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참이슬 소주의 마케팅 성공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기업 및 제품소개
2. 환경 분석
3. 경쟁사 분석
4. SWOT 분석
5. STP 분석
6. 4P 분석
7. 향후 전략 방안
8. 최종 결론

본문내용

러기 위하여 일반 가정용 진로소주를 생산중단하고 진로 GOLD소주를 가정용과 업소용으로 공급하되 그 생산량을 현재의 점유율 60%에서 40%로 낮추고, 참이슬을 주력 생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은 먼저 일반 가정용 진로소주를 애호하던 소주 1세대들이 진로 GOLD 소주로 흡수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하였고 참이슬의 시장 성장률로 보아 대량생산할 경우 진로의 대표상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하였기 때문이다.
2) 현재의 유통경로를 잘 활용
진로는 현재 소주시장을 80%정도 점유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도. 소매를 통한 유통 경로를 그대로 유지한다면 새로운 투자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3) 참이슬의 군 납화
한참 젊은 나이에 군대에 있는 군인(사병, 장교)들에게 판매이익에서는 줄어들겠지만 참이슬을 군납 화하여 공급한다면, 이들이 제대 후에 참이슬을 애호하는 새로운 세대로 등장하게 될 것이다.
(3) 상품디자인
참이슬 fresh의 로고는 현재 한글체로 되어있으며 녹색을 띤다. 이것은 자연, 건강을 상징하여 무의식중에 소비자에게 참이슬은 웰빙을 지향한다는 것은 심어주게 된다. 또한 참이슬의 로고는 이슬체라는 손 글씨체로 되어있는데 이것은 친근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게 된다. 또한 기존의 참이슬 병은 20대층을 겨냥하여 기존의 것보다 작고 슬림 하다. 30대를 겨냥하여 소주병을 만든다면 20대층을 겨냥한 디자인보다 좀 더 친근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 투박한 느낌이 나는 손글체를 이용하여 좀 더 소박하고 털털한 느낌이 주게 만들어 시각적인 면에서 먼저 다가가기 쉽게 만들어 매출을 올릴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국순당과 같이 고급스러우면서도 참이슬 fresh가 가지고 있는 웰빙과 세련됨을 그대로 유지한다면 세대 공감은 쉽게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4) 광고
술을 2번째로 많이 마시는 30대 연령층 대부분은 가정을 이루고 있고, 직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술을 마시게 되면 자연스레 집에 들어가는 시간이 늦어지게 되고 이렇게 되면 가족들과 보낼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참이슬 fresh는 집에서 마셔도 맛있는 술, 밖에서는 물론 집 안에서 마셔도 어울리는 술이란 이미지를 심어주어 30대를 집 안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가족들과 있는 늘어나게 되므로 가족들과의 세대공감 이라는 모토에 부합할 수 있다. 또한 참이슬 fresh가 천연대나무 숯 정제과정에서 주정의 불순물 등의 술독요소가 제거되며, 칼륨 등 필수 미네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음을 강조하여 비교적 기존 다른 술과 달리 몸을 생각한 술임을 부각시켜 나를 위해서일 뿐만 아니라 내 가족을 위해 좀 더 순한 참이슬 fresh를 마셔한다는 이미지를 심어준다.
(5) 과학적 연구 능력
marring 공법은 위스키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공법으로 BCA 및 천연 대나무 숯 정제과정을 거처 제조한 소주의 모든 성분에 미세한 운동 작용을 지속적으로 가해 각자의 성분이 유기적인 분자구조로 안정화, 균질화되어 첫 맛부터 마지막 끝 맛까지 부드럽게 유지시켜준다.
(6) 상품성능 개선 능력
기존의 술과는 달리 BCA라 불리는 교반공법을 사용하여 천연대나무 숯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칼륨이온 등 필수 미네랄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현대인들은 영양의 과잉 섭취와 달콤한 음식에 익숙해지면서 비만과 당뇨병과 같은 서구형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나 우리가 쉽게 마시고 먹는 음료수와 과자 등을 총해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권장량이상의 설탕을 섭취하고 있다. 소주에도 역시 첨가물로 설탕(액상과당)이 들어가는데 참이슬 fresh는 핀란드산 100% 순수과당(결정과당)을 첨가하여 당지수를 낮추어 설탕보다는 단맛을 더 느끼나 섭취 시 바로 흡수되지 않고 숙취의 원인인 아세트알데히드를 빠르게 분해시켜 숙취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8. 최종 결론
진로가 “참이슬”를 출시하며 세운 모든 계획과 목표는 단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아줌마! 여기 참이슬 한 병 더 주세요.”라는 소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었고, 그 결과는 아무도 예상치 못했던 최단기간(6개월) 1억 병 돌파라는 신기록이다. 이러한 성공은 “참이슬”의 기획, 연구개발, 마케팅, 현장 영업 등 일련의 모든 활동에 있어서 철저한 “고객 중심”이란 원칙을 지켜나간 데 있다. “참이슬”의 기획 당시는 IMF라는 특수한 시장 상황이 지배하고 있었다. 기업에 있어서는 신상품 개발, 출시를 최대한 억제하며 기존 제품을 통해 안정적 수입이 가장 적합한 대응방안이라는 의식이 마치 IMF의 그림자처럼 퍼져 있었다. 또한 진로는 70년 전통과 70년대 이후 줄곧 업계 1위를 지켜오고 있었으며, 장수 브랜드이자 안정적인 수입원인 “진로소주”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참이슬”를 준비하게 된 진로의 판단은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참이슬”의 성공 요인은 그곳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고객을 향한 진로 전 직원의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영업사원, 관리직사원, 공장 전 사원 등 진로 전 직원이 일주일에 2회씩 업소 방문을 통해 업소 주인과 고객을 만나며 제품을 설명하지 않고 마음을 전했다. 이것이 “참이슬”가 고객의 부르는 소리로 변할 수 있었던 힘이었다. 그리고 신상품을 성공시키기 위해 경주했던 진로 모든 부서의 특별한 노력들과 “제품 차별화, Brand naming 전략, 광고 전략 등”이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모든 노력들의 뿌리가 고객에 있지 않았다면 6개월 남짓한 기간 동안 신상품으로서 1억 병을 돌파하는 신기원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참고자료>
www.jinro.com
www.chamisulfresh.com
www.soju.co.kr
economy.hankooki.com
www.hankyung.com
www.moneytoday.co.kr
맞수기업열전 - 정혁준, 에쎄, 2009
참이슬 : 처음처럼 출시 그 이후 - emars 편집부, emars, 2008
브랜드와 디자인의 힘 - 손혜원, 해냄출판사, 2006
작은 회사는 전략이 달라야 산다. - 황문진, 가림출판사, 2006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12.05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20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