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서론, 이렇게 쓸까요?
1) 서론의 구성 요소
2) 서론을 시작하는 방식들
(2) 본론, 이렇게 쓸까요?
1)논거 제시
2)짜임새 있는 문단 구성
3) 상대 입장에 대한 대응
(3) 결론, 이렇게 쓸까요?
1)결론의 역할
2)결론 쓰기에서 주의할 점
2. 본론
(1) 서론, 이렇게 쓸까요?
1) 서론의 구성 요소
2) 서론을 시작하는 방식들
(2) 본론, 이렇게 쓸까요?
1)논거 제시
2)짜임새 있는 문단 구성
3) 상대 입장에 대한 대응
(3) 결론, 이렇게 쓸까요?
1)결론의 역할
2)결론 쓰기에서 주의할 점
본문내용
복하면 효과적인 설득이 힘들어진다. 이럴 경우에는 핵심 주장을 제시하되 문제를 바라보는 각도를 바꾸어 접근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자신의 주장이 가진 사회적 함축을 부각시키는 것도 설득력을 높이는 방법이다. 특히, 논술의 기본 성격은 문제 해결을 겨냥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론에서는 자신의 주장과 연관해서 실현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이 좋다. 한편 전망을 제시한다면서 사족 같은 결론에 그치는 것도 문제가 있다. ‘지금까지 -에 대해 살펴보았다.’라고 하면서 지금까지 한 얘기를 단순히 요약하는 내용으로 결론 단락을 메운 다음, ‘-하는 것이 인류의 공영을 위한 길이다.’라는 식의 거창한 내용으로 글을 마무리 하는 경우들이 많은데 이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④ 불필요한 말은 쓰지 않도록 한다.
결론 부분에 불필요한 말을 써서는 안 된다. 결론 부분에서 말을 잘못 쓰게 되면 한 순간에 글의 일관성을 무너뜨릴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어쨌거나, 어차피, 여하튼, 좌우지간” 등은 자신의 논리를 스스로 무너뜨릴 위험이 있는 말들이다. 따라서 불가피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런 말들의 사용은 자제해야 한다.
⑤ 도덕적 훈계와 당위적 주장에서 벗어나야 한다.
도덕적이고 계몽적인 훈계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이런 식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은 흔히 매우 진부하고 뻔한, 그리고 하나마나한 이야기를 되풀이하는 것이 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컨대 “우리는 위에서 논한 두 가지 측면 중 나쁜 점은 피하고 좋은 점을 살리도록 해야겠다.”, “우리나라의 발전을 위해서 우리는 더욱 정의롭고 근면해야겠다.” 등과 같은 결론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열심히 잘해 보자, 모두가 반성해야 한다.” 따위의 말은 너무 뻔하고 진부하다.
논술문의 결론에서 학생들은 가장 흔히 제시하는 것이 ‘의식의 각성’과 ‘정부의 대책’을 촉구하는 것이다. ‘인간의 생명을 소중히 하는 의식을 갖자.’라든가 ‘정부는 자살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처럼 모든 문제를 의식 각성과 정부의 대책에만 돌려서는 곤란하다. 정신을 똑바로 차리지 못해서 여러 사회문제들이 야기되었다고 하더라도, 더 깊이 있게 반성해보면, 정신을 똑바로 차리지 못하게 하는 여러 사회적 현실적 요인들이 있을 것이다. 또한 모든 문제에 대해 정부가 개입해 제도로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의식 각성과 정부의 대책이라는 안이한 결론에 머무르지 말고, 주어진 논제와 관련된 사회적 상황을 둘러보면서 사회적 상황이 어떤 식으로 바뀌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그 방법을 제시하는 수준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⑥ 목표만 제시하지 말고 방법을 제시한다.
결론에서 대책을 제시할 경우, 일반적으로 목표만 추상적으로 밝혀서 해결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말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좋다. 즉 목표 제시에 그치지 말고, 그 목표를 이룰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당위적인 원칙만 제시하는 것은 대책을 제시하는 것이라 볼 수 없다.
④ 불필요한 말은 쓰지 않도록 한다.
결론 부분에 불필요한 말을 써서는 안 된다. 결론 부분에서 말을 잘못 쓰게 되면 한 순간에 글의 일관성을 무너뜨릴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어쨌거나, 어차피, 여하튼, 좌우지간” 등은 자신의 논리를 스스로 무너뜨릴 위험이 있는 말들이다. 따라서 불가피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런 말들의 사용은 자제해야 한다.
⑤ 도덕적 훈계와 당위적 주장에서 벗어나야 한다.
도덕적이고 계몽적인 훈계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이런 식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은 흔히 매우 진부하고 뻔한, 그리고 하나마나한 이야기를 되풀이하는 것이 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컨대 “우리는 위에서 논한 두 가지 측면 중 나쁜 점은 피하고 좋은 점을 살리도록 해야겠다.”, “우리나라의 발전을 위해서 우리는 더욱 정의롭고 근면해야겠다.” 등과 같은 결론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열심히 잘해 보자, 모두가 반성해야 한다.” 따위의 말은 너무 뻔하고 진부하다.
논술문의 결론에서 학생들은 가장 흔히 제시하는 것이 ‘의식의 각성’과 ‘정부의 대책’을 촉구하는 것이다. ‘인간의 생명을 소중히 하는 의식을 갖자.’라든가 ‘정부는 자살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처럼 모든 문제를 의식 각성과 정부의 대책에만 돌려서는 곤란하다. 정신을 똑바로 차리지 못해서 여러 사회문제들이 야기되었다고 하더라도, 더 깊이 있게 반성해보면, 정신을 똑바로 차리지 못하게 하는 여러 사회적 현실적 요인들이 있을 것이다. 또한 모든 문제에 대해 정부가 개입해 제도로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의식 각성과 정부의 대책이라는 안이한 결론에 머무르지 말고, 주어진 논제와 관련된 사회적 상황을 둘러보면서 사회적 상황이 어떤 식으로 바뀌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그 방법을 제시하는 수준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⑥ 목표만 제시하지 말고 방법을 제시한다.
결론에서 대책을 제시할 경우, 일반적으로 목표만 추상적으로 밝혀서 해결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말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좋다. 즉 목표 제시에 그치지 말고, 그 목표를 이룰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당위적인 원칙만 제시하는 것은 대책을 제시하는 것이라 볼 수 없다.
추천자료
전략적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고소법 작성방법(예를들어 설명) 2008년 동국대학교(호텔과 법 - 김창구교수님) 시험문제 - A+
직종별 BEST 예문 - 유통 판매 사무직 (자기소개서작성방법 및 양식 포함)
직종별 BEST 예문 - IT 네트워크 구축 (자기소개서작성방법 및 양식 포함)
직종별 BEST 예문 - 상품 연구 개발 기획 (자기소개서작성방법 및 양식 포함)
직종별 BEST 예문 - 영업 판매 관리직 (자기소개서작성방법 및 양식 포함)
직종별 BEST 예문 - 광고 홍보 기획 (자기소개서작성방법 및 양식 포함)
직종별 BEST 예문 - 정보통신 그래픽 웹디자인 (자기소개서작성방법 및 양식 포함)
직종별 BEST 예문 - 자동차회사 관리 (자기소개서작성방법 및 양식 포함)
직종별 BEST 예문 - 영업 영업관리 (자기소개서작성방법 및 양식 포함)
직종별 BEST 예문 - 해외 영업 무역 (자기소개서작성방법 및 양식 포함)
직종별 BEST 예문 - 이벤트 홍보 마케팅 (자기소개서작성방법 및 양식 포함)
직종별 BEST 예문 - 식품매장관리 경력직 (자기소개서작성방법 및 양식 포함)
장학금신청사유서 장학금신청서, 장학금신청동기, 장학금사유서 작성방법(자기소개서+학업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