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과정의 개념
2. 교육과정의 구성요소
3. 교육과정의 유형
4. 한국의 교육과정
2. 교육과정의 구성요소
3. 교육과정의 유형
4. 한국의 교육과정
본문내용
목표 : 자아실현인, 국가발전, 민주적 가치의 강조
② 강조점
- 국민적 자질 함양
- 지식 기술교육의 쇄신
5) 제4차 교육과정 : 인본주의 교육과정(1981~1987)
① 최초 학교급별(초중고 별)로 목표 설정(교육의 인간상 제시를 기반)
② 통합교육과정
③ 내용의 적정화(과도한 교육을 감축)
④ 최초 연구개발에 의한 교육과정 개혁(학국교육개발원에서 연구개발)
6) 제5차 교육과정 : 통합교육과정(1987~1992)
① 지역화 - 지역특성 반영(4차에서 시작 그러나 시행되지는 못했다.)
② 효율화
③ 통합교육과정
④ 특별활동시간 강조 - 주당 1~2시간(학급활동 1시간 포함)
7) 제6차 교육과정 : 학교중심교육과정(1992~1997)
① 추구하는 인간상
-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도덕적인 사람
②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 지방분권화 : 시도와 학교의 교육과정에 재량권을 확대
학교 재량시간 추가 : 중학교에서 선택교과제 실시
- 일반교과를 공통필수(국가), 과정필수(市道)
과정선택(학교 지정)으로 구분
: 고등학교에서 교과선택권을 3원화
- 교육부, 교육청, 학교 선택권(전문교과)
- 교육과정 구조의 다양화 :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육내용의 다양화
- 내용의 적정화
- 운영의 효율화 : 학습과 생활의 기초 능력을 신장하고 평가 방법을 개선
(2) 7차 교육과정(1997~)
1) 기본방향 :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양성
① 다양화특성화 : 본격적 학교중심 교육과정 지향
② 수요자 중심 - 수준별 교육과정 도입
③ 정보화세계화 강화
④ 학년별 교육과정 중심 : 10년 의무교육제의 국민 공통 교육과정
2) 개정의 중점
① 목표 :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기초 기본 교육의 충실
② 내용 : 세계화 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능력의 신장
③ 운영 :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의 열린교육 실천
④ 제도 : 지역 및 학교의 실정에 알맞은 학교교육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자율성 확대
3) 특징
①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 기초지식 전수
- 10년간의 국민공통기본교육기간 설정(초등 1학년 ~ 고등 1학년)
- 학년별 교육과정 중심으로 체제 구성
- 체계적 교과(기초지식) : 교과, 재량시간, 특별활동 세영역으로 나누고 10개의 기본교과로 구성
② 교육과정 편제에 교과군의 개념 도입(고등학교)
- 재량시간 활용시 특정 교과에 집중적으로 배정하는 부작용을 예방
③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 : 개별학습 지향
- 단계별 수준별 교육과정 : 수학, 영어 등
교과내용에 위계질서가 있고, 성취도가 낮은 과목에 적합
-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 국어, 사회, 과학
교과내용이 위계질서가 없고, 성취도가 높은 과목에 적합
- 과목 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 : 고등학교 2, 3학년 단계
내용의 종류와 난이도가 다양한 과목 설치(개별학습)
→ 진로선택 후 과목 선택
현실적 적용이 어렵다.(비용과 여건의 문제)
학교의 선택적 사용
④ 재량시간 신설, 확대
- 교과 재량활동 : 중등학교의 선택과목 학습과 국민공통기본교과의 심화 보충학습
- 창의적 재량활동 : 자기주도 학습활동, 통합적 범교과 학습활동 등
- 초등학교 : 학교의 실정에 따라 시행가능, 창의적 재량활동에 중점
- 중등학교 : 교과재량활동은 연간 수업시간이 102시간 이상 배정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기타 선택과목 학습 시간을 우선 배정하고 나머지
시간은 국민공통교과의 심화보충 학습시간으로 활용)
: 창의적 재량활동은 연간 34시간 이상 배정
- 고등학교 1학년 : 교과재량활동 연간 이수 단위는 10단위
: 국민공통기본교과의 심화보충학습은 4~6단위
: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선택과목은 4~6단위
⑤ 이수과목 수를 축소하고 교과별로 학습 내용을 최적화
- 기본교과를 10개 교과로 한정 이수 시간을 최소 수업 시간을 기준으로 제시
- 교과학습내용은 학습자의 경험의 질을 중시하여 최저 필수 학습요소를 중심으로 구성조직
⑥ 고등학교 23학년에 학생 선택 중심 교육과정을 도입
⑦ 질 관리 중심의 교육과정 평가 체제 도입
⑧ 창의성과 정보 능력 배양 강조 : 컴퓨터 교육을 모든 교육활동에 강화
⑨ 자기주도학습 : 평생교육의 방법
4) 특별활동
① 개정의 기본방향
- 건전한 인간성과 창의성을 지닌 자율적인한국인 기르는데 적합한 특별활동 교육과정으로 개정한다.
- 세계화정보화 사회의 인간적, 교육적, 문화적 요구를 중시하고 이를 적극 반영
- 새로운 세대의 학습자의 독특한 신체적, 인지적, 감성적, 사회적, 심미적 특성과욕구, 필요를 반영
- 학생의 능력, 소질, 특기 계발을 위한 다양한 과외 활동을 정상적인 학교교육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도록 개정
- 각 지역과 학교에서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개정
② 개정의 중점
- 특별활동의 본질에 접근하는 영역의 특성화
: 자치활동, 적응활동, 계발활동, 봉사활동, 행사활동의 5대 영역으로 확대
- 학생의 집단적, 자주적, 실천적 활동의 강조
- 학생의 인간, 사회, 자연과의 접촉 활동 강화
- 학교교육에 대한 국가사회 및 국민적 요구 수용 반영
- 지역 및 학교의 특성에 맞는 편성운영을 위한 학교 자율권 확대
: 학교중심 교육과정 (학교에 많은 재량권 부여)
③ 특별활동의 성격
- 교육과정의 한 분야로서 교과활동과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
-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활동에 바탕
- 집단을 단위로 하는 활동
- 운영에 있어서 융통성을 가진다.
④ 내용 체계
- 자치활동 : 협의활동, 역할분담활동, 민주시민활동
- 적응활동 : 기본생활습관형성활동, 친교활동, 상담활동, 진로활동, 정체성확립활동
- 계발활동 : 학술문예활동, 보건체육활동, 실습조작활동, 여가문화활동
정보통신활동, 청소년단체활동
- 봉사활동 : 일손돕기활동, 위문활동, 캠페인활동, 자선구호활동, 환경
시설보전활동
- 행사활동 : 의식행사활동, 학예행사활동, 보건체육행사활동, 수련활동
안전구호활동, 교류활동
* 7차 신설 활동 - 민주시민활동, 정체성확립활동, 정보통신활동, 수련활동, 교류활동 등
② 강조점
- 국민적 자질 함양
- 지식 기술교육의 쇄신
5) 제4차 교육과정 : 인본주의 교육과정(1981~1987)
① 최초 학교급별(초중고 별)로 목표 설정(교육의 인간상 제시를 기반)
② 통합교육과정
③ 내용의 적정화(과도한 교육을 감축)
④ 최초 연구개발에 의한 교육과정 개혁(학국교육개발원에서 연구개발)
6) 제5차 교육과정 : 통합교육과정(1987~1992)
① 지역화 - 지역특성 반영(4차에서 시작 그러나 시행되지는 못했다.)
② 효율화
③ 통합교육과정
④ 특별활동시간 강조 - 주당 1~2시간(학급활동 1시간 포함)
7) 제6차 교육과정 : 학교중심교육과정(1992~1997)
① 추구하는 인간상
-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도덕적인 사람
②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 지방분권화 : 시도와 학교의 교육과정에 재량권을 확대
학교 재량시간 추가 : 중학교에서 선택교과제 실시
- 일반교과를 공통필수(국가), 과정필수(市道)
과정선택(학교 지정)으로 구분
: 고등학교에서 교과선택권을 3원화
- 교육부, 교육청, 학교 선택권(전문교과)
- 교육과정 구조의 다양화 :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육내용의 다양화
- 내용의 적정화
- 운영의 효율화 : 학습과 생활의 기초 능력을 신장하고 평가 방법을 개선
(2) 7차 교육과정(1997~)
1) 기본방향 :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양성
① 다양화특성화 : 본격적 학교중심 교육과정 지향
② 수요자 중심 - 수준별 교육과정 도입
③ 정보화세계화 강화
④ 학년별 교육과정 중심 : 10년 의무교육제의 국민 공통 교육과정
2) 개정의 중점
① 목표 :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기초 기본 교육의 충실
② 내용 : 세계화 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능력의 신장
③ 운영 :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의 열린교육 실천
④ 제도 : 지역 및 학교의 실정에 알맞은 학교교육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자율성 확대
3) 특징
①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 기초지식 전수
- 10년간의 국민공통기본교육기간 설정(초등 1학년 ~ 고등 1학년)
- 학년별 교육과정 중심으로 체제 구성
- 체계적 교과(기초지식) : 교과, 재량시간, 특별활동 세영역으로 나누고 10개의 기본교과로 구성
② 교육과정 편제에 교과군의 개념 도입(고등학교)
- 재량시간 활용시 특정 교과에 집중적으로 배정하는 부작용을 예방
③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 : 개별학습 지향
- 단계별 수준별 교육과정 : 수학, 영어 등
교과내용에 위계질서가 있고, 성취도가 낮은 과목에 적합
-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 국어, 사회, 과학
교과내용이 위계질서가 없고, 성취도가 높은 과목에 적합
- 과목 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 : 고등학교 2, 3학년 단계
내용의 종류와 난이도가 다양한 과목 설치(개별학습)
→ 진로선택 후 과목 선택
현실적 적용이 어렵다.(비용과 여건의 문제)
학교의 선택적 사용
④ 재량시간 신설, 확대
- 교과 재량활동 : 중등학교의 선택과목 학습과 국민공통기본교과의 심화 보충학습
- 창의적 재량활동 : 자기주도 학습활동, 통합적 범교과 학습활동 등
- 초등학교 : 학교의 실정에 따라 시행가능, 창의적 재량활동에 중점
- 중등학교 : 교과재량활동은 연간 수업시간이 102시간 이상 배정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기타 선택과목 학습 시간을 우선 배정하고 나머지
시간은 국민공통교과의 심화보충 학습시간으로 활용)
: 창의적 재량활동은 연간 34시간 이상 배정
- 고등학교 1학년 : 교과재량활동 연간 이수 단위는 10단위
: 국민공통기본교과의 심화보충학습은 4~6단위
: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선택과목은 4~6단위
⑤ 이수과목 수를 축소하고 교과별로 학습 내용을 최적화
- 기본교과를 10개 교과로 한정 이수 시간을 최소 수업 시간을 기준으로 제시
- 교과학습내용은 학습자의 경험의 질을 중시하여 최저 필수 학습요소를 중심으로 구성조직
⑥ 고등학교 23학년에 학생 선택 중심 교육과정을 도입
⑦ 질 관리 중심의 교육과정 평가 체제 도입
⑧ 창의성과 정보 능력 배양 강조 : 컴퓨터 교육을 모든 교육활동에 강화
⑨ 자기주도학습 : 평생교육의 방법
4) 특별활동
① 개정의 기본방향
- 건전한 인간성과 창의성을 지닌 자율적인한국인 기르는데 적합한 특별활동 교육과정으로 개정한다.
- 세계화정보화 사회의 인간적, 교육적, 문화적 요구를 중시하고 이를 적극 반영
- 새로운 세대의 학습자의 독특한 신체적, 인지적, 감성적, 사회적, 심미적 특성과욕구, 필요를 반영
- 학생의 능력, 소질, 특기 계발을 위한 다양한 과외 활동을 정상적인 학교교육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도록 개정
- 각 지역과 학교에서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개정
② 개정의 중점
- 특별활동의 본질에 접근하는 영역의 특성화
: 자치활동, 적응활동, 계발활동, 봉사활동, 행사활동의 5대 영역으로 확대
- 학생의 집단적, 자주적, 실천적 활동의 강조
- 학생의 인간, 사회, 자연과의 접촉 활동 강화
- 학교교육에 대한 국가사회 및 국민적 요구 수용 반영
- 지역 및 학교의 특성에 맞는 편성운영을 위한 학교 자율권 확대
: 학교중심 교육과정 (학교에 많은 재량권 부여)
③ 특별활동의 성격
- 교육과정의 한 분야로서 교과활동과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
-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활동에 바탕
- 집단을 단위로 하는 활동
- 운영에 있어서 융통성을 가진다.
④ 내용 체계
- 자치활동 : 협의활동, 역할분담활동, 민주시민활동
- 적응활동 : 기본생활습관형성활동, 친교활동, 상담활동, 진로활동, 정체성확립활동
- 계발활동 : 학술문예활동, 보건체육활동, 실습조작활동, 여가문화활동
정보통신활동, 청소년단체활동
- 봉사활동 : 일손돕기활동, 위문활동, 캠페인활동, 자선구호활동, 환경
시설보전활동
- 행사활동 : 의식행사활동, 학예행사활동, 보건체육행사활동, 수련활동
안전구호활동, 교류활동
* 7차 신설 활동 - 민주시민활동, 정체성확립활동, 정보통신활동, 수련활동, 교류활동 등
추천자료
7차교육과정 4대요소 요약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유치원교육과정의구성, 유치원 교육과정의 방법 및 평가, 유치...
[수학교과]수학과의 성격, 수학과의 목표 고찰과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 수학과 교육과정의...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 교수...
유치원교육과정의 목적, 유치원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유치원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유...
국어교육(국어과교육)의 성격, 국어교육(국어과교육)의 원리, 제7차 국어과교육과정의 성격, ...
제7차교육과정의 이론(기본방향, 개정특징, 인간상, 구성방침), 제7차교육과정의 국민공통기...
제7차교육과정의 의미, 제7차교육과정의 성격, 제7차교육과정의 실태, 제7차교육과정의 기본 ...
[유아교육][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의 변천과 구성절차,...
[아동건강교육A형 4학년] 2세이하를 위한 건강교육과정을 계획하시오 - 표준보육과정내용 포...
통합적 언어 교육의 방법 - 통합적 언어 교육과정의 구성원리, 통합적 언어교육의 목표 및 내...
교육과정의 구성과 계획(교육내용 선정, 교육내용의 조직, 지도과정, 교육평가)
교육과정 A형 교육에서 구성주의 이론의 정의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구성주의에 근거한 교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