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大 學(대학)
- 경대부 자제들이 다니던 교육기관
大學之道는 在明明德하며 在親民하며 在止於至善이니라
대학지도는 재명명덕하며 재친민하며 재지어지선이니라
태학의 도(교육목표)는 명덕(밝은 덕)을 밝히는데 있으며 백성들을 내 몸같이 친히 대하는데 있으며 지극한 선한 경지에 도달해서 멈추자는데 있느니라.
- 경대부 자제들이 다니던 교육기관
大學之道는 在明明德하며 在親民하며 在止於至善이니라
대학지도는 재명명덕하며 재친민하며 재지어지선이니라
태학의 도(교육목표)는 명덕(밝은 덕)을 밝히는데 있으며 백성들을 내 몸같이 친히 대하는데 있으며 지극한 선한 경지에 도달해서 멈추자는데 있느니라.
추천자료
연암 박지원의 문학관
아정 이덕무 청비록에 나타난 평어의 의미와 범주
[국문학] 임춘의 국순전과 이규보의 국선생전 비교 연구(소논문)
[고전문학]기재기이 - 안빙몽유록 연구 - 작품분석, 연구사
[나말여초][6두품세력][지방호족세력][후삼국][나말여초의 시대적 의미]나말여초 시대적 배경...
시의 미적 중요성과 낭만주의 시의 미적 개념, 남궁벽 시의 미적 개념 및 이인로 파한집의 미...
이규보 설의 교육 방안
교산(蛟山) 허균(許筠) - 자는 단보이고 호는 교산, 학산, 성소, 백월거사 등 여러 가지를 썼다.
‘정읍사’, ‘정석가’, ‘정과정곡’
가전체(가전체문학)의 개념, 가전체(가전체문학)의 성격, 가전체(가전체문학)의 주요작품, 가...
[허균 소설][소설 홍길동전]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작가,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사상, 허균 소...
신광한 안빙몽유록
[인문학] 이재 황윤석의 시 세계
김운초(金雲楚) 시 - 냉정과 열정사이의 절묘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