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홍역, 풍진,, 디프테리아, 파상풍
호흡
: 대사에 필요한 O2 공급, CO2 배출하는 전과정. 호흡은 가스 교환이며 가스교환은 폐포공기와 모세혈관 사이에서 일어남.
호흡의 종류
- 외호흡:폐 모세혈관과 대기 사이에 일어나는 가스교환
- 내호흡:폐와 혈액 사이의 가스이동
전도영역
1. 전도영역:공기 통로 역할, 가스교환 없음,,(가스교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비강, 인도, 후두,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종말세기관지
비강 : 호흡기가 시작하는 첫 번째 구조 혈관이 많다.. 1차적으로 이물질을 밖으로 보낸다.
인두 : 호흡기계와 소화기계의 공통 통로역활.
후두 : 후두계(음식물이나 이물질이 기관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막아주는것)
기관 : 섬포 상피세포랄지.. 점액이 많이 분비 된다. 이물질이 점액과 섞여서 밖으로 내보낸다.
기관지:좌우로 분지된다.
세기관지 : 많이 분지된다..
기관지와 기과까지는 폐밖에 있고.. 세기관지는 폐안에 있다..
사강(dead space) 가스교환이 일어나지 않는부분
해부학적 사강(anatomic dead space) 전도영역..
코에서부터 종말세기관지까지 가스교환에 관여하지 않는 기도 부분의 공간으로 150ml
생리적 사강
정상인에서는 해부적 사강과 별 차이 없으나 질병 등의 원인으로 가스교환을 못하는 폐포 있을 수 있으므로 이때 해부학적 사강과 가스교환을 하지 못하는 폐포의 용적을 합친것
폐장의 기능적 측면에서 정의하면 폐 용적 중 탄산가스를 배출하지 못하는 혹은 산소를 흡수하지 못하는 모든 부분의 용적
정상인 해부 생리 같다.. 질병인.. 그렇지 않다.
호흡영역
호흡세기관지
폐포도관
폐포
폐
폐는 장측 늑막과 벽측늑막으로 되어 있음
늑망강
장측늑막과 벽측늑막 사이의 공간으로 이곳에는 소량의 액체가 있음.약2ml
폐는 오른쪽(55%)이 왼쪽(45%)보다 더 큼.
폐포
기능적 기본단위
직경이 0.2-0.25mm의 작은 주머니로 벽은 한 겹의 세포층으로 엷은 막형성, 수 많은 모세혈관이 폐포 벽을 둘러싸고 있음
성인의 경우 양쪽 폐포는 2-6억개 가스교환에..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막을 호흡막이라 하고 폐포상피층, 기적막, 간질층, 모세혈관 내피층 등으로 구성
폐포의 가장 내측은 인지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폐포표면 활성물질층이 있음
폐포의 상피세포층
표면상피세포 : 세포 소기관이 없으며 기체교환에 이용
중격 세포 : 특징적인 세포 소기관을 지니며 표면활성이
호흡
: 대사에 필요한 O2 공급, CO2 배출하는 전과정. 호흡은 가스 교환이며 가스교환은 폐포공기와 모세혈관 사이에서 일어남.
호흡의 종류
- 외호흡:폐 모세혈관과 대기 사이에 일어나는 가스교환
- 내호흡:폐와 혈액 사이의 가스이동
전도영역
1. 전도영역:공기 통로 역할, 가스교환 없음,,(가스교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비강, 인도, 후두,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종말세기관지
비강 : 호흡기가 시작하는 첫 번째 구조 혈관이 많다.. 1차적으로 이물질을 밖으로 보낸다.
인두 : 호흡기계와 소화기계의 공통 통로역활.
후두 : 후두계(음식물이나 이물질이 기관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막아주는것)
기관 : 섬포 상피세포랄지.. 점액이 많이 분비 된다. 이물질이 점액과 섞여서 밖으로 내보낸다.
기관지:좌우로 분지된다.
세기관지 : 많이 분지된다..
기관지와 기과까지는 폐밖에 있고.. 세기관지는 폐안에 있다..
사강(dead space) 가스교환이 일어나지 않는부분
해부학적 사강(anatomic dead space) 전도영역..
코에서부터 종말세기관지까지 가스교환에 관여하지 않는 기도 부분의 공간으로 150ml
생리적 사강
정상인에서는 해부적 사강과 별 차이 없으나 질병 등의 원인으로 가스교환을 못하는 폐포 있을 수 있으므로 이때 해부학적 사강과 가스교환을 하지 못하는 폐포의 용적을 합친것
폐장의 기능적 측면에서 정의하면 폐 용적 중 탄산가스를 배출하지 못하는 혹은 산소를 흡수하지 못하는 모든 부분의 용적
정상인 해부 생리 같다.. 질병인.. 그렇지 않다.
호흡영역
호흡세기관지
폐포도관
폐포
폐
폐는 장측 늑막과 벽측늑막으로 되어 있음
늑망강
장측늑막과 벽측늑막 사이의 공간으로 이곳에는 소량의 액체가 있음.약2ml
폐는 오른쪽(55%)이 왼쪽(45%)보다 더 큼.
폐포
기능적 기본단위
직경이 0.2-0.25mm의 작은 주머니로 벽은 한 겹의 세포층으로 엷은 막형성, 수 많은 모세혈관이 폐포 벽을 둘러싸고 있음
성인의 경우 양쪽 폐포는 2-6억개 가스교환에..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막을 호흡막이라 하고 폐포상피층, 기적막, 간질층, 모세혈관 내피층 등으로 구성
폐포의 가장 내측은 인지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폐포표면 활성물질층이 있음
폐포의 상피세포층
표면상피세포 : 세포 소기관이 없으며 기체교환에 이용
중격 세포 : 특징적인 세포 소기관을 지니며 표면활성이
추천자료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현실과 문제점에 대한 고찰과 나아가야할 방향 제시
신경계의 분류와 기능
SAH문헌고찰
[사회복지] 자원봉사론(장애인에대한자원봉사론)
장애인 가족 복지
간염 hepatitis 환자 케이스 간호 진단
화상응급기
ICH(Intracerevral hemorrhage) Case study
성 장애 및 성 정체감 장애
cystic fibrosis (낭포성섬유증)
[임상 간호 연구 보고서] 터널증후군 컨퍼런스 (수근 터널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C...
임상생리문제 (113문제)
웰리스와 자기관리 중간고사
성인간호학 ESRD (End Stage Renal Disease 말기 신장질환)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Case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