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의
2. 작용
3. 기재의 정도
4. 기재의 방법
2. 작용
3. 기재의 정도
4. 기재의 방법
본문내용
나중에 변론기일(또는 변론준비절차)에 가서 청구를 이유 있게 할 사실관계를 적시에 제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를 소장에 처음부터 기재할 필요는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4. 기재의 방법
청구의 원인을 기재함에 있어서는 사실관계만 기재하면 족하고, 법률용어, 조문을 표시할 필요는 없다. 설사 기재하였다고 하더라도 법원은 이에 구속되지 않는다.
4. 기재의 방법
청구의 원인을 기재함에 있어서는 사실관계만 기재하면 족하고, 법률용어, 조문을 표시할 필요는 없다. 설사 기재하였다고 하더라도 법원은 이에 구속되지 않는다.
키워드
추천자료
민사소송법 한글판 법전입니다.
민사소송법 한글법전
민사소송에서의 소송의 이송에 대하여
민사소송에서 소권의 의미에 관한 논쟁
민사소송법상 형성의 소의 목적 성질에 따른 분류
민사소송법상 형성의 소에 대한 검토
민사소송법상 확인의 소에 대한 검토
민사소송법상 이행의 소에 대한 검토
민사소송법상 각종의 소의 소송물
민사소송법상 소송물의 양적범위
민사소송법상 소송요건의 조사
민사소송법상 처분권주의에서 소송물과 심판 범위의 결정
[민사소송법] 대기오염, 수질오염에 의한 공해소송과 같은 현대형 소송에서 증명책임의 주체...
[소비자피해구제관련법] 제조물책임법, 집단소송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