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수혈 간호 ★
* antibody screen test
☉ 수혈의 목적
☉ 혈액의 종류에 따른 적응증.
☉ 혈액의 처리 방법
☉ 혈액 성분제제의 보관
☉ 수혈 반응
* antibody screen test
☉ 수혈의 목적
☉ 혈액의 종류에 따른 적응증.
☉ 혈액의 처리 방법
☉ 혈액 성분제제의 보관
☉ 수혈 반응
본문내용
yoprecipitate 는 RT 불필요
- RT하면 혈중 K수치가 2배 상승 -> 수혈 바로 직전에 조사함.
혈액 성분제제의 보관
파란 BOX
(냉장보관)
RBC, FFP
빨간 BOX
(실온 보관)
PC , Cryoprecipitate
* FFP, cryoprecipitate는 22G 도 가능. PC 20g가능.
* FFP, P.C, cryoprecipitate는 full로 drip~
* PLT, cryoprecipitate는 여러개가 한꺼번에 올라옴.
수혈 반응
1. 급성 반응
급성 반응
원인
임상증상
관리
예방
알레르기
반응
혈장단백질 또는 수여자의 항원과 반응하는 공여자 항체에 대한 과민반응.
발적,홍조,
소양증,
천식성 천명음,
후두부종,
아나필락시스
1.즉시 수혈 중단
N/S로 정맥을 유지
2.지시된 항히스타민제를 투여
3.아나필락시스를 관찰
-호흡부전이 심할 경우 epinephrine을 준비
4.소양증이 있다면 서서히 주입.
1.수혈전 과거력 수집
->아나필락시스에 대한 과거력 유무확인.
비용혈성
발열 반응
공여자의 WBC, PLT, plasma 에 대한 과민반응.
갑작스런 오한과 발열,
두통,홍조,불안
1.즉시수혈을 중단하고, N/S로 정맥을 유지.
2.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
3. 의사와 혈액은행에 알림.
1.수혈전에 해열제를 투여.
2.추후 수혈을 위해 백혈구수가 적은 혈액제제가 권장됨.
패혈성반응
세균에 오염된 혈액 또는 혈액제제의 수혈
갑작스런 오한,고열
구토,설사,
현저한 저혈압
1.즉시수혈중단하고 N/S로 정맥유지
2.혈액은행,의사에게 알림
3.배양을 하기위해 환자혈액을 체취.
4.패혈증치료
-항생제,정맥내 수액공급,혈관수축제, 스테로이드제 투여.
1.4시간내에 수혈을 완료
2.사용후 4시간이 지나면 수혈세트를 교환.
순환 과부담
순환하는 양보다 빠른 속도나 다량의 수액이 투여될때 발생.
폐혈관내에 혈액이 증가되면 폐신장성 감소.
정맥압 상승.
경정맥 팽창.
호흡곤란
기칭.
폐기저부의 악설음.
1.즉시수혈중단하고, N/S로 정맥유지
2.의존성 직립자세를 취해줌.
3.처방된 이뇨제,산소, Morphine ,aminophylline을 투여
1.가능하면 농축혈액물을 투여함.
2.순환속도내로 수혈.
3.심부전 환자는 중심정맥압을 관찰.
용혈반응
1.부적절한 혈액의 주입
-기존 적혈구 항체에 의함.수혈된 적혈구가 급속히 파괴.
-수혈 기왕력이 있거나 대량의 수혈시 자주 나타남.
-취급자의 실수.
빈맥,초조
혈관주의 동통
혈뇨,
흉통,
호흡곤란,
출혈, 저혈압.
1.즉시 수혈중단.
N/S로 연결.
혈액형 및 교차반응 재실시.
2.혈액배양검사,혈액응고검사 시행(감염, DIC 여부 확인)
1.세심하게 환자의 신분을 확인한다.
2. 부적합한 혈액의 수혈량에 따라 결과가 다르다.
->검사물채취부터 혈액주입까지 수혈을 서서히 시작.
지연된 용혈 반응
철 과잉 (장기간 다량의 수혈결과 주요기관 내 철의 침전)
조직이식숙주질환 - GVHD
감염성 질환
1. B형 간염
2. C형 간염
3. 후천성 면역결핍증
2. 만성 반응
- RT하면 혈중 K수치가 2배 상승 -> 수혈 바로 직전에 조사함.
혈액 성분제제의 보관
파란 BOX
(냉장보관)
RBC, FFP
빨간 BOX
(실온 보관)
PC , Cryoprecipitate
* FFP, cryoprecipitate는 22G 도 가능. PC 20g가능.
* FFP, P.C, cryoprecipitate는 full로 drip~
* PLT, cryoprecipitate는 여러개가 한꺼번에 올라옴.
수혈 반응
1. 급성 반응
급성 반응
원인
임상증상
관리
예방
알레르기
반응
혈장단백질 또는 수여자의 항원과 반응하는 공여자 항체에 대한 과민반응.
발적,홍조,
소양증,
천식성 천명음,
후두부종,
아나필락시스
1.즉시 수혈 중단
N/S로 정맥을 유지
2.지시된 항히스타민제를 투여
3.아나필락시스를 관찰
-호흡부전이 심할 경우 epinephrine을 준비
4.소양증이 있다면 서서히 주입.
1.수혈전 과거력 수집
->아나필락시스에 대한 과거력 유무확인.
비용혈성
발열 반응
공여자의 WBC, PLT, plasma 에 대한 과민반응.
갑작스런 오한과 발열,
두통,홍조,불안
1.즉시수혈을 중단하고, N/S로 정맥을 유지.
2.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
3. 의사와 혈액은행에 알림.
1.수혈전에 해열제를 투여.
2.추후 수혈을 위해 백혈구수가 적은 혈액제제가 권장됨.
패혈성반응
세균에 오염된 혈액 또는 혈액제제의 수혈
갑작스런 오한,고열
구토,설사,
현저한 저혈압
1.즉시수혈중단하고 N/S로 정맥유지
2.혈액은행,의사에게 알림
3.배양을 하기위해 환자혈액을 체취.
4.패혈증치료
-항생제,정맥내 수액공급,혈관수축제, 스테로이드제 투여.
1.4시간내에 수혈을 완료
2.사용후 4시간이 지나면 수혈세트를 교환.
순환 과부담
순환하는 양보다 빠른 속도나 다량의 수액이 투여될때 발생.
폐혈관내에 혈액이 증가되면 폐신장성 감소.
정맥압 상승.
경정맥 팽창.
호흡곤란
기칭.
폐기저부의 악설음.
1.즉시수혈중단하고, N/S로 정맥유지
2.의존성 직립자세를 취해줌.
3.처방된 이뇨제,산소, Morphine ,aminophylline을 투여
1.가능하면 농축혈액물을 투여함.
2.순환속도내로 수혈.
3.심부전 환자는 중심정맥압을 관찰.
용혈반응
1.부적절한 혈액의 주입
-기존 적혈구 항체에 의함.수혈된 적혈구가 급속히 파괴.
-수혈 기왕력이 있거나 대량의 수혈시 자주 나타남.
-취급자의 실수.
빈맥,초조
혈관주의 동통
혈뇨,
흉통,
호흡곤란,
출혈, 저혈압.
1.즉시 수혈중단.
N/S로 연결.
혈액형 및 교차반응 재실시.
2.혈액배양검사,혈액응고검사 시행(감염, DIC 여부 확인)
1.세심하게 환자의 신분을 확인한다.
2. 부적합한 혈액의 수혈량에 따라 결과가 다르다.
->검사물채취부터 혈액주입까지 수혈을 서서히 시작.
지연된 용혈 반응
철 과잉 (장기간 다량의 수혈결과 주요기관 내 철의 침전)
조직이식숙주질환 - GVHD
감염성 질환
1. B형 간염
2. C형 간염
3. 후천성 면역결핍증
2. 만성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