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 Thompson의 기술유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톰슨의 조직구조와 기술
1. 의의
2. 톰슨의 기술유형
1) 연결형 기술
2) 중개형 기술
3) 집약형 기술

Ⅲ. 상호의존성과 조정 행태

Ⅵ. 상호의존성과 조직의 부서화

Ⅵ. 결론

본문내용

, 조직화의 순서는 조정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집합적 상호의존성이 있는 중개형 기술과 순차적 상호의존성이 있는 연속형 기술은 기계적 조정 형태가 나타나며, 교호적 상호의존성을 가진 집약형 기술은 유기적 조정 형태가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기술이 잘 정의되어 있고 일상적이며 분석하기 용이한 경우에는, 문서에 의한 의사소통, 집권적 의사결정, 공식적 절차 등 기계적 구조에 의해 조직이 운영된다. 그러나 기술의 변화가 심하고 비일상적이며 복잡한 경우에는, 대화에 의한 의사소통, 분권적 의사결정, 비공식 절차 등과 같은 유기적 구조에 의해 조직이 운영된다.
참고글
<조직이야기>
“열린 사장실”
조직간에 벽을 없애는 일은 모든 기업의 과제이다. GE사의 모토는 ‘벽 없는 조직’이다. 3M사는 ‘남의 아이디어를 죽이지 말라’는 계명이 있다. 무엇이든 터 놓을 수 있는 회사분위기가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이렇듯 보이지 않는 벽을 허무는 방법에 대해서는 수많은 경영이론이 나름대로의 모범답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어려운 문제일수록 답은 의외로 단순할 수 있다. 추상적인 개념으로서 ‘조직의 벽’을 없애려면 우선 ‘공강간의 벽’을 허물어야 한다. 이를 실천하는 회사가 바로 대림아이앤에스 주식회사이다.
그래서 사장을 비롯한 모든 임원들 한 층에 모았다. 자리에서 일어나 고개를 돌리면 바로 얼굴을 마주하고 얘기할 수 있는 칸막이가 임원들의 공간을 구획하는 유일한 차단막이다. 제일 화려한 갈정웅 사장의 방도 문이 없다. 위가 뚫려있어 전화받는 소리까지다 들린다. 전화받기 조차 조심스러울 것 같지만 사장에게 보내는 메시지가 그런 식으로 전달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스스로를 드러내는 데 가장 폐쇄적인 임원들
이 열린 칸을 통해 마음의 문을 열어지는
것은 시간문제이다. 칸막이로 구분된 한 구석이 바로 회의실, 임원들은 이 자리에 모여 커피타임을 갖고 가벼운 대화를 나눈다. 그 전날 업무 중에서 서로 알아두어야 하거나 협조가 필요한 일들을 얘기하고 밖에서 들었던 정보도 공유한다. 웬만한 협의사항은 이렇게 다 걸러져 중간간부들이 서류를 들고 임원들 방을 돌아다니는 불필요한 낭비는 없다. 회사 내에서 얼굴 한 번 보기도 힘들었던 사장님과의 ‘스킨십’을 통해 이해의 폭을 넓히고 신뢰를 쌓아간다. 서로의 마음을 이미 읽고 있기 때문에 쓸데없는 눈치보기, 특히 사장의 의중을 읽기 위해 신경 쓰는 일이 없어진다.
경영속도가 종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빨라진다. 다른 부서협조가 필요한 결재사항이 올라오면 임원들끼리 즉석에서 협의를 거쳐 바로 사장결재를 올린다. 물론 별도의 방을 갖고 있던 시절에 비해 불편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내부고객으로투 듣는 경영을 솔선수범하며 통념의 벽을 깬 경영방식은 분명 옳다. 열린 공간을 공유하려면 벽을 허물 전에 먼저 스스로 허무는 용기가 필요한 것이다.
<참고문헌>
백정현, 「행정학요론」, 학문사
송교석, 「조직관리론」, 학문사
최재열, 「조직이론의 현재와 미래」, 학문사
홍용기, 「조직론」, 형설출판사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2.21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41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