관념적인 방법에 의해 금기에 대처해 나갈 수 밖에 없음을 금기 해소의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결국 금기 중 대부분의 것들은 심리적인 강박 요소가 그 근본을 이루고 있으며, 이에 대한 극복 또한 심리적인 전환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청왕조의 멸망과 함께 2000여년을 이어오던 피휘(避諱)제도도 종말을 고하였다.
- 중국인들은 고대로부터 아이에게 아주 천박하거나 이상한 이름, 심지어는 동물 호칭 등으로 아명(兒名)을 삼곤했다. 아명이란 집안에서 아이에게 본명 이외의 또 다른 이름을 지어주는 것을 말함. 고대 이래로 신분의 높고 낮음이나 남녀의 구별 없이 아명을 지어주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이었다.
- 이름을 지을 때 음양오행사상의 상생상극설에 따라 쓰지 못하는 글자가 정해지기도 함.
예를들어 오행(五行) 중 금(金)이 부족할 경우, 금을 극(剋)하는 화(火)가 들어가는 글자는 사용하지 않는다.
② 중국의 신조어
- 언어습관 중 성(性)이나 성기(性器)에 관련된 언어는 직접적인 언급을 회피
- 성행위는 판사(判事), 방사(房事), 동상(同床), 부부생활 등으로 완곡히 표현
- 월경(月經)을 예가(例假)로, 피임(避妊)은 계획생육(計劃生育)으로 대신
8. 금기의 극복
중국인들이 가진 금기의 성격을 ㅂ로면 신령과 관련된 것보다는 중국어가 갖고 있는 언어적 특징으로부터 생성된 금기가 상당히 많음을 알수 있다. 언어적 특성으로부터 생성된 금기는 마찬가지로 언어적 특성을 이용하여 극복하는 것이 그 방법이다. 이중 대체의 언어의 사용이나 완곡한 표현 혹은 해음 현상을 이용하여 금기를 반대로 길상한 것으로 전환시키는 방법 등이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 대체 언어의 사용 : 다른 언어를 사용해서 언어 금기에 직접 저촉되지 않도록 피해가는 방법으로, 사용상에 있어서 임시 대용적인 성격을 갖는다.
예를 들어 ‘죽음’이란 단어는 붕(崩), 순국(殉國), 열반(涅槃), 승천(昇天), 작고(作故) 등등의 단어로 죽음을 대신 형용한다.
단어 이외에도 문장의 형식으로 죽음을 대체 표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계시지 않게 되다 [不在了]’, ‘우리와 영영 이별 하였다[和我們永別了]’, ‘다른세계로 가셨다[到一個世界去了] 등의 표현으로 대체한다.
- 해음 현상 이용 : ‘물건이 깨어지다’는 중국어로 쇄(碎, sui)이다. 그래서 물건을 깨뜨리면 주변에서 즉시 ‘세세평안(歲歲平安, sui sui ping an)하고 외친다. 歲와 碎의 발음이 같은 점을 이용하여 불길한 현상을 오히려 길한 현상으로 바꾸는 지혜인 것이다.
각종 금기나 선호의 저변에는 결국 행복을 추구하고 불행한 일을 기피하고자 하는 피흉취길(避凶就吉)의 심리적인 요소가 깔려 있다. 대부분 금기의 근본 성격은 과학과는 전혀 거리가 먼 단지 관념적인 인식에 있다. 금기 혹은 선호의 대상이 이지적이거나 혹은 실제 체험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고 미신적 강박 관념의 산물인 이상, 결국 또 다른 관념적인 방법에 의해 금기에 대처해 나갈 수 밖에 없음을 금기 해소의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결국 금기 중 대부분의 것들은 심리적인 강박 요소가 그 근본을 이루고 있으며, 이에 대한 극복 또한 심리적인 전환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추천자료
최인훈 의 ‘광 장’
호흡기계 진단검사
수혈요법
PTBD(경피적 경관 담즙배액술), ERCP(내시경적 역행성 췌관·담관조영술), TACE(간동맥 화학 ...
혈액장애 환자의 특수치료와 간호
[간호학]폐기능 검사
아시아 광고 현지 적응 사례
동성애 억압 비판 에세이
미디어법과윤리-Hustler Magazine v. Falwell (허슬러사건)
고전소설 춘향전(春香傳)
척추 및 경막외 마취
[간호학] 보건소 예방접종
[기본간호학실습 보고서] 투약 실습보고서
[A+] 해외여행시 알아야 할 정보에 대한 조사보고서, 출입국신고, 출입국절차, 해외여행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