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안개의 종류 및 특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안개의 종류 및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안개의 특성
가. 안개의 정의
나. 안개발생의 원인
다. 안개의 종류
라. 지역별 안개특성

2. 안개의 분류
가. 기상청 안개분류
나. 안개관측시 분류
다. 시정에 따른 분류
라. 강도에 따른 분류

3. 안개 지속시간과 시정거리
가. 안개지속시간
나. 안개시정거리
다. 시정계와 육안관측 시정거리의 차이
라. 안개 지속시간과 시정거리 분포

4. 안개 발생과 노면 결빙

본문내용

이 1m 단위로 시정을 표출하므로 시정계의 시정과 육안으로 관측된 시정은 구조적인 차이를 보임
o 다음 그림은 시정계와 육안 시정의 산포도를 나타내는데 x축은 육안 시정이고 y축은 시정계에 의한 시정으로 1km 이상 시정에서는 시정계와 육안 시정이 같게 나타나고 있지만 1km 이하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음
o 또한 시정계와 육안 시정의 산포도에서 시정계와 육안 시정과의 차이에 의해서 상관계수는 0.69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임
o 또한 선형회귀식은 Y=0.32*X+253 이며, 여기서 X는 육안 시정이고 Y는 시정계에 의한 시정을 의미함
o 다음 그림은 1km 이하의 시정에 대해서 시정계와 육안 시정을 비교한 것임
o 대략 300m 이하에서는 비교적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300m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두 시정이 일치하는 경향과 시정계가 육안 시정에 비해 과대측정을 하는 경향으로 나누어짐
o 따라서 1km 이하에서 상관계수는 0.48 이며, 선형회귀식은 Y=1.03*X+228 이고, 여기서 X는 육안 시정이고 Y는 시정계에 의한 시정을 의미함
o 위 그림은 1km 이하에서 시정계와 육안시정이 일치하는 경향과 1km 이하에서 시정계가 육안시정보다 과대 측정하는 경향을 표현한 산포도로, 사각형으로 표시된 것은 두 시정이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낸 것이고, 원으로 표시된 것은 시정계가 과대측정을 하는 경향을 의미함
o 우선 두 시정계가 일치하는 경향(사각형모양의 산포도)에서 상관계수는 0.96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이며 선형회귀식은 Y=1.17*X-1 이며, 여기서 X는 육안 시정이고 Y는 시정계에 의한 시정을 의미함
o 시정계가 과대측정을 하는 경향(원모양의 산포도)에서의 상관계수는 0.64 로, 두 시정계가 일치하는 경향은 보다 낮은 값을 보이고 선형회귀식은 Y=1.74*X+285로 나타남
o 선형회귀식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육안 시정이 0m 일 때 시정계는 285m를 표출한다는 것과 이 경우에서 시정계는 평균 585m의 시정을 기록했고 육안 시정은 166m로 약 두 배정도 시정계가 과대하게 값을 표출하였음
o 두 시정이 일치하는 경우는 주로 주간에 관측이 되었고 시정계와 육안 시정이 차이가 나는 경우는 야간에 관측된 경우와 강수가 동반된 경우가 많음
o 특히 강수가 동반된 경우 관측자는 강수와 안개에 의한 시정을 모두 고려하는 반면에 시정계의 경우 강수입자를 측정하기 어려워 안개에 의한 시정만 고려하여 오히려 더 나은 값, 즉 육안 시정보다 높은 값을 기록하는 것으로 판단됨
o 시정계와 육안관측의 시정거리는 시정거리 1km이내에서 기상상태에 따라 2배까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시정계를 통한 자동 안개관리시스템 운영시 주의를 요함
o 자동 안개관리시스템 운영시 육안관측의 시정거리보다 높게 측정되므로 시정계의 시정거리를 보정하여 사용함
라. 안개 지속시간과 시정거리 분포
o 안개발생시 교통사고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시정거리, 지속시간을 지역별로 동시에 고려하여 크게 4가지로 구분하여 우리나라 지역별 안개분포특성을 살펴봄
o 시정거리가 짧은 구간 일수록 사고 잠재력이 높고, 여기에 지속시간이 긴 구간일수록 위험도는 배가 된다고 판단됨
o 시정거리와 지속시간 분포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각 지역별 사고 잠재력을 아래의 <표 2-12>에 나타내었으며 대관령, 인천등이 사고 잠재력이 가장 높은 곳으로 나타남
구분
시정
거리
지속
시간
사고
잠재력
지 역
a
짧다
길다
최상
고산, 대관령, 백령도, 인천, 서산, 울릉도
b
짧다
짧다

진주, 완도, 청주, 동해, 춘천, 광주, 포항, 수원
울진, 대구
c
길다
길다

속초, 동두천, 서귀포, 철원, 영월, 대전, 안동
흑산도, 서울, 목포
d
길다
짧다

충주, 원주, 추풍령, 부산, 전주
<안개 시정거리와 지속시간>
4. 안개 발생과 노면 결빙
o 안개 발생시 노면 결빙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에 대한 국내연구는 비교적 그 수가 적어 외국에서 연구된 사례를 검토함
o 해무를 제외한 내륙지역에서 안개는 복사적 성질을 갖는 안개가 대부분이며 복사무가 발생할 때 수증기는 지표면에 물이 없는 경우로 주로 대기에서 지표면으로 이동함
o 이 경우 수증기가 지표면 근처에서 응결하게 되는데 이것이 이슬이며, 복사무는 주로 대기가 안정된 층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지표면 가까이에서 갇힌 공기층은 지표면에 맺혀진 이슬이 다시 증발하게 되고 증발된 수증기는 다시 지표면에 이슬의 형태로 이동함
o 이러한 피드백이 계속되면서 복사무가 지속되게 되는데 만약 지표면 가까이의 기온이 영하이고 지표면 역시 영하로 내려간다면 과냉각된 수증기는 지표면에서 이슬이 아니라 서리의 형태로 나타나 결빙이 되기도 함
o 또한 복사무가 발생할 경우 안개층에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장파복사가 증가하여 안개층의 기온이 낮아져 영하로 내려가기도 하며, Viterbo et al. (1999)는 유럽지역에서 관측된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이슬이 형성되는 기간의 기상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음
o 다음 그림은 Viterbo et al. (1999) 에서 제시된 결과로 (a)는 수증기량의 이동을 나타내고 (b)는 지표의 기온을 나타냄
o 두 그림에서 x축은 시간을 나타냄. 위 그림에서 수증기량의 연직 이동 즉 대기에서 지표로, 지표에서 대기로의 이동이 일변화를 가짐을 알 수 있음
o 즉 주간에는 수증기량이 지표에서 대기로 이동하여 지표면이 태양에 의해서 가열됨에 따라 수증기가 증발하는 것을 나타내고, 야간에는 반대로 수증기량이 대기에서 지표로 이동하고 있음
o 복사무의 경우 주로 야간에 발생하기 때문에 수증기가 대기에서 지표로 이동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음
o (b)는 지표면 온도 역시 일변화가 있음을 보여주며, 주간에 상승된 지표면 온도가 야간에 영하로 내려가고 있음을 알 수 있음
o 이러한 기상학적 조건은 지표면에 이슬이 생성되기 용이하고, 차가워진 지표면은 응결된 이슬을 결빙시키는 역할을 함
o 따라서 주로 가을이나 겨울철의 야간 내륙지역에 안개가 생성될 경우,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고 지표면 역시 영하일 경우 안개의 발생과 동시에 지표면이 결빙될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음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11.24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04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