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화학적 평가법
2. 생물학적 평가법
2. 생물학적 평가법
본문내용
단백질에 대해서만 1.25kcal의 尿에너지를 뺀 것은 모순이라는 것.
TDN의 모순 때문에 NRC사양표준에서는 TDN이 DE, ME, NE등으로 대치되고 있음.
○전분가(starch value; SV)
일종의 정미에너지 평가법.
Kellner의 전분가 공식.
①농후사료
SV={(가소화단백질×0.94)+(가소화지방×2.12~2.41)
+(가소화탄수화물×1)×당가수}
②조사료
SV={(가소화단백질×0.94)+(가소화조지방×1.91)+(가소화탄수화물×1)}
-(조섬유×그에 상당하는 보정계수)
농후사료는 당가율(value numbers),조사료는 보정계수(correction factor)에 의하여 전분가를 보정하게 됨.
Kellner는 사료 가소화성분에 각각 전분가계수를 곱한 산출치와 직접 calorimetry에 의한 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전자의 수치가 약간 높으며, 이 현상은 조사료의 경우 더욱 심한 것으로 알게 됨.
조사료의 경우 조섬유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사료단위(feed unit;FU)
일종의 정미에너지측정법.
사양시험에 의해 사료단위를 결정.
사료의 유기성분으로부터 사료단위를 계산하도록 함.
계산방법이나 사용되는 수는 Kellner의 전분가계수와 근본적으로 같음.
가소화단백질에 대한 계수만 다름.
FU 1kg=유생산가 0.75kg(SV 0.75kg)
사료의 FU=유생산가×
1FU의 kg=100/FU
1FU 중 DCP량=1FU 중 kg×DCP%
유생산가와 사료단위수는 수치가 높아질수록 사료가지가 높고, 1FU중 kg수는 수치가 적을수록 사료가치가 높음.
○가소화에너지(digestible energy; DE)
총에너지(gross energy; GE)에서 대변으로 배설된 에너지를 공제한 것.
DE=(단위사료건물중 GE×사료건물량)-(단위분건물량중 GE×분건물량)
DE는 TDN으로부터 환산할 수 있음.
○대사에너지(metabolizable energy;ME)
DE에서 오줌 및 가연성 가스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공제한 것.
- 반추가축에 대한 대사에너지
ME=GEⅰ-FE-GPD-UE
(GEⅰ:섭취한 총에너지,FE:분에너지,GPD:소화중가스생산량,UE:뇨에너지)
돼지나 초식가축에 대하여는 질소균형시험을 통하여 대변과 오줌을 수집하여 에너지를 측정.
칼로리미터 또는 호흡시험실을 이용하여 가연성 가스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측정.
소와 양의 경우, ME는 DE에 비하여 조사료 82%, 농후사료85%, 유박류 79%에 해당.
- 가금에 대한 대사에너지
MEn=GEⅰ-FE-GPD-UE±(NB×7.45kcal)
(MEn:질소보정 대사에너지, NB:질소균형)
Hill과 Anderson법
병아리(14일령)에 대하여 기준사료(reference diet)와 시험사료(test diet)를 2주간 급여 후 여기에서 얻은 사료나 대변에 대하여
①수분
②GE
③질소함량
④Cr₂O₃
함량을 측정하여 MEn을 계산함.
사료고형물 1g당 ME를 계산.
시험사료의 ME(시료 1g중)
3.64는 기준사료에 함유되었다가 시료와 대체한 glucose 1g 중 ME값.
Sibbald와 Slinger법
기본사료로 관행사료를 그대로 쓰되 고섬유소 저단백질사료인 경우와 고단백질의 경우로 구분함.
전자는 콩깻묵 50%, 육분 5% 함유한 기본사료를 쓰고, 후자는 이들 단백질 사료를 제외한 기본사료를 사용.
○정미에너지(net energy;NE)
총에너지에서 대변, 오줌, 가스로 손실되는 에너지외에 다시 열량증가(heat increament; HI)로 소비된 에너지를 공제한 나머지부분.
순수하게 동물의 유지 및 생산을 위하여 이용되는 에너지.
유지를 위하여 사용된 NE는 대부분 열의 형태로 체외로 분산.
성장, 비육, 우유, 계란 또는 털 등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 NE는 화학에너지 형태로 생산물에 축적.
(3)종합적 평가법
○영양율 (nutritive ratio;NR)
가소화 단백질에 대한 비단백질 가소화영양소 총량의 비율.
NR은 10미만이면 좁다고 하고 10을 넘을 경우 넓다고 함.
○에너지 단백질 비율
사료 1파운드(453g)중에 들어 있는 생산에너지의 kcal수를 그 사료 중의 단백질 함량 %로 나누어 계산한 값.
사료에너지의 함량을 증가시키려면 같은 비율로 사료단백질함량도 증가시켜야 성장이나 산란을 촉진하게 됨.
○사료효율(feed effciency; FE)
성장중인 가축에 있어서 사료섭취량의 증체량에 대한 비율.
사료효율은 높을수록(숫자가 적을수록) 좋고, 사료요구율은 낮아야 좋다.
TDN의 모순 때문에 NRC사양표준에서는 TDN이 DE, ME, NE등으로 대치되고 있음.
○전분가(starch value; SV)
일종의 정미에너지 평가법.
Kellner의 전분가 공식.
①농후사료
SV={(가소화단백질×0.94)+(가소화지방×2.12~2.41)
+(가소화탄수화물×1)×당가수}
②조사료
SV={(가소화단백질×0.94)+(가소화조지방×1.91)+(가소화탄수화물×1)}
-(조섬유×그에 상당하는 보정계수)
농후사료는 당가율(value numbers),조사료는 보정계수(correction factor)에 의하여 전분가를 보정하게 됨.
Kellner는 사료 가소화성분에 각각 전분가계수를 곱한 산출치와 직접 calorimetry에 의한 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전자의 수치가 약간 높으며, 이 현상은 조사료의 경우 더욱 심한 것으로 알게 됨.
조사료의 경우 조섬유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사료단위(feed unit;FU)
일종의 정미에너지측정법.
사양시험에 의해 사료단위를 결정.
사료의 유기성분으로부터 사료단위를 계산하도록 함.
계산방법이나 사용되는 수는 Kellner의 전분가계수와 근본적으로 같음.
가소화단백질에 대한 계수만 다름.
FU 1kg=유생산가 0.75kg(SV 0.75kg)
사료의 FU=유생산가×
1FU의 kg=100/FU
1FU 중 DCP량=1FU 중 kg×DCP%
유생산가와 사료단위수는 수치가 높아질수록 사료가지가 높고, 1FU중 kg수는 수치가 적을수록 사료가치가 높음.
○가소화에너지(digestible energy; DE)
총에너지(gross energy; GE)에서 대변으로 배설된 에너지를 공제한 것.
DE=(단위사료건물중 GE×사료건물량)-(단위분건물량중 GE×분건물량)
DE는 TDN으로부터 환산할 수 있음.
○대사에너지(metabolizable energy;ME)
DE에서 오줌 및 가연성 가스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공제한 것.
- 반추가축에 대한 대사에너지
ME=GEⅰ-FE-GPD-UE
(GEⅰ:섭취한 총에너지,FE:분에너지,GPD:소화중가스생산량,UE:뇨에너지)
돼지나 초식가축에 대하여는 질소균형시험을 통하여 대변과 오줌을 수집하여 에너지를 측정.
칼로리미터 또는 호흡시험실을 이용하여 가연성 가스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측정.
소와 양의 경우, ME는 DE에 비하여 조사료 82%, 농후사료85%, 유박류 79%에 해당.
- 가금에 대한 대사에너지
MEn=GEⅰ-FE-GPD-UE±(NB×7.45kcal)
(MEn:질소보정 대사에너지, NB:질소균형)
Hill과 Anderson법
병아리(14일령)에 대하여 기준사료(reference diet)와 시험사료(test diet)를 2주간 급여 후 여기에서 얻은 사료나 대변에 대하여
①수분
②GE
③질소함량
④Cr₂O₃
함량을 측정하여 MEn을 계산함.
사료고형물 1g당 ME를 계산.
시험사료의 ME(시료 1g중)
3.64는 기준사료에 함유되었다가 시료와 대체한 glucose 1g 중 ME값.
Sibbald와 Slinger법
기본사료로 관행사료를 그대로 쓰되 고섬유소 저단백질사료인 경우와 고단백질의 경우로 구분함.
전자는 콩깻묵 50%, 육분 5% 함유한 기본사료를 쓰고, 후자는 이들 단백질 사료를 제외한 기본사료를 사용.
○정미에너지(net energy;NE)
총에너지에서 대변, 오줌, 가스로 손실되는 에너지외에 다시 열량증가(heat increament; HI)로 소비된 에너지를 공제한 나머지부분.
순수하게 동물의 유지 및 생산을 위하여 이용되는 에너지.
유지를 위하여 사용된 NE는 대부분 열의 형태로 체외로 분산.
성장, 비육, 우유, 계란 또는 털 등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 NE는 화학에너지 형태로 생산물에 축적.
(3)종합적 평가법
○영양율 (nutritive ratio;NR)
가소화 단백질에 대한 비단백질 가소화영양소 총량의 비율.
NR은 10미만이면 좁다고 하고 10을 넘을 경우 넓다고 함.
○에너지 단백질 비율
사료 1파운드(453g)중에 들어 있는 생산에너지의 kcal수를 그 사료 중의 단백질 함량 %로 나누어 계산한 값.
사료에너지의 함량을 증가시키려면 같은 비율로 사료단백질함량도 증가시켜야 성장이나 산란을 촉진하게 됨.
○사료효율(feed effciency; FE)
성장중인 가축에 있어서 사료섭취량의 증체량에 대한 비율.
사료효율은 높을수록(숫자가 적을수록) 좋고, 사료요구율은 낮아야 좋다.
추천자료
지적재산권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
주식의 가치평가
<장화홍련전>에 대한 남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
영국의 주파수관리정책에 대한 경제수익과 가치평가
주한미군이 한국에 주둔할때의 가치평가
가사노동 사례별 생산성의 구체적 근거와 적절한 가치평가 방법 기술
브랜드자산 형성에 대한 모델과 브랜드자산과 그 가치평가, 가치평가의 정의
지식재산권(지적재산권) 개념, 지식재산권(지적재산권) 특징과 가치평가, 지식재산권(지적재...
기업의 가치평가방법
[금융업, 금융산업, 다원화]금융업(금융산업)의 변화, 금융업(금융산업)의 다원화, 금융업(금...
생활속의경제 공통)최근 중국은달러화에 대해 자국의위안화 가치를평가절하 하였다.이와관련...
강원랜드 기업분석 보고서 [강원랜드 재무분석, SWOT분석, 가치평가, 재무제표분석]
[손해보험사][손보사][손해보험사(손보사)의 이론][손해보험사(손보사)의 손해사정인][손해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