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장센이란
-미장센 요소와 기능
1.등장인물, 분장, 의상
2.톤과 조명
3.색채와 질감
4.장식과 소품
5.장소
-미장센 요소와 기능
1.등장인물, 분장, 의상
2.톤과 조명
3.색채와 질감
4.장식과 소품
5.장소
본문내용
장식과 소품
소품이나 장식을 통해 그것이 비치된 장소의 거주가의 직업, 전공, 취미, 습관, 시대, 재산상태, 성격 등에 대한 정보를 전해 줄 수 있다. 단순히 등장인물의 집이나 안방의 가구와 디자인만으로 그 인물에 대한 정보를 말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경과 숏 구성 또한 캐릭터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을 표현해줄 수 있다. 장식으로 캐릭터의 감정이나 처지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5. 장소
배경으로서의 영화 속 장소들은 분위기를 확립하기 위해 쓰인다.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분위기는 관객의 정서적 반응을 자극한다. 따라서 영화의 장소는 배경 이상의 역할을 하며 상징과 은유로서 기능한다. 가공적인 이야기를 돕기 위해 영화적 장소는 그것의 문자적, 아이콘의 의미를 뛰어넘는 어떤 의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선별되거나 계획된다. 상징으로서의 장소들은 그 자체 이상의 중요한 어떤 것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나홀로 집에>는 한 어린 소년이 가족들이 바캉스를 떠난 뒤 갑자기 홀로 남겨진 상황을 활용한다. 여기서 배경이 되는 장소들은 안전감을 주는 가정 같은 상징적인 장소들이다. 그것은 그들 자신의 운명을 통제할 수 있다는 의식을 제공해주는 곳으로서 언제든지 돌아갈 수 있다는 가정이 있다는 또는 그 가정에 있다는 느낌이다.
영화의 장소들은 캐릭터로서의 등장인물을 상징화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흥미로운 장소는 종종 극의 전개보다 더 힘이 있기도 하다. 영화에서 극중 인물의 특징을 묘사하기 위해 장소가 내재하고 있는 속성들을 이용할 수 있다. 관객들이 영화를 보는 동안 보는 동안 숏의 교차를 통해 극중 인물에 관한 추론이나 기분이나 상징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올드보이>에서 이우진이 거주하는 팬트하우스를 들 수 있다. 표면적으로 팬트하우스는 고층 건물의 최상층에 위치한 주택의 형태를 말하는데 이 공간은 외적으로 이우진의 경제능력이나 위치를 말할 수도 있겠지만 내적으로는 신의 위치에서 인간을 내려보듯 오대수를 조종하는 이우진의 전지적 능력의 의미로 표현된다. 또한 물의 공간은 이우진의 개인적 배경에 의의를 두고 있다. 누나와의 사랑에서 좌절된 외로움을 양수를 통해 위로받고 싶은 아이의 모습을 하고 있다. 물속으로 사라진 누나의 모습을 마지막으로 목격한 이우진으로서는 물은 그리움의 이미지로 기능할 수 있다.
초록물고기의 미장센 분석 : http://oldtheater.net/zbxe/1160
소품이나 장식을 통해 그것이 비치된 장소의 거주가의 직업, 전공, 취미, 습관, 시대, 재산상태, 성격 등에 대한 정보를 전해 줄 수 있다. 단순히 등장인물의 집이나 안방의 가구와 디자인만으로 그 인물에 대한 정보를 말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경과 숏 구성 또한 캐릭터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을 표현해줄 수 있다. 장식으로 캐릭터의 감정이나 처지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5. 장소
배경으로서의 영화 속 장소들은 분위기를 확립하기 위해 쓰인다.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분위기는 관객의 정서적 반응을 자극한다. 따라서 영화의 장소는 배경 이상의 역할을 하며 상징과 은유로서 기능한다. 가공적인 이야기를 돕기 위해 영화적 장소는 그것의 문자적, 아이콘의 의미를 뛰어넘는 어떤 의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선별되거나 계획된다. 상징으로서의 장소들은 그 자체 이상의 중요한 어떤 것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나홀로 집에>는 한 어린 소년이 가족들이 바캉스를 떠난 뒤 갑자기 홀로 남겨진 상황을 활용한다. 여기서 배경이 되는 장소들은 안전감을 주는 가정 같은 상징적인 장소들이다. 그것은 그들 자신의 운명을 통제할 수 있다는 의식을 제공해주는 곳으로서 언제든지 돌아갈 수 있다는 가정이 있다는 또는 그 가정에 있다는 느낌이다.
영화의 장소들은 캐릭터로서의 등장인물을 상징화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흥미로운 장소는 종종 극의 전개보다 더 힘이 있기도 하다. 영화에서 극중 인물의 특징을 묘사하기 위해 장소가 내재하고 있는 속성들을 이용할 수 있다. 관객들이 영화를 보는 동안 보는 동안 숏의 교차를 통해 극중 인물에 관한 추론이나 기분이나 상징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올드보이>에서 이우진이 거주하는 팬트하우스를 들 수 있다. 표면적으로 팬트하우스는 고층 건물의 최상층에 위치한 주택의 형태를 말하는데 이 공간은 외적으로 이우진의 경제능력이나 위치를 말할 수도 있겠지만 내적으로는 신의 위치에서 인간을 내려보듯 오대수를 조종하는 이우진의 전지적 능력의 의미로 표현된다. 또한 물의 공간은 이우진의 개인적 배경에 의의를 두고 있다. 누나와의 사랑에서 좌절된 외로움을 양수를 통해 위로받고 싶은 아이의 모습을 하고 있다. 물속으로 사라진 누나의 모습을 마지막으로 목격한 이우진으로서는 물은 그리움의 이미지로 기능할 수 있다.
초록물고기의 미장센 분석 : http://oldtheater.net/zbxe/1160
추천자료
소설과 영화의 미적(美的) 차연(差延)
부산 영화 영상 산업의 현황과 육성방안
소설과 영화 분석, 비교 (냉정과 열정 사이)
가족 멜로영화의 분석과 그 방향
한국 영화의 변천사
[영화감상문] '뤽 베송' - 잔다르크
한국 영화 주제와 흥행의 시대적 변화
역사 영화의 가치
초창기 영화의 미장센 분석
여성주의와 영화 - 연어알
한국 영화산업의 문제와 발전방향
일본의 영화와 애니메이션 총 정리
[영화비평] <글래디에이터 (Gladiator)>와 <1492 콜럼버스(1492: The Conquest Of Paradise)>...
[영화] 외계인보다 더 외계인 같은 우리의 자화상 - 디스트릭 9 (District 9)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