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적응증
2. 목표
3. 종류
4. Setting법
5. 환자의 관리와 관찰
6. 합병증
7. 인공호흡기 대상자 간호
2. 목표
3. 종류
4. Setting법
5. 환자의 관리와 관찰
6. 합병증
7. 인공호흡기 대상자 간호
본문내용
흡기 사용이 오랫동안 지속된다면 적당한 영양을 공급해야 하는 비위관이나 위루를 통하거나 정맥을 통해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피부: 피부관리도 중요한데, 발꿈치, 팔꿈치, 무릎을 받침대 등으로 지지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마비 또는 혼수상태의 환자는 수동적 운동도 시켜 주어야 한다.
정신: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를 관리하는 데 있어 정신적 측면 또한 매우 중요하다. 환자는 매우 심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효율적인 의사소통도 어렵다. 많은 환자들이 의식이 없거나 반응이 약해보이지만, 그들은 주위환경을 인식하고 대화하는 것도 들을 수 있다. 따라서 환자들을 대할 때 친절하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안심시키고 주기적으로 의사소통 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환자가 갑자기 악화되는 것은 빈호흡, 동요, 청색증, 저혈압, 부정맥 등으로 알 수 있다. 이런 원인으로는 호흡기의 전기적 물리적 작동 이상 또는 분리, 공기누출, 기관내관이나 기관절개 튜브의 막힘, 분비물의 축적, 기흉, 폐색전증 등이 있다.
6. 합병증
빈번한 합병증으로는 감염, 저혈압, 수액과다, ARDS, 산소 중독, 부정맥, 위장관 출혈, 급성 위 또는 장팽만, 장마비, 산염기/전해질 장애, 정서적 문제 등이 있다.
7. 인공호흡기 대상자 간호
1) Suction
환자에게 흡인과정에 대하여 알려준 후 흡기후 ventilator tube을 분리하고, 분리한 tube의 끝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흡인 전후에 높은 농도의 산소가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기관흡인 후에 올 수 있는 심근의 저산소증과 부정맥을 방지하도록 한다.
감염되기 쉬우므로 철저하게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tube의 내경의 1/2정도되는 카테터를 사용하고, 심전도 모니터를 감시해야 한다. 흡인시간은 5-15초를 넘어서는 안되며, 각 흡인시에는 약 20초 정도의 간격을 두며, 총 흡인시간은 5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흡인하기 가장 좋은 시간은 체위변경하기 직전이며, 체위를 변경하며 흡인한다.
평균동맥압, 심박출량, 심박동수 그리고 뇌내압의 변화를 제한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 한해서 흡인 횟수를 제한한다.
흡인시 150mmHg가 넘지 않도록 한다(강남의 경우 120mmHg로 하고 있음).
환자의 상태에 맞추어 동맥혈 가스검사의 횟수와 시기를 정하도록 한다. 호흡기를 조작한 수 15-20분 지나야 동맥혈 가스검사가 정확하다.
2) 정서적 간호
환자의 불안에 대해서 변화가 있을 때 설명을 해주고, 행해질 모니터와 관찰사항을 설명해 준다.
환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안전장치와 경보기에 대해 설명을 해준다.
의사소통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 주도록 한다.
수면장애, 시청각 자극으로 인한 계속적인 감각장애 등으로 환자는 심각한 행동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한다.
창문, 시계, 큰 달력 등은 환자가 지남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지체계를 이용하고, 환자가 현재 필요한 간호를 제공받고 있다는 확신감을 환자에게 주어야 한다.
희망을 증진시킨고 독립심을 유발하기 위해 간호에 환자의 참여를 격려한다.
피부: 피부관리도 중요한데, 발꿈치, 팔꿈치, 무릎을 받침대 등으로 지지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마비 또는 혼수상태의 환자는 수동적 운동도 시켜 주어야 한다.
정신: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를 관리하는 데 있어 정신적 측면 또한 매우 중요하다. 환자는 매우 심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효율적인 의사소통도 어렵다. 많은 환자들이 의식이 없거나 반응이 약해보이지만, 그들은 주위환경을 인식하고 대화하는 것도 들을 수 있다. 따라서 환자들을 대할 때 친절하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안심시키고 주기적으로 의사소통 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환자가 갑자기 악화되는 것은 빈호흡, 동요, 청색증, 저혈압, 부정맥 등으로 알 수 있다. 이런 원인으로는 호흡기의 전기적 물리적 작동 이상 또는 분리, 공기누출, 기관내관이나 기관절개 튜브의 막힘, 분비물의 축적, 기흉, 폐색전증 등이 있다.
6. 합병증
빈번한 합병증으로는 감염, 저혈압, 수액과다, ARDS, 산소 중독, 부정맥, 위장관 출혈, 급성 위 또는 장팽만, 장마비, 산염기/전해질 장애, 정서적 문제 등이 있다.
7. 인공호흡기 대상자 간호
1) Suction
환자에게 흡인과정에 대하여 알려준 후 흡기후 ventilator tube을 분리하고, 분리한 tube의 끝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흡인 전후에 높은 농도의 산소가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기관흡인 후에 올 수 있는 심근의 저산소증과 부정맥을 방지하도록 한다.
감염되기 쉬우므로 철저하게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tube의 내경의 1/2정도되는 카테터를 사용하고, 심전도 모니터를 감시해야 한다. 흡인시간은 5-15초를 넘어서는 안되며, 각 흡인시에는 약 20초 정도의 간격을 두며, 총 흡인시간은 5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흡인하기 가장 좋은 시간은 체위변경하기 직전이며, 체위를 변경하며 흡인한다.
평균동맥압, 심박출량, 심박동수 그리고 뇌내압의 변화를 제한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 한해서 흡인 횟수를 제한한다.
흡인시 150mmHg가 넘지 않도록 한다(강남의 경우 120mmHg로 하고 있음).
환자의 상태에 맞추어 동맥혈 가스검사의 횟수와 시기를 정하도록 한다. 호흡기를 조작한 수 15-20분 지나야 동맥혈 가스검사가 정확하다.
2) 정서적 간호
환자의 불안에 대해서 변화가 있을 때 설명을 해주고, 행해질 모니터와 관찰사항을 설명해 준다.
환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안전장치와 경보기에 대해 설명을 해준다.
의사소통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 주도록 한다.
수면장애, 시청각 자극으로 인한 계속적인 감각장애 등으로 환자는 심각한 행동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한다.
창문, 시계, 큰 달력 등은 환자가 지남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지체계를 이용하고, 환자가 현재 필요한 간호를 제공받고 있다는 확신감을 환자에게 주어야 한다.
희망을 증진시킨고 독립심을 유발하기 위해 간호에 환자의 참여를 격려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