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혈액의 성분
2. 혈액의 기능
3. 면 역
4. 심장
5. 순환
2. 혈액의 기능
3. 면 역
4. 심장
5. 순환
본문내용
4. 심장
심장박동의 원리
심장은 이러한 신경이나 호르몬과 연결되지 않아도 스스로 박동을 계속한다. 즉, 심장이 스스로 뛰는 것이다. 이것의 원리는 우심방에 있는 동방결절이라는 근육에서 약 0.8초 간격으로 전기를 발생을 시키면, 이러한 전류가 심방을 따라 방실결절에 전달되어 심방이 완전히 수축하고, 그 다음 양쪽 두 개의 심실을 수축시켜 심장박동의 사이클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경충격은 심실의 격벽에 있는 히스근색이라는 근육을 따라 심실로 전해지고 푸르킨예 섬유로 흥분이 전달되어 심장은 계속해서 피를 펌프질 할 수 있게 된다.
-심방의 수축시: 삼첨판과 이첨판이 열리고, 반월판이 닫히면서 혈액이 심방에서 심실 로 이동한다.
-심실의 수축시: 반월판이 열리고, 삼첨판과 이첨판이 닫히면서 혈액이 심실에서 심방 으로 이동한다.
5. 순환
1) 체순환
폐에서 산소를 받은 동맥혈이 심장의 좌심실을 나간 후 온몸을 돌고 우심방으로 들어오는 순환이다.
좌심실 → 대동맥 → 동맥 → 온몸의 모세 혈관 → 정맥 → 대정맥 → 우심방
2) 폐순환
우심실로 들어온 이산화탄소가 많은 정맥혈이 폐를 거쳐 동맥혈로 되어 좌심방으로 들어오는 순환이다.
우심실 → 폐동맥 → 폐 → 폐정맥 → 좌심방
3) 림프의 순환
조직세포사이 사이에 있는 모세 림프관이 모여 림프총관이 되며 이것은 쇄골하정맥으로 로 보내져 심장으로 들어간 후 동맥을 통해 온몸으로 이동한다.
림프절과 림프구: 림프관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림프절에서 항체를 생성하는 림프구를 생성한다. 림프관 속에도 판막이 있으며, 적혈구가 없어서 붉은색을 띠지 않는다.
심장박동의 원리
심장은 이러한 신경이나 호르몬과 연결되지 않아도 스스로 박동을 계속한다. 즉, 심장이 스스로 뛰는 것이다. 이것의 원리는 우심방에 있는 동방결절이라는 근육에서 약 0.8초 간격으로 전기를 발생을 시키면, 이러한 전류가 심방을 따라 방실결절에 전달되어 심방이 완전히 수축하고, 그 다음 양쪽 두 개의 심실을 수축시켜 심장박동의 사이클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경충격은 심실의 격벽에 있는 히스근색이라는 근육을 따라 심실로 전해지고 푸르킨예 섬유로 흥분이 전달되어 심장은 계속해서 피를 펌프질 할 수 있게 된다.
-심방의 수축시: 삼첨판과 이첨판이 열리고, 반월판이 닫히면서 혈액이 심방에서 심실 로 이동한다.
-심실의 수축시: 반월판이 열리고, 삼첨판과 이첨판이 닫히면서 혈액이 심실에서 심방 으로 이동한다.
5. 순환
1) 체순환
폐에서 산소를 받은 동맥혈이 심장의 좌심실을 나간 후 온몸을 돌고 우심방으로 들어오는 순환이다.
좌심실 → 대동맥 → 동맥 → 온몸의 모세 혈관 → 정맥 → 대정맥 → 우심방
2) 폐순환
우심실로 들어온 이산화탄소가 많은 정맥혈이 폐를 거쳐 동맥혈로 되어 좌심방으로 들어오는 순환이다.
우심실 → 폐동맥 → 폐 → 폐정맥 → 좌심방
3) 림프의 순환
조직세포사이 사이에 있는 모세 림프관이 모여 림프총관이 되며 이것은 쇄골하정맥으로 로 보내져 심장으로 들어간 후 동맥을 통해 온몸으로 이동한다.
림프절과 림프구: 림프관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림프절에서 항체를 생성하는 림프구를 생성한다. 림프관 속에도 판막이 있으며, 적혈구가 없어서 붉은색을 띠지 않는다.
추천자료
식생활과 건강 과목중 스트레스에 관한 조사내용입니다.(느낌점포함)
pH Titeration(PH 적정)과 완충용액
BLS & ACLS
[자외선][자외선 작용][자외선 영향][자외선으로 인한 피부노화][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자...
단백질의 기능
정체성 에 관한 심층적인 고찰
17세기 서양 의학
심장구조와기능
[화학실험] 알카리 소비량 - 검수중에 함유된 강산, 유기산, 염류 등을 중화하는데 소비되는 ...
[질병][질환][건강검진]질병(질환)과 유전자, 질병(질환)과 병원체, 질병(질환)과 미생물, 질...
유전의 역사 고대의 유전학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에 대해 구체적 설명, 면역 과민반응 특징 주요질환, 4가지형태의 과민...
신생아 패혈증(neonatal sepsis)
[간호학] 작업환경관리 - 유해환경과 직업병 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