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단원명
나. 단원의 개관
다. 단원 전개 계획
라. 지도상의 유의점
마. 단원평가내용
바.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나. 단원의 개관
다. 단원 전개 계획
라. 지도상의 유의점
마. 단원평가내용
바.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본문내용
렇게 상처가 나 있으니 친구들과 노는 것도 부끄러워. 엉엉“
잘 들었어요? 친구들도 이렇게 사물이 되어서 이야기를 해보세요.
◆ 교실의 물건을 소중히 다루어야 하는 까닭과 방법 알기
◇ 까닭알기
T : 우리 교실의 물건들의 입장이 직접 되어 보니까 어떤가요? 어떤 생각이 드나요?
T : 선생님이 그림을 몇 가지 보여줄게요.
깨끗한 책상 그림을 보면 어떤 느낌이 드나요?
T : 지저분한 책상 그림을 보면 어떤 느낌이 드나요?
T : 그럼 우리 교실에서 함께 쓰는 물건을 왜 아끼고 소중히 여겨야 하는지 말해볼까요?
S : 네!
- 학생들은 다양한 사물들의 역할이 되어 그 사물들의 입장이 되어 말한다.
S : “난 공중전화야. 내 목소리는 맑고 분명했는데, 이제는 목이 갈라지고 쉬어서 목소리도 안 나와. 어제는 경숙이가 친구에게 전화를 하면서 기분이 나쁘다고 내 손잡이를 쾅 내리치는데 너무 아팠어.”
S : 물건들한테 미안해요.
물건들을 소중히 다루어야 할 것 같아요.
S : 깨끗한 책상을 보면 마음이 깨끗해지는 것 같아요
깨끗한 책상을 사용하고 싶어요.
S : 지저분한 책상을 보면 부끄러운 생각이 들어요.
책상에 낙서를 하지 말아야겠어요.
S : 모두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요.
기쁘고 즐겁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요.
10‘
10‘
▶ 학습지
교수-학습 과정
단계
(과정)
학습 요소
교수학습 활동 및 내용
시간
자료 및 유의점
교수 활동
학습 활동
◇ 방법 알기
정리
바른 행동 실천하기
(바른 행동 연습하기)
실천동기 부여하기
(‘바른생활 다짐하기’)
T : 그럼 우리가 교실의 물건을 소중히 다룰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지 알아볼게요.
책상은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T : 그럼 우리 책상에 있는 낙서를 한번 지워볼까요?
T : 그렇다면 사물함은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 그 밖에, 학급문고, 청소 용구, 텔레비전, 칠판, 화분, 거울 등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이야기 하면서 방법을 알도록 한다.
◆ ‘우리들 약속’으로 실천 의지 다지기
T : 우리 지금까지, 교실의 물건을 소중히 다루어야 하는 까닭과 방법을 배웠어요. 그러면 지금부터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앞으로 교실의 물건을 소중히 여기겠다는 약속을 해요.
T : 선생님이 나누어준 학습지에 보면
나는 ( )을 아끼고 소중히 다루겠다.
그 까닭은 ( )이다.
라고 되어 있을 거에요. 이것을 채우면서 그동안 교실 물건을 함부로 다루었던 것을 반성하고 앞으로 소중히 다루기로 다짐해 봐요.
◆ 학습내용 정리
T : 오늘 우리 교실의 물건을 소중히 다루어야 하는 까닭과 방법을 알아보았어요.
◆ 차시 예고
T : 다음 시간에는 학교의 물건을 아끼고 소중히 다루는 것을 배울 거에요.
S1 : 책상에는 낙서를 하지 말아 야해요.
S2 : 칼로 흠집을 내지 않아요.
S3 : 걸레로 깨끗이 닦아 줘요.
- 낙서를 지운다.
S : 낙서를 하지 않아요.
사물함 속을 깨끗이 정리해요.
- 학생은 이야기 나온 것을 직접 한 번씩 해봄으로써, 실천하는 것을 연습 및 습관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 : 책상에 있는 낙서 지우기)
- 학생들은 교사가 나누어준 학습지의 빈칸에 채워 넣고 이를 발표하도록 한다.
7'
※ 교실의 물건을 소중히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직접 실천해 볼 수 있도록 한다.
▶ 학습지
나는 ( )을 아끼고 소중히 다루겠다.
그 까닭은 (
)이다.
바른 생활
4. 함께 쓰는 물건 1학년 4반 이름
<활동 1>
▶ 교실에 있는 사물이 되어 이야기 해 봅시다.
예) “나는 책상이야. 원래 내 얼굴은 빛이 나고 멋있었는데, 이렇게 상처가 나 있으니 친구들과 노는 것도 부끄러워. 엉엉”
<활동 2>
우리들 약속
잘 들었어요? 친구들도 이렇게 사물이 되어서 이야기를 해보세요.
◆ 교실의 물건을 소중히 다루어야 하는 까닭과 방법 알기
◇ 까닭알기
T : 우리 교실의 물건들의 입장이 직접 되어 보니까 어떤가요? 어떤 생각이 드나요?
T : 선생님이 그림을 몇 가지 보여줄게요.
깨끗한 책상 그림을 보면 어떤 느낌이 드나요?
T : 지저분한 책상 그림을 보면 어떤 느낌이 드나요?
T : 그럼 우리 교실에서 함께 쓰는 물건을 왜 아끼고 소중히 여겨야 하는지 말해볼까요?
S : 네!
- 학생들은 다양한 사물들의 역할이 되어 그 사물들의 입장이 되어 말한다.
S : “난 공중전화야. 내 목소리는 맑고 분명했는데, 이제는 목이 갈라지고 쉬어서 목소리도 안 나와. 어제는 경숙이가 친구에게 전화를 하면서 기분이 나쁘다고 내 손잡이를 쾅 내리치는데 너무 아팠어.”
S : 물건들한테 미안해요.
물건들을 소중히 다루어야 할 것 같아요.
S : 깨끗한 책상을 보면 마음이 깨끗해지는 것 같아요
깨끗한 책상을 사용하고 싶어요.
S : 지저분한 책상을 보면 부끄러운 생각이 들어요.
책상에 낙서를 하지 말아야겠어요.
S : 모두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요.
기쁘고 즐겁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요.
10‘
10‘
▶ 학습지
교수-학습 과정
단계
(과정)
학습 요소
교수학습 활동 및 내용
시간
자료 및 유의점
교수 활동
학습 활동
◇ 방법 알기
정리
바른 행동 실천하기
(바른 행동 연습하기)
실천동기 부여하기
(‘바른생활 다짐하기’)
T : 그럼 우리가 교실의 물건을 소중히 다룰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지 알아볼게요.
책상은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T : 그럼 우리 책상에 있는 낙서를 한번 지워볼까요?
T : 그렇다면 사물함은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 그 밖에, 학급문고, 청소 용구, 텔레비전, 칠판, 화분, 거울 등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이야기 하면서 방법을 알도록 한다.
◆ ‘우리들 약속’으로 실천 의지 다지기
T : 우리 지금까지, 교실의 물건을 소중히 다루어야 하는 까닭과 방법을 배웠어요. 그러면 지금부터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앞으로 교실의 물건을 소중히 여기겠다는 약속을 해요.
T : 선생님이 나누어준 학습지에 보면
나는 ( )을 아끼고 소중히 다루겠다.
그 까닭은 ( )이다.
라고 되어 있을 거에요. 이것을 채우면서 그동안 교실 물건을 함부로 다루었던 것을 반성하고 앞으로 소중히 다루기로 다짐해 봐요.
◆ 학습내용 정리
T : 오늘 우리 교실의 물건을 소중히 다루어야 하는 까닭과 방법을 알아보았어요.
◆ 차시 예고
T : 다음 시간에는 학교의 물건을 아끼고 소중히 다루는 것을 배울 거에요.
S1 : 책상에는 낙서를 하지 말아 야해요.
S2 : 칼로 흠집을 내지 않아요.
S3 : 걸레로 깨끗이 닦아 줘요.
- 낙서를 지운다.
S : 낙서를 하지 않아요.
사물함 속을 깨끗이 정리해요.
- 학생은 이야기 나온 것을 직접 한 번씩 해봄으로써, 실천하는 것을 연습 및 습관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 : 책상에 있는 낙서 지우기)
- 학생들은 교사가 나누어준 학습지의 빈칸에 채워 넣고 이를 발표하도록 한다.
7'
※ 교실의 물건을 소중히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직접 실천해 볼 수 있도록 한다.
▶ 학습지
나는 ( )을 아끼고 소중히 다루겠다.
그 까닭은 (
)이다.
바른 생활
4. 함께 쓰는 물건 1학년 4반 이름
<활동 1>
▶ 교실에 있는 사물이 되어 이야기 해 봅시다.
예) “나는 책상이야. 원래 내 얼굴은 빛이 나고 멋있었는데, 이렇게 상처가 나 있으니 친구들과 노는 것도 부끄러워. 엉엉”
<활동 2>
우리들 약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