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애에 관한 조사보고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성애에 관한 조사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문제
2. 가설 설정

Ⅱ 본론
3. 연구 설계
① 설문지조사
② 실험
4. 측정 및 척도구성
5. 자료 수집
6. 자료 분석
① 기술통계
② 추리통계

Ⅲ 결과
7. 연구 결과
8.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본문내용

.3%
38.1%
100.0%
2.00
빈도
58
22
37
117
VAR00008의 %
49.6%
18.8%
31.6%
100.0%
3.00
빈도
12
13
10
35
VAR00008의 %
34.3%
37.1%
28.6%
100.0%
4.00
빈도
1
1
1
3
VAR00008의 %
33.3%
33.3%
33.3%
100.0%
전체
빈도
111
48
80
239
VAR00008의 %
46.4%
20.1%
33.5%
100.0%
<카이제곱 검정>

자유도
점근 유의확률 (양측검정)
Pearson 카이제곱
9.239(a)
6
.161
우도비
8.441
6
.208
선형 대 선형결합
.002
1
.966
유효 케이스 수
239
이를 카이제곱 검증을 통해 분석해보면 유의확률이 0.161로 0.05이상의 값을 가져 나이와 동성애에 대한 생각간의 차이가 나타지 않다고 할 수 있다.

VAR00003
전체
1.00
2.00
3.00
VAR00008
1.00
빈도
5
72
7
84
VAR00008의 %
6.0%
85.7%
8.3%
100.0%
2.00
빈도
3
105
9
117
VAR00008의 %
2.6%
89.7%
7.7%
100.0%
3.00
빈도
2
31
2
35
VAR00008의 %
5.7%
88.6%
5.7%
100.0%
4.00
빈도
0
2
1
3
VAR00008의 %
.0%
66.7%
33.3%
100.0%
전체
빈도
10
210
19
239
VAR00008의 %
4.2%
87.9%
7.9%
100.0%
<카이제곱 검정>

자유도
점근 유의확률 (양측검정)
Pearson 카이제곱
4.606(a)
6
.595
우도비
3.707
6
.716
선형 대 선형결합
.177
1
.674
유효 케이스 수
239
이를 카이제곱 검증을 통해 분석해보면 유의확률이 0.595로 0.05이상의 값을 가져 나이와 한국 사회의 동성애에 대한 입장간의 차이가 나타지 않다고 할 수 있다.

VAR00006
전체
1.00
2.00
3.00
VAR00008
1.00
빈도
9
33
42
84
VAR00008의 %
10.7%
39.3%
50.0%
100.0%
2.00
빈도
15
49
53
117
VAR00008의 %
12.8%
41.9%
45.3%
100.0%
3.00
빈도
2
19
14
35
VAR00008의 %
5.7%
54.3%
40.0%
100.0%
4.00
빈도
1
2
0
3
VAR00008의 %
33.3%
66.7%
.0%
100.0%
전체
빈도
27
103
109
239
VAR00008의 %
11.3%
43.1%
45.6%
100.0%
<카이제곱 검정>

자유도
점근 유의확률 (양측검정)
Pearson 카이제곱
6.215(a)
6
.400
우도비
7.217
6
.301
선형 대 선형결합
1.217
1
.270
이를 카이제곱 검증을 통해 분석해보면 유의확률이 0.400으로 0.05이상의 값을 가져 나이와 동성친구의 사랑고백 간의 차이가 나타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설 2-4(나이에 따라 동성애 수용도가 다르다.)는 기각된다. 이는 나이에 따라 동성애 수용도가 차이가 나지 않음을 말해준다.
7. 연구 결과
우선 조사결과를 정리해보면 동성애에 대한 시각은 많이 개방적이고, 성별에 따라 동성애 수용도가 차이기 존재하였다. 그리고 제 3자간 동성애를 하는 경우와 본인이 동성친구의 사랑고백을 받는 경우 차이가 존재하였다. 하지만 나이와 동성애 수용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결과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우리의 통념이나 가설보다는 20대는 동성애에대해 상당히 개방적이다. 그리고 그 개방화의 핵심 역할의 대부분은 여성들이 담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동성애를 수용 할 수 있다고 대답한 사람들이 본인이 동성친구에게 사랑고백을 받을 때는 대체로 거부의사를 밝혔다. 이는 생각과 행동에 불일치정도로 해석하려고 했는데 동성애에 관한 책을 통해 다음과 같은 해답을 얻게 되었다. 동성애는 선천적이고 정신질환도 아니다. 태생적인 왼손잡이와 하나 다를 것이 없다는 간단한 해답을 얻게 되었다. 쉽게 풀어 설명하면 ‘오른손잡이인 나는 왼손잡이들이 이상하지 않아. 그러나 나보고 왼손잡이를 하라고 강요할 필요는 없잖아?’정도로 해석을 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결론에 도달 했을 때 궁금한 점이 생겼다. 그것은 왜 여성들이 동성애에 대하여 훨씬 개방적인 반응을 보였을지 궁금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사회학적으로 ‘여자니깐 원래 그렇게 반응해’라고 교수님께서 말씀을 해주셔서 이러한 궁금증은 해결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번 사회조사를 통해 통념이 깨지고 있는 사회변동의 한 조각을 포착해 내었다는데 충분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을 했다.
8.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이번 연구에서는 몇 가지 한계점이 있었다. 먼저 실험을 할 때 연기를 했던 사람들의 연기력이 모두 같지 않아서 각 실험마다 나타난 반응들에는 오차가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실험의 특성상 상황과 당시 상황 및 특수요소의 통제가 완전히 엄격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실험 간 객관적 비교는 불가능했다.
둘째, 가설 1번에 대하여 정확한 검증을 할 수 없었던 점에서 표본의 통계 값을 가지고 모집단을 대표할만한 값인지 알 수 없었다. 그래서 이번 연구에서는 하지 못했던 가설 1번에 대한 연구를 앞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한 학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점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동성애에 관한 인식 변화를 파악할 수 없었다. 비교적 장기적인 관점에서 여러 시점의 수용도를 통해 변화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면 동성애에 대한 인식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넷째, 나이에 따른 동성애 인식 정도를 살펴보는 데에는 20대만을 설문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를 발전시켜 보다 다양한 연령층(10대부터 30대 혹은 그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한다면 동성애를 수용하는데 있어 나이라는 변수가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지 않을까 생각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01.24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8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