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통증이란??
2. 관절염이란??
3. 통증관리
Ⅲ.결론
Ⅳ.참고문헌
Ⅱ. 본론
1. 통증이란??
2. 관절염이란??
3. 통증관리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 근육신전 운동)
목적 : 근육, 건, 인대, 관절의 유연성과 움직임을 증가시키고 유지시킨다.
활동과 일상생활 움직임을 편하게 하고 근육의 긴장을 감소시키는 데에 필요하며, 좋은 자세와 근육강화를 위해 중요하다.
①목의 유연성 운동
㉮고개 운동 : 턱, 목, 그리고 등의 상부쪽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이다.
㉯좌우로 돌리기와 기울이기 : 이때 주의할 점은, 어깨가 귀쪽으로 따라 올라가면 안된다.
②어깨와 팔꿈치 운동
㉮어깨 돌리기
㉯팔뻗기
㉰팔 굽혔다 들기 : 팔의 긴장을 풀고 팔꿈치를 똑바로 내린다. 그 다음 손이 어깨에 닿도록 팔꿈치를 구부린다. 그리고 팔꿈치를 최대한 편 자세로 천장을 향해 손을 뻗는다. 팔꿈치와 어깨를 뻗는 자세로 최대한 높이 닿게 한다. 손을 뻗은 상태로 숨을 들이쉬고 처음 자세로 돌아온 뒤에 숨을 내쉰다.
㉱등긁기 : 양손가락 끝이 서로 닿은 것을 확인할 후 힘을 뺀다. 이완한 뒤 팔의 위치를 교대로 바꾼다.
㉳ 도르래 돌리기 운동
㉴ 양손으로 막대기 올리기 운동
③손목, 손가락 운동
㉮손가락 쥐었다 펴기 운동
㉯엄지손가락 운동 : 손목을 똑바로 펴고 엄지와 각각의 다른 손가락을 맞대어서 ‘0’자를 만든다.
㉰손목운동 : 손목을 유연하고 강하게 하기 위한 운동이다.
④채간과 등의 운동
㉮몸체 꼬기 : 천천히 부드럽게 허리를 한쪽으로 돌린 다음 반대쪽으로 돌린다.
㉯옆구리 운동 : 이 운동은 몸체, 어깨, 팔꿈치, 손을 위한 뻗기 위한 운동이다.
㉰다리흔들기 : 누워서 양손으로 무릎을 가슴까지 끌어당긴 채 약 10초간 멈춘 다음에 둔부를 좌우로 흔들면서 천천히 무릎을 오른쪽, 왼쪽으로 돌린다.
㉱무릎 구부리기 : 이 운동은 누워서 허리의 근육을 펴기 위한 것이다.
㉲고양이 등 만들기 : 등을 이완하고 복부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⑤둔부, 무릎의 운동
㉮둔부 돌리기 : 둔부의 유연성을 기르고 편안하게 걷거나 서기 위한 운동이다.
㉯대퇴부 흔들기 : 눕거나 서서하는 운동으로 양다리를 오므렸다 벌렸다 한다.
㉰대퇴후면근 뻗기 운동 : 눕거나 앉아서 하퇴를 들어올리는 운동이다.
⑥발목과 발가락 운동
㉮발목 돌리기 운동
㉯발가락으로 수건 걷어올리기 운동
㉰발가락으로 구슬줍기 운동
㉱발가락으로 병이나 컵 굴리기 운동
(2) 근력강화 운동
근력강화 운동으로 보통 때보다 더 많이 활동하면 근육은 더 강해지면서 점차로 힘든일에 적응하게 된다.
①등과 복부 근력강화 운동
㉮하복부 힘주기
㉯상체들기 운동
㉰윗몸 일으키기
㉱복부근육운동
②둔부 근력강화 운동
㉮서서 뒷발차기
㉯엎드려 뒤로 발들기
③하부 근력강화 운동
㉮의자에 앉아 다리들어 올리기
㉯내측슬건 신전운동
Ⅲ.결론
서론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관절염 이라함은 노환으로 오는 하나의 과정으로만 생각했었는데 그 외에 많은 관절염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또한 그 관절염은 노환으로 오기 때문
에 그 통증은 어쩔수 없이 과정 속에 겪어야 한다는 편파적인 생각도 바뀌게 되었다.
대부분의 대부분 많은 대상자들은 관절염의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이 patch(파스)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 관절염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연구하는 일에 많은 참여와 투자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관절염을 간호할 의료인으로써 더욱 관절염의 예방과 치료에 관심을 두고, 먼저 주위 관절염으로 고생하시는 대상자들에게 교육하고 관심을 갖아야 할 것이다.
Ⅳ.참고문헌
대한간호학회지 2001.04
통합적 재활 간호- 신광출판사- 서문자
관절염-신광출판사
관절염 건강증진 프로그램- 정담출판사 - 김영란
통증 - 대한 통증 연구학회 - vol7. oct. 1997
성인간호학 4 - 현문사
목적 : 근육, 건, 인대, 관절의 유연성과 움직임을 증가시키고 유지시킨다.
활동과 일상생활 움직임을 편하게 하고 근육의 긴장을 감소시키는 데에 필요하며, 좋은 자세와 근육강화를 위해 중요하다.
①목의 유연성 운동
㉮고개 운동 : 턱, 목, 그리고 등의 상부쪽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이다.
㉯좌우로 돌리기와 기울이기 : 이때 주의할 점은, 어깨가 귀쪽으로 따라 올라가면 안된다.
②어깨와 팔꿈치 운동
㉮어깨 돌리기
㉯팔뻗기
㉰팔 굽혔다 들기 : 팔의 긴장을 풀고 팔꿈치를 똑바로 내린다. 그 다음 손이 어깨에 닿도록 팔꿈치를 구부린다. 그리고 팔꿈치를 최대한 편 자세로 천장을 향해 손을 뻗는다. 팔꿈치와 어깨를 뻗는 자세로 최대한 높이 닿게 한다. 손을 뻗은 상태로 숨을 들이쉬고 처음 자세로 돌아온 뒤에 숨을 내쉰다.
㉱등긁기 : 양손가락 끝이 서로 닿은 것을 확인할 후 힘을 뺀다. 이완한 뒤 팔의 위치를 교대로 바꾼다.
㉳ 도르래 돌리기 운동
㉴ 양손으로 막대기 올리기 운동
③손목, 손가락 운동
㉮손가락 쥐었다 펴기 운동
㉯엄지손가락 운동 : 손목을 똑바로 펴고 엄지와 각각의 다른 손가락을 맞대어서 ‘0’자를 만든다.
㉰손목운동 : 손목을 유연하고 강하게 하기 위한 운동이다.
④채간과 등의 운동
㉮몸체 꼬기 : 천천히 부드럽게 허리를 한쪽으로 돌린 다음 반대쪽으로 돌린다.
㉯옆구리 운동 : 이 운동은 몸체, 어깨, 팔꿈치, 손을 위한 뻗기 위한 운동이다.
㉰다리흔들기 : 누워서 양손으로 무릎을 가슴까지 끌어당긴 채 약 10초간 멈춘 다음에 둔부를 좌우로 흔들면서 천천히 무릎을 오른쪽, 왼쪽으로 돌린다.
㉱무릎 구부리기 : 이 운동은 누워서 허리의 근육을 펴기 위한 것이다.
㉲고양이 등 만들기 : 등을 이완하고 복부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⑤둔부, 무릎의 운동
㉮둔부 돌리기 : 둔부의 유연성을 기르고 편안하게 걷거나 서기 위한 운동이다.
㉯대퇴부 흔들기 : 눕거나 서서하는 운동으로 양다리를 오므렸다 벌렸다 한다.
㉰대퇴후면근 뻗기 운동 : 눕거나 앉아서 하퇴를 들어올리는 운동이다.
⑥발목과 발가락 운동
㉮발목 돌리기 운동
㉯발가락으로 수건 걷어올리기 운동
㉰발가락으로 구슬줍기 운동
㉱발가락으로 병이나 컵 굴리기 운동
(2) 근력강화 운동
근력강화 운동으로 보통 때보다 더 많이 활동하면 근육은 더 강해지면서 점차로 힘든일에 적응하게 된다.
①등과 복부 근력강화 운동
㉮하복부 힘주기
㉯상체들기 운동
㉰윗몸 일으키기
㉱복부근육운동
②둔부 근력강화 운동
㉮서서 뒷발차기
㉯엎드려 뒤로 발들기
③하부 근력강화 운동
㉮의자에 앉아 다리들어 올리기
㉯내측슬건 신전운동
Ⅲ.결론
서론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관절염 이라함은 노환으로 오는 하나의 과정으로만 생각했었는데 그 외에 많은 관절염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또한 그 관절염은 노환으로 오기 때문
에 그 통증은 어쩔수 없이 과정 속에 겪어야 한다는 편파적인 생각도 바뀌게 되었다.
대부분의 대부분 많은 대상자들은 관절염의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이 patch(파스)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 관절염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연구하는 일에 많은 참여와 투자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관절염을 간호할 의료인으로써 더욱 관절염의 예방과 치료에 관심을 두고, 먼저 주위 관절염으로 고생하시는 대상자들에게 교육하고 관심을 갖아야 할 것이다.
Ⅳ.참고문헌
대한간호학회지 2001.04
통합적 재활 간호- 신광출판사- 서문자
관절염-신광출판사
관절염 건강증진 프로그램- 정담출판사 - 김영란
통증 - 대한 통증 연구학회 - vol7. oct. 1997
성인간호학 4 - 현문사
추천자료
요통(Herniated disk)의 발생 원인과 증상 그리고 효과적인 치료방법
정형외과 약물(관절염)
정형외과간호진단
case study 관절염
신체 활동 및 건강(고혈압)
arthritis (관절염)
지역사회간호-방문간호 관절염 케이스
방통대 간호학 졸업 논문
case_study
간호진단/간호과정 배우기 예문4개
노인 근골격계 질환 : 만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변형성 관절증, 골절, 절단, 파킨슨병, 골다공증
[간호이론 E형] 베티뉴먼의 주요개념 적용 1) 주어진 이론에 대해 간략히 정리 2) 사례대상자...
[간호이론 A형] 압델라의 21개 간호문제nursing problem목록 적용 1) 주어진 이론에 대해 간...
노년기의 건강관리와 질병(노년기 관절염, 고혈압, 심장질환, 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