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문
2. 판독문
3. 현대역
4. 해설
2. 판독문
3. 현대역
4. 해설
본문내용
인선왕후가 숙휘공주에게 쓴 한글 편지
<仁宣王后 御筆 御簡 조선 시대에 쓰인 옛 한글 편지는 흔히 \'언간(諺簡)\'으로 불린다. 이는 당시의 한글이 \'문자(文字)\', \'진서(眞書)\' 등으로 지칭된 한문(漢文)과 대비되어 \'언문(諺文)\'으로 불린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황문환 /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其十七>
1. 원문
2. 판독문
글월 글월 : [명]1. 글이나 문장, 2. \'편지\'를 달리 이르는 말, 3. 예전에 ‘글자’를 이르던 말.
『編은 글월 글씨라<月序11>』 『경은 곧 능전 글월 미라<능-10>』
‘글월’은 ‘글발’이라는 단어와 어원이 같은 말이다. ‘글월’이나 ‘글발’의 옛날 말은 글발인데 이것이 되었다가 ‘글월’로 되었다. 글+발>글(용비어천가 4:24)>글왈(월석 2:69)>글월
글 ㅡ글발 →(ㅸ→ㅂ), ㅡ글왈 →(ㅸ→ㅜ)
보고 보 보 : 보는.
: [의존명사]듯. 1. ‘듯이’의 준말, 2. 그런 것 같기도 하고 그렇지 아니한 것 같기도 함을 나타내는 말.
『늣기 반기듯 님이신가 아니신가<鄭澈.思美人曲>』
든〃 든〃 : 든든. 기본형은 든든다:[형]든든하다.
『더욱 든든여 <癸丑 p.179>』
* ‘〃’ : 이것은 거듭점(재점)이라고 한다. 편지 원문에서 동자반복이나 동어반복을 대신한 표시이다.
반기나 반기나 : [동]반가우나. ‘반기-’ +‘-나’의 형태로 어말 어미 ‘-나’는 앞말과 뒷말을 대립적으로 이어 준다. 기본형은 반기다[동].
『 장 반겨 거 <太平一39>, b.보면 반기
<仁宣王后 御筆 御簡 조선 시대에 쓰인 옛 한글 편지는 흔히 \'언간(諺簡)\'으로 불린다. 이는 당시의 한글이 \'문자(文字)\', \'진서(眞書)\' 등으로 지칭된 한문(漢文)과 대비되어 \'언문(諺文)\'으로 불린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황문환 /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其十七>
1. 원문
2. 판독문
글월 글월 : [명]1. 글이나 문장, 2. \'편지\'를 달리 이르는 말, 3. 예전에 ‘글자’를 이르던 말.
『編은 글월 글씨라<月序11>』 『경은 곧 능전 글월 미라<능-10>』
‘글월’은 ‘글발’이라는 단어와 어원이 같은 말이다. ‘글월’이나 ‘글발’의 옛날 말은 글발인데 이것이 되었다가 ‘글월’로 되었다. 글+발>글(용비어천가 4:24)>글왈(월석 2:69)>글월
글 ㅡ글발 →(ㅸ→ㅂ), ㅡ글왈 →(ㅸ→ㅜ)
보고 보 보 : 보는.
: [의존명사]듯. 1. ‘듯이’의 준말, 2. 그런 것 같기도 하고 그렇지 아니한 것 같기도 함을 나타내는 말.
『늣기 반기듯 님이신가 아니신가<鄭澈.思美人曲>』
든〃 든〃 : 든든. 기본형은 든든다:[형]든든하다.
『더욱 든든여 <癸丑 p.179>』
* ‘〃’ : 이것은 거듭점(재점)이라고 한다. 편지 원문에서 동자반복이나 동어반복을 대신한 표시이다.
반기나 반기나 : [동]반가우나. ‘반기-’ +‘-나’의 형태로 어말 어미 ‘-나’는 앞말과 뒷말을 대립적으로 이어 준다. 기본형은 반기다[동].
『 장 반겨 거 <太平一39>, b.보면 반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