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2
1. 들어가는 말 -------------------- 2
2. RP(환매조건부채권)금리 ----------- 3
Ⅱ. 본론 ----------------- 4
1. 정책금리와 파급경로 ------------- 4
2. 금리의 경제요인에 대한 파급효과 --- 5
(1) 금리와 자산의 가치 --------------- 5
(2) 금리와 저축 --------------------- 6
(3) 금리와 투자 --------------------- 6
(4) 금리와 수출입-------------------- 7
(5) 금리와 통화량, 물가 -------------- 7
3. 금리와 경제성장 ---------------- 8
Ⅲ. 맺음말 --------------- 9
Ⅳ. 참고문헌 ------------- 10
1. 들어가는 말 -------------------- 2
2. RP(환매조건부채권)금리 ----------- 3
Ⅱ. 본론 ----------------- 4
1. 정책금리와 파급경로 ------------- 4
2. 금리의 경제요인에 대한 파급효과 --- 5
(1) 금리와 자산의 가치 --------------- 5
(2) 금리와 저축 --------------------- 6
(3) 금리와 투자 --------------------- 6
(4) 금리와 수출입-------------------- 7
(5) 금리와 통화량, 물가 -------------- 7
3. 금리와 경제성장 ---------------- 8
Ⅲ. 맺음말 --------------- 9
Ⅳ. 참고문헌 ------------- 10
본문내용
킨다.
(5) 금리와 통화량, 물가
일반적으로 금리인상은 통화량을 감소시킨다. 통화량은 본원통화와 파생통화로 구성된다. 본원 통화는 중앙은행이 발행한 지폐와 주화로 구성되고 파생통화는 예금은행들이 예금과 대출을 반복하면서 파생되는 화폐이다. 예금은행의 이런 화폐생산 행위를 신용창조라 하며, 신용창조는 은행들이 대출수요에 따라 예금을 대출하는 과정에서 생겨난다. 그런데 금리가 인상되면 대출수요가 줄게 되면서 은행의 신용창조가 위축된다. 파생통화의 창조과정이 위축되는 것이다. 이는 결국 통화량의 감소로 나타난다. 통화량감소는 화폐의 가치를 높이게 되고 물가를 낮추게 되는 것이다.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는 가장 고전적인 금융정책 수단이 바로 금리 인상이다.
3. 금리와 경제성장
금리가 오르면 경제성장에 유리할 것인가, 불리할 것인가? 이는 선진국과 개도국에 따라 다르다. 선진국의 경우 금리인상이 경제성장에 물리하며, 개도국의 경우엔 유리하다.
한 나라의 경제성작은 그 나라가 보유한 자본량, 노동력, 기술수준 등에 따라서 좌우된다. 이들 생간요소들이 증가할 때 비로소 경제성장이 나타난다. 금리는 이들 요인 중 자본량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금리가 오르면 한 나라의 자본ㄹ향은 증가 할까? 한 나라가 보유하는 자본량은 매년 투자를 통해 만들어 진다. 그런데 금리가 오르면 투자는 아무래도 위축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투자의 위축은 그 나라의 자본축적을 저해하고 결국 경제성장에 불리하게 한다. 이것은 투자가 금리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선진국의 경우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개도국은 어떠한가? 개도국에서 투자를 방해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높은 금리보다는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쉽게 구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투자 자금은 대부분 그 나라 국민들의 저축에서 나온다. 그러나 개도국에서는 국민들의 소득 수준이 낮아서 이들의 대부분은 기본적 의식주 마련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나라에서 금리인상은 저축을 늘리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투자가용자금을 늘려 투자증대를 가져온다. 즉, 금리의 인상이 경제 성장을 촉진 시키는 것이다.
Ⅲ. 맺음말
지금 전 세계적으로 미국 발 금융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모든 나라가 금융위기 극복 정책을 펼치고 있다. 미국은 제로금리를 통해 달러를 무 한정적으로 찍어내고 있으며 그 결과가 어떤 상황을 초래 할지 예측할 수 없다. 극복이냐, 혹은 더 제로금리로 인한 수렁에 빠지느냐. 이러한 시점에 우리나라가 경제 성장과 회복을 위해서 어떠한 금리정책을 펴야하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정책당국의 유동성 지원 대책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의 완화로 국내 자금 시장은 위기상황에서 일단 탈피하였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대폭인하하고 리먼 사태 이후 유동성 지원을 통해 2009년 1월까지 총 22조 원을 시장에 공급하였다.
그러나 기업 자금 사정은 여전히 경색되어 있고, 원/달러 환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시장의 불안감이 지속되고 있다. 은행의 기업대출은 2008년 하반기 이후 크게 둔화, 12월에는 6.6조원이나 감소하는 등 자금 공급이 부진하다.
이에 재정지출 확대 등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대책과 더불어 이러한 정책들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세부 조치가 필요하다. 민간부문의 경기회복 능력이 저하되어 있어 정부가 민간의 경제활동을 자극하는 재정확대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재정지출 확대에 따르는 구축효과를 상쇄하기 위해 금리 인하를 병행하는 정책조합을 구사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심경섭. 이명훈. 이영호. 이재암, 『금융제도와 금융시장 (우리 나라를 중심으로)』, 범한서적주식회사, 2007, pp27-42. pp178-200 참조.
2. 홍완표, 『금리의 경제학』, 신론사, 2008
3. 심경섭, 『금융시장의 이해』, 범한서적주식회사, 2005, pp2-28. pp75-95 참조.
4. 이지순, 『거시경제학 제3판』, 법문사, 2007, pp401-407 참조.
5. 황인성, 「2009년 세계경제 및 국내경제 전망」, 삼성경제연구 소, SERI Economic Outlook, 2009. 02. 16.
6. 한국은행, 「우리나라금융제도」, 한국은행, 2005, pp336-340
참조.
*인터넷 사이트
1. 국회전자도서관 : http://naver.nanet.go.kr/
2. 삼성경제연구소 : http://www.seri.org/
3. 관점이 있는 뉴스 - 프레시안 : http://www.pressian.com/
(5) 금리와 통화량, 물가
일반적으로 금리인상은 통화량을 감소시킨다. 통화량은 본원통화와 파생통화로 구성된다. 본원 통화는 중앙은행이 발행한 지폐와 주화로 구성되고 파생통화는 예금은행들이 예금과 대출을 반복하면서 파생되는 화폐이다. 예금은행의 이런 화폐생산 행위를 신용창조라 하며, 신용창조는 은행들이 대출수요에 따라 예금을 대출하는 과정에서 생겨난다. 그런데 금리가 인상되면 대출수요가 줄게 되면서 은행의 신용창조가 위축된다. 파생통화의 창조과정이 위축되는 것이다. 이는 결국 통화량의 감소로 나타난다. 통화량감소는 화폐의 가치를 높이게 되고 물가를 낮추게 되는 것이다.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는 가장 고전적인 금융정책 수단이 바로 금리 인상이다.
3. 금리와 경제성장
금리가 오르면 경제성장에 유리할 것인가, 불리할 것인가? 이는 선진국과 개도국에 따라 다르다. 선진국의 경우 금리인상이 경제성장에 물리하며, 개도국의 경우엔 유리하다.
한 나라의 경제성작은 그 나라가 보유한 자본량, 노동력, 기술수준 등에 따라서 좌우된다. 이들 생간요소들이 증가할 때 비로소 경제성장이 나타난다. 금리는 이들 요인 중 자본량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금리가 오르면 한 나라의 자본ㄹ향은 증가 할까? 한 나라가 보유하는 자본량은 매년 투자를 통해 만들어 진다. 그런데 금리가 오르면 투자는 아무래도 위축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투자의 위축은 그 나라의 자본축적을 저해하고 결국 경제성장에 불리하게 한다. 이것은 투자가 금리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선진국의 경우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개도국은 어떠한가? 개도국에서 투자를 방해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높은 금리보다는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쉽게 구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투자 자금은 대부분 그 나라 국민들의 저축에서 나온다. 그러나 개도국에서는 국민들의 소득 수준이 낮아서 이들의 대부분은 기본적 의식주 마련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나라에서 금리인상은 저축을 늘리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투자가용자금을 늘려 투자증대를 가져온다. 즉, 금리의 인상이 경제 성장을 촉진 시키는 것이다.
Ⅲ. 맺음말
지금 전 세계적으로 미국 발 금융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모든 나라가 금융위기 극복 정책을 펼치고 있다. 미국은 제로금리를 통해 달러를 무 한정적으로 찍어내고 있으며 그 결과가 어떤 상황을 초래 할지 예측할 수 없다. 극복이냐, 혹은 더 제로금리로 인한 수렁에 빠지느냐. 이러한 시점에 우리나라가 경제 성장과 회복을 위해서 어떠한 금리정책을 펴야하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정책당국의 유동성 지원 대책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의 완화로 국내 자금 시장은 위기상황에서 일단 탈피하였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대폭인하하고 리먼 사태 이후 유동성 지원을 통해 2009년 1월까지 총 22조 원을 시장에 공급하였다.
그러나 기업 자금 사정은 여전히 경색되어 있고, 원/달러 환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시장의 불안감이 지속되고 있다. 은행의 기업대출은 2008년 하반기 이후 크게 둔화, 12월에는 6.6조원이나 감소하는 등 자금 공급이 부진하다.
이에 재정지출 확대 등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대책과 더불어 이러한 정책들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세부 조치가 필요하다. 민간부문의 경기회복 능력이 저하되어 있어 정부가 민간의 경제활동을 자극하는 재정확대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재정지출 확대에 따르는 구축효과를 상쇄하기 위해 금리 인하를 병행하는 정책조합을 구사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심경섭. 이명훈. 이영호. 이재암, 『금융제도와 금융시장 (우리 나라를 중심으로)』, 범한서적주식회사, 2007, pp27-42. pp178-200 참조.
2. 홍완표, 『금리의 경제학』, 신론사, 2008
3. 심경섭, 『금융시장의 이해』, 범한서적주식회사, 2005, pp2-28. pp75-95 참조.
4. 이지순, 『거시경제학 제3판』, 법문사, 2007, pp401-407 참조.
5. 황인성, 「2009년 세계경제 및 국내경제 전망」, 삼성경제연구 소, SERI Economic Outlook, 2009. 02. 16.
6. 한국은행, 「우리나라금융제도」, 한국은행, 2005, pp336-340
참조.
*인터넷 사이트
1. 국회전자도서관 : http://naver.nanet.go.kr/
2. 삼성경제연구소 : http://www.seri.org/
3. 관점이 있는 뉴스 - 프레시안 : http://www.pressian.com/
추천자료
국제경제의 새로운 흐름
경제 3대지표
세계경제 동향 및 국내 동향
거시경제의 흐름 (국&내외 분석)
경제발전과 구조변화에 대해서 논하라
대구경제 위기와 회생을 위한 대응방안
경제출구 정책 필요하다.
한국경제의 문제점 및 대책 방안A+
[인플레이션][인플레이션의 영향][인플레이션의 경제적 효과]인플레이션의 정의, 인플레이션...
[안정성][금융][시장][주가][외환위기][노동][경제]금융규제와 은행안정성, 시장과 주가안정...
2006년(2000년대)의 통화신용정책과 경제정책, 2006년(2000년대)의 경제성장률, 2006년(2000...
[중소기업][중소기업 환율][중소기업 경제][중소기업 환위험][중소기업 신용]중소기업 금융,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