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콘스탄티누스 이후의 기독교가 여러 가지 면에서 세속과 타협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형태로 나아간 부분도 있었지만, 그와는 다르게 새로운 환경속에서 나름대로 자신의 위치를 정립해 나가려는 노력도 있었다. 이러한 노력은 사회복지 전통을 마련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기독교는 처음으로 사회복지 조직을 만들고 고아원이나 극빈자 숙소 등을 만들었다. 또한 사회적 공의와 관련해서 4세기 후반의 교회는 재판소와 같은 기능까지 수행하게 된다. 점차 교회가 이러한 사회적인 부분을 넘겨받으면서 4세기에는 새로운 교회사적 운동이라 할 수 있는 수도원 운동으로 연결이 되었다.
맺음말
기독교는 콘스탄티누스의 기독교 공인 이후에도 여러 가지 부정적인 변화와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면서 자신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유지시켜나갔고, 내적으로는 성직을 교권화시켜 행정 조직의 기틀을 마련했고, 외적으로는 간접적이지만, 영적 기반을 제공하게 될 수도원을 형성할 토대를 마련해서 교회발전을 위한 기본적인 전제들을 충족하였다. 교회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조직화해서 새로운 국가 이데올로기로서 사상적 체제를 갖춘 이론을 갖추어 거듭나게 된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은 기독교의 정신이 로마의 정신 사상을 지배할 만큼의 위치에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헬라 사상과 연결되면서 주도적 위치를 가졌던 기독교 사상이 이제는 로마제국의 지배 이데올로기로 적합한 사상으로 변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심에서 유능한 젊은이들이 교회로 몰려들며 신학을 공부하게 되고, 기독교를 통해서 고대 문화가 통합정리되고, 기독교가 이후의 서구 문화의 근본 흐름으로 자리 매김하게 된다.
[참고1]세계 종교회의 일람표
장소
소집자
연대
논점
결과
니케아
콘스탄티누스
235
아리우스설
부활절 절기
니케아 신조제정
부활절 정함
콘스탄티노플
테오도시우스
381
아리우스설
인성 제한 부당
아폴리나리스설부인 신인양성
에베소
테오도시우스2세
431
키릴로스설 대 네스토리우스설
키릴로스 인정
펠라기우스설 이단 결정
에베소
테오도시우스2세
449
유티케스의 일성론반대
이성론 채택
칼게돈
마르키아누스
451
레오서한, 통성론 배격
칼게돈신조
이성 일인격
콘스탄티노플
유스티니아누스
553
일성논자와
화해하려고 삼장령
유이성의 본체인 로고스
콘스탄티노플
콘스탄티누스4세
680
일의론 성화
숭배 반대
이의론
성화숭배
콘스탄티노플
바실리우
869
879
이그나시티우스 대주교
대 포티우스 성령의 출터
이그나시티우스복직
니케아 신조 확인
《참고자료》
A. M. 렌위크,『세계 기독교 교회사』, 보이스사, 1997
허승일 외,『로마 제정사 연구』,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존셰이드/로제르 아눈,『로마인의 삶-축복받은 제국의 역사』, 시공사 1997
장-마리 앙젤,『로마제국』, 한길 크세주, 1999
도널드 R. 더들리,「13장 고전문화와 기독교」,『로마 문명사』, 현대지성사 1997
인드로 몬타넬리,『로마제국사』, 까치, 1998
프리츠 하이켈하임,『로마사』, 현대지성사, 1999
에드워드 기번, 『로마제국 쇠망사Ⅲ』,대광서림
맺음말
기독교는 콘스탄티누스의 기독교 공인 이후에도 여러 가지 부정적인 변화와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면서 자신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유지시켜나갔고, 내적으로는 성직을 교권화시켜 행정 조직의 기틀을 마련했고, 외적으로는 간접적이지만, 영적 기반을 제공하게 될 수도원을 형성할 토대를 마련해서 교회발전을 위한 기본적인 전제들을 충족하였다. 교회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조직화해서 새로운 국가 이데올로기로서 사상적 체제를 갖춘 이론을 갖추어 거듭나게 된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은 기독교의 정신이 로마의 정신 사상을 지배할 만큼의 위치에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헬라 사상과 연결되면서 주도적 위치를 가졌던 기독교 사상이 이제는 로마제국의 지배 이데올로기로 적합한 사상으로 변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심에서 유능한 젊은이들이 교회로 몰려들며 신학을 공부하게 되고, 기독교를 통해서 고대 문화가 통합정리되고, 기독교가 이후의 서구 문화의 근본 흐름으로 자리 매김하게 된다.
[참고1]세계 종교회의 일람표
장소
소집자
연대
논점
결과
니케아
콘스탄티누스
235
아리우스설
부활절 절기
니케아 신조제정
부활절 정함
콘스탄티노플
테오도시우스
381
아리우스설
인성 제한 부당
아폴리나리스설부인 신인양성
에베소
테오도시우스2세
431
키릴로스설 대 네스토리우스설
키릴로스 인정
펠라기우스설 이단 결정
에베소
테오도시우스2세
449
유티케스의 일성론반대
이성론 채택
칼게돈
마르키아누스
451
레오서한, 통성론 배격
칼게돈신조
이성 일인격
콘스탄티노플
유스티니아누스
553
일성논자와
화해하려고 삼장령
유이성의 본체인 로고스
콘스탄티노플
콘스탄티누스4세
680
일의론 성화
숭배 반대
이의론
성화숭배
콘스탄티노플
바실리우
869
879
이그나시티우스 대주교
대 포티우스 성령의 출터
이그나시티우스복직
니케아 신조 확인
《참고자료》
A. M. 렌위크,『세계 기독교 교회사』, 보이스사, 1997
허승일 외,『로마 제정사 연구』,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존셰이드/로제르 아눈,『로마인의 삶-축복받은 제국의 역사』, 시공사 1997
장-마리 앙젤,『로마제국』, 한길 크세주, 1999
도널드 R. 더들리,「13장 고전문화와 기독교」,『로마 문명사』, 현대지성사 1997
인드로 몬타넬리,『로마제국사』, 까치, 1998
프리츠 하이켈하임,『로마사』, 현대지성사, 1999
에드워드 기번, 『로마제국 쇠망사Ⅲ』,대광서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