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대적 배경
2. 조선시대 교육의 개관 및 변화
3. 조선시대의 관학
▪ 성균관 ▪ 4학 ▪ 향교
▪ 종합과 잡과
4. 조선시대의 사학
▪ 서원 ▪ 서당
5.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개관
6.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학교교육의 관계
7. 성리학과 교육
2. 조선시대 교육의 개관 및 변화
3. 조선시대의 관학
▪ 성균관 ▪ 4학 ▪ 향교
▪ 종합과 잡과
4. 조선시대의 사학
▪ 서원 ▪ 서당
5.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개관
6.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학교교육의 관계
7. 성리학과 교육
본문내용
계승, 발전시켜 갑오경장(1894)까지 존속
양반사회로의 진출에 유일한 법적 근거를 가져다주었으며, 절대적인 관리 등용 통로
로서, 관료의 출발을 보장해주는 제도가 됨
근본 취지는 국가의 유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제도였으나, 학교교육을 과거급제의 수단으로 전락시키는 등 그 운용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파생
특징
고려시대의 과거제도에는 무과가 없는데 반해, 문무(文武)를 운영
문관 위주로서 문과가 중요시 됨
생원시(生員試) 중시 : 유학경전 암기
관학을 육성하여 과거제와 유기적으로 연결
종류
식년시(式年試)
: 정기 시험
(3년에 1회)
문과
생진과(生進科) : 소과(사마시).
대과에 응시하기 전에 보는 시험, ‘생원시’와 ‘진사시’로 나뉨
문과(文科) : 대과(동당시).
관리로 임용되는 시험, 조선 왕조의 최고단계 시험
무과
무관 선발, 조선시대 처음으로 시행
잡과
기술관료 선발
별시(別試)
: 부정기 시험
증광시 : 국가 경사시에 보는 특별시험
알성시 : 왕이 성균관에 제사할 때 실시되었던 시험
백일장 : 시골 유생의 학문 장려를 목적으로 하는 시험
절일제 : 삼일제, 칠석제, 구일제에 치르는 시험
■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학교교육의 관계
1. 과거제도와 학교교육과의 관계
문과 : 성균관 / 생진과(향교, 사학)
무과 : 무학
잡과 : 역과(역학) / 의과(의학) / 음양과(음양학) / 율과(율학)
2. 과거제도가 학교 교육에 끼친 영향
국가의 교육목적은 인재양성에 있었으나, 과거제로 인해 학교교육은 본래 목적을 상실하 고 개인적 영달과 양반계층의 편입 유지라는 수단으로 전락
성균관을 비롯한 모든 관ㆍ사의 교육기관은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기관으로 전락
과거의 시험과목이 학교의 교과목이 됨
■ 성리학과 교육
발전
송학(宋學)의 영향
사화(士禍)의 영향
목표
존양(存養) : 천직의 본성을 잘 기름
궁리 : 도리를 궁구함
존양과 궁리를 통해 우주의 근본원리를 탐구하며, 천(天)ㆍ인(人)의 관계를
간파하고 인생 당위의 본무를 발견하고자 함
교육
목적
윤리 도덕에 중점을 두어 선인을 양성하는데 있으며, 최종 목적은 성현(聖賢)에 도달
교육
방법
기본방법 : 성현(聖賢)이 하던 일을 본뜨는데 있음
교과서 : 소학(小學), 사서(四書), 삼경(三經)
숭배대상 : 공(孔), 맹(孟), 정(程), 주(朱)
수양강령 :「궁리와 치지」,「정심과 성의」,「중화와 성명」,「신독과 경쟁」
교육 실천요목 : 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렴(廉) 치(恥)
학습에는 단계가 있었으나 융통성을 인정,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도덕실천이기
때문에 실천학으로서 성리학을 강조
술이부작(述而不作) : 경전을 읽는 그대로 덧붙이지 않음
비판점
실물을 대상으로 하지 않으므로 변증과 실험이 없고, 오관에 느끼지 않은
특수신경의 환상적 설화이기 때문에 일반교육의 기본적인 철학이 되기 곤란
학습자는 수양에 편중, 지식계급은 성리공담에 빠지고 노동을 경시,
과학과 생산 및 정치 경제에도 무지
양반사회로의 진출에 유일한 법적 근거를 가져다주었으며, 절대적인 관리 등용 통로
로서, 관료의 출발을 보장해주는 제도가 됨
근본 취지는 국가의 유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제도였으나, 학교교육을 과거급제의 수단으로 전락시키는 등 그 운용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파생
특징
고려시대의 과거제도에는 무과가 없는데 반해, 문무(文武)를 운영
문관 위주로서 문과가 중요시 됨
생원시(生員試) 중시 : 유학경전 암기
관학을 육성하여 과거제와 유기적으로 연결
종류
식년시(式年試)
: 정기 시험
(3년에 1회)
문과
생진과(生進科) : 소과(사마시).
대과에 응시하기 전에 보는 시험, ‘생원시’와 ‘진사시’로 나뉨
문과(文科) : 대과(동당시).
관리로 임용되는 시험, 조선 왕조의 최고단계 시험
무과
무관 선발, 조선시대 처음으로 시행
잡과
기술관료 선발
별시(別試)
: 부정기 시험
증광시 : 국가 경사시에 보는 특별시험
알성시 : 왕이 성균관에 제사할 때 실시되었던 시험
백일장 : 시골 유생의 학문 장려를 목적으로 하는 시험
절일제 : 삼일제, 칠석제, 구일제에 치르는 시험
■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학교교육의 관계
1. 과거제도와 학교교육과의 관계
문과 : 성균관 / 생진과(향교, 사학)
무과 : 무학
잡과 : 역과(역학) / 의과(의학) / 음양과(음양학) / 율과(율학)
2. 과거제도가 학교 교육에 끼친 영향
국가의 교육목적은 인재양성에 있었으나, 과거제로 인해 학교교육은 본래 목적을 상실하 고 개인적 영달과 양반계층의 편입 유지라는 수단으로 전락
성균관을 비롯한 모든 관ㆍ사의 교육기관은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기관으로 전락
과거의 시험과목이 학교의 교과목이 됨
■ 성리학과 교육
발전
송학(宋學)의 영향
사화(士禍)의 영향
목표
존양(存養) : 천직의 본성을 잘 기름
궁리 : 도리를 궁구함
존양과 궁리를 통해 우주의 근본원리를 탐구하며, 천(天)ㆍ인(人)의 관계를
간파하고 인생 당위의 본무를 발견하고자 함
교육
목적
윤리 도덕에 중점을 두어 선인을 양성하는데 있으며, 최종 목적은 성현(聖賢)에 도달
교육
방법
기본방법 : 성현(聖賢)이 하던 일을 본뜨는데 있음
교과서 : 소학(小學), 사서(四書), 삼경(三經)
숭배대상 : 공(孔), 맹(孟), 정(程), 주(朱)
수양강령 :「궁리와 치지」,「정심과 성의」,「중화와 성명」,「신독과 경쟁」
교육 실천요목 : 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렴(廉) 치(恥)
학습에는 단계가 있었으나 융통성을 인정,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도덕실천이기
때문에 실천학으로서 성리학을 강조
술이부작(述而不作) : 경전을 읽는 그대로 덧붙이지 않음
비판점
실물을 대상으로 하지 않으므로 변증과 실험이 없고, 오관에 느끼지 않은
특수신경의 환상적 설화이기 때문에 일반교육의 기본적인 철학이 되기 곤란
학습자는 수양에 편중, 지식계급은 성리공담에 빠지고 노동을 경시,
과학과 생산 및 정치 경제에도 무지
추천자료
조선시대의 과거제도
[교육철학 및 교육사] 성리학과 여성
포스트 모더니즘과 교육철학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소설을 배격한 이유
성리학 교육철학(교육사상) 이이, 실학 교육철학(교육사상) 유형원, 실학 교육철학(교육사상)...
교육과정 공통) 교육철학이론의 주요 개념과 강조점
[자연주의][자연주의 교육철학]자연주의와 사실주의, 자연주의의 개념, 자연주의의 발생배경,...
[조선시대 음악][조선 음악][조선시대 음악 여악][조선시대 음악 만횡청][조선시대 음악 잡가...
[조선시대 회화][조선시대 회화 환경][조선시대 회화 작품][산수화][풍속화]조선시대 회화의 ...
[음악][고구려시대 음악][백제시대 음악][신라시대 음악][고려시대 음악][조선시대 음악][고...
교육과정4공통) 교육철학이론의 주요 개념과 강조점에 대한 고찰
(A+레포트) 조선시대 법의 특징 및 현대시대 법과의 차이 비교분석과 세종대왕의 법인식과 사...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님 작품분석, 조선...
조선시대의 유모와 현재 보육교사의 역할에 따른 자격요건을 비교하여 서술하고 자신이 생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