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평가][상대평가]고교 내신 절대평가 전환, 왜? -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의 전환 이유 및 각각의 장단점 분석, 부작용 해소 방안 모색 등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절대평가][상대평가]고교 내신 절대평가 전환, 왜? -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의 전환 이유 및 각각의 장단점 분석, 부작용 해소 방안 모색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3. 고교 내신 절대평가 전환 추진

4. 절대평가로의 전환, 왜?

5. 절대평가, 문제점은 없는가?

6. 절대평가 전환, 찬성 VS 반대

7. 결론

8. 참고자료

본문내용

-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개념
절대평가란?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어떤 절대적인 기준’에 의하여 평가하는 방법
여기서 ‘어떤 절대적인 기준’이란, 보통 교육목표(학습지도의 목표)를 가리킴
상대평가란?
개인의 학업성과를 ‘다른 학생의 성적과 비교’하여 집단 내에서의 상대적 위치로 평가하는 방법
보통 정상분포곡선 이론에 따름
예를 들어 100명을 5단계로 평가할 경우 상위로부터 순서에 따라 7·24·38·24·7의 비율로 평점을 매김
-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장점
절대평가
목표 지향적 평가
개인의 교육목표 달성 수준 판단 가능
심화 선택형 교육과정에 적합
상대평가
개별 학생의 변별력 확보
다른 집단과 성적비교 가능
내신 부풀리기 차단
- 주요 내용
절대평가로의 전환
새로운 내신 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상대평가 → 절대평가
내신 9등급제 폐지
원점수, 평균점수, 표준편차, 과목별 이수 학생 수만 공개
90점 이상은 수, 80점 이상은 우로 표기하던 기존의 ‘수·우·미·양·가’ 방식의 절대평가와는 다름
외형적으로 볼 때에는 ‘등급’이란 단어 하나 빠진 것 같지만, 앞으론 대학이 등급을 대신해 수험생의 교과목 별 원점수를 기준으로 내신을 자율적으로 산출한다는 점에서 큰 변화가 있음
- 비교육적 평가 방법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우리나라만 유일하게 상대평가 사용
상대평가는 학생들의 능력을 개인적 특성이나 환경적 요인 등에 따라 고려하지 않은 채, 획일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분류하는 문제점이 있음
이에 대부분의 교육 선진국에서는 절대평가 방식을 사용
그 동안 교육학자들을 중심으로 상대평가가 비교육적인 평가방법이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된 바 있음
특히, 상대평가로 인해 학교 현장에 과열 경쟁이 빚어지면서 심각한 폐단이 드러남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1.01.03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6468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