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교육]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정의, 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특성과 목표, 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관련 근육발달, 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수업 사례와 지도 방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육교육]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정의, 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특성과 목표, 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관련 근육발달, 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수업 사례와 지도 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정의

Ⅲ. 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특성과 목표

Ⅳ. 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관련 근육발달
1. 가슴 부위 근육
1) 대흉근(pectoralis Major)
2) 소흉근(pectoralis Minor)
3) 쇄골하근(subclavius)
4) 전거근(serratus Anterior)
2. 등 부위 근육
1) 승모근(Trapezius)
2) 광배근(Latissimus Dorsi)
3) 대능형근(Rhomboids Major)
4) 소능형근(Rhomboids Minor)
3. 어깨 부위 근육
1) 삼각근(Deltoids)
2) 극상근(Supraspinatus)
3) 극하근(Infraspinatus)
4) 대원근(Teres Major)
5) 소원근(Teres Minor)
6) 견갑거근(Levator Scapula)
4. 팔 부위 근육
1) 상완 이두근(Biceps Brschii)
2) 상완골(Brachialis)
3) 상완 삼두근(Triceps Brachii)
4)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
5) 장요측 수근 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6) 단요측 수근 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7) 척측 수근 신근(Extensor Carpi Ularis)
8) 지신근(Extensor Digitorum)
9) 소지신근(Extensor Digiti Minimi)
10) 시지신근(Extensor Indicis)
11) 회외근(Supinator)
12) 장무지 외전근(Abductor Pollicis Longus)
13) 단무지 신근(Extensor Pollcis Brevis)
14) 장무지 신근(Extensor Pollcis longus)
15) 원회내근(Pronator Teres)
16) 방형회내근(Pronator Quadratus)
17) 척측 수근 굴근(Flexor Carpi Ulnaris)
18) 장장근(Palmaris Longus)
19) 요측수근 굴근(Flexor Carpi Radialis)
20) 천지굴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21) 심지굴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22) 장무지 굴근(Flexor Pollicis Longus)
23) 오훼완근(Coracobrachialis)

Ⅴ. 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수업 사례

Ⅵ. 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지도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거닐고 있었어요. 그 때 어디선가 회오리바람이 불어 왔어요.(강한 바람 소리) 저 멀리서 바람을 타고 무언가 날아옵니다. 종이가 춤을 추듯 날아오고 있어요. 날아온 종이가 바위 밑에 떨어져 구겨지는군요. 그 때 어디선가 쿵 하는 소리가 들려 왔어요. 어 무얼까? 아 하 그것은 바로 캔이 바위에 부딪히는 소리였어요. 캔은 우리 앞에까지 데구르르 굴러와 멈추네요. 여러분은 날아온 종이와 굴러온 캔을 어떻게 할래요? (학생들 나름대로 표현한다.)
T7, 종이가 바람에 날아오는 장면은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요?
S5, 몸을 흔들고, 비틀고, 돌려서 표현하였습니다.
T8, 음료수 캔이 굴러오는 장면은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요?
S6, 몸을 굴려서 표현하였습니다.
T9, 자연의 오염에 대하여 꾸며온 이야기를 발표해 볼까요?
S7, 저희 소망 모둠에서는 바닷물이 오염되기 전과 오염된 후의 모습을 이야기로 꾸며 보았습니다.
S8, 저희 용기 모둠에서는 공기가 오염되기 전과 오염 된 후의 모습을 이야기로 꾸며 보았습니다.
S9. 저희 순수 모둠에서는 땅이 오염되기 전과 오염된 후의 모습을 이야기로 꾸며 보았습니다.
T10, 모둠별로 이야기를 춤으로 표현할 때에는 어떤 점에 주의해서 해야 할까요?
S10, 자기의 의견을 고집하지 않고 여러 사람의 의견에 따라 사이좋게 표현해야 합니다.
S11, 자기가 맡은 역할을 잘 표현해야 합니다.
S12, 꾸민 이야기에 어울리지 생각하며 표현해야 합니다.
순서 제시
녹음 자료
(이야기 자료)
이야기에 맞게 표현하는 대상을 바꿔가면서 몸을 다양하게 움직여 표현한다.
움직임의 요소를 행동으로 표현하여 찾아 볼 수도 있다.
예습적 과제를 발표한다.
단계
교수·학습 활동
비고
연습
(15 ’)
역할을 정하고 이야기에 맞는 움직임 만들기
T11, 네, 아주 잘 알고 있네요. 그러면 음악과 소품을 이용하여 모둠별로 의견을 모아 재미있게 표현해 봅시다.
Sn, (연습 장소로 이동하여 모둠별로 토의를 한 후 여러 가지 동작을 꾸며서 표현해 본다.)
(자연의 오염에 대한 이야기)
바닷물이 오염되기 전과 오염된 후의 이야기
공기가 오염되기 전과 오염된 후의 이야기
땅이 오염되기 전과 오염된 후의 이야기
사용되는 배경 음악은 수업 시작하기 전에 많이 들려주어 음악에 친숙하게 해 준다.
녹음 자료
발전
(12 ’)
발표하기
T12, (모둠 자리로 모이게 한 후) 그러면, 모둠별로 표현한 내용을 발표해 볼까요?
Sn, (보는 아동들은 잘된 점과 고칠 점을 찾아본다.)
T13, 어느 모둠이 재미있게 잘 표현했는지 잘된 점과 고칠 점을 이야기해 볼까요?
S13. 소망 모둠이 바닷물에서 숨쉬기 힘들어하는 물고기의 모습을 잘 표현했습니다.
S14. 용기 모둠이 사람들이 숨쉬기 힘들어하는 모습을 잘 표현했습니다.
S15. 순수 모둠이 새싹이 고통스럽게 죽어 가는 모습을 잘 표현했습니다.
T14, 모둠별로 역할을 바꾸거나, 고칠 점을 고쳐서 다같이 자유롭게 표현해 보도록 합시다.
Sn, (음악에 맞추어 자유롭게 표현한다.)
시간을 적당히 안배하여 모든 모둠이 발표할 수 있게 하고 한 모둠이 발표가 끝나면 서로 평가하여 본다.
다같이 음악에 맞추어 표현한다.
정리

과제
파악
(5 ’)
학습 내용 정리하기
차시 예고 하기
예습적 과제 파악하기
정리 운동하기
T15, (모둠 자리로 모이게 한 후) 이 시간 공부를 통해서 알게된 점이나 느낀 점을 발표해 볼까요?
S16. 음악에 맞추어 표현한 점이 참 재미있었습니다.
S17. 서로 협동하여 나타내니까 더 멋있었습니다.
S18. 자연을 아끼고 보호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T16, (음향 자료를 제시하며) 다음 시간에는 무엇을 공부하게 되는지 말해 볼까요?
S19. 곤충의 움직임을 표현 해 보면 좋겠습니다.
S20. 곤충 나라 이야기를 표현해 보면 좋겠습니다.
T17, 잘 말해 주었어요. 그럼 여러 가지 곤충의 특징을 알아오도록 합시다.
Sn, (예습적 과제를 재확인한다.)
T18, (모둠 자리로 이동하여) 음악에 맞추어 몸을 부드럽게 풀어 주세요.
Sn, (사용한 신체 부위를 부드럽게 풀어준다.)
열심히 공부한 어린이와 좋은 동작을 보여준 어린이에게 지도적 평가를 통해 자신감을 갖게 한다.
녹음 자료
(곤충의 소리)
녹음 자료
(숲 속을 걸어요)
Ⅵ. 체육과 움직임교육(움직임수업)의 지도 방법
움직임 교육의 교육과정은 교육 무용, 교육 체조, 교육 게임 등으로 내용이 재편되어 활용되고 있고, 운동의 의미나 운동의 개인적 의미 자체가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목표가 된다.
이 교육과정은 일반적으로 전통적 교육과정에서 엿볼 수 있는 경쟁적 특성을 크게 강조하지 않는다. 고학년에서는 과학적, 미적 관점에서 운동을 하거나, 운동의 역학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강조된다. 스포츠 유형의 활동도 지도되기는 하지만, 보다 분석적인 관점에서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을 강조하는 운동의 과정(process)을 중시한다.
따라서 움직임 교육의 지도는 간접 지도 방법으로 탐구 학습, 문제 해결 학습 등의 학생 중심의 지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런 이유로 흔히 움직임 교육을 체육의 탐구 학습법의 한 유형으로 보기도 한다.
움직임 교육 모형은 모든 운동 내용을 총체적인 체제로 접근할 수 있는 이론을 제안해 주었고. 교수 단서 제공, 피드백과 발문 등의 지도 방법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학교 시설, 학습 교구 현황, 다인수 학급 및 교사의 이해 부족 등으로 이 프로그램을 그대로 적용하는 데에는 많은 한계점이 뒤따른다. 교사의 탐구적 지도 능력이 충분히 배양되어야만 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김용환, 인간성 회복을 위한 체육교육 방안, 청주 교육 대학교
- 김형중, 움직임교육과 초등학교의 체육수업, 광주광역시교육청, 2000
- 박인숙, 움직임이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대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1978
- 윤명희, 체육교육과정개론, 태근출판사, 1999
- 최예중, 움직임 교육 입문, 태근문화사, 1993
- 한규령, 움직임교육 지도에 관한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12.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23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