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통풍성 관절염
1. 통풍의 정의
2. 통풍성 관절염의 병태생리
3. 통풍성 관절염의 분류
4. 통풍성 관절염의 원인
5. 통풍의 진행과정
6. 통풍성 관절염의 임상증상
(1) 급성통풍
(2) 만성통풍
7. 통풍성 관절염의 치료와 간호
(1) 약물적 치료
(2) 비약물적 치료
Ⅱ. 관절경(Arthroscopy)
1. 관절경의 정의
2. 관절경의 장・단점
3. 관절경 전후 간호
4. 관절경의 적응증
Ⅲ. 참고문헌
1. 통풍의 정의
2. 통풍성 관절염의 병태생리
3. 통풍성 관절염의 분류
4. 통풍성 관절염의 원인
5. 통풍의 진행과정
6. 통풍성 관절염의 임상증상
(1) 급성통풍
(2) 만성통풍
7. 통풍성 관절염의 치료와 간호
(1) 약물적 치료
(2) 비약물적 치료
Ⅱ. 관절경(Arthroscopy)
1. 관절경의 정의
2. 관절경의 장・단점
3. 관절경 전후 간호
4. 관절경의 적응증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관절, 손목관절)을 검사&시술하는 것으로, 절개를 하지 않고 약 5mm 직경의 가늘고 긴 막대기 같이 생긴 기구를 피부의 작은 절개부위를 통하여 관절안에 삽입하고 여기에 작은 카메라를 부착시켜 관절내부를 모니터를 통해 보면서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한다.
관절경은 가느다란 관에 특수 렌즈를 부착시켜 관절 속의 구조물을 밖에서 볼 수 있게 만들었으며 불빛을 비추게 하고 물로 관절 속을 씻어내는 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다.
● 진단적 관절경 검사는 볼펜의 두께보다도 가느다란 기계가 약 0.5cm 의 절개를 한 후 우리 몸의 각각의 관절(어깨, 팔꿈치, 손목, 척추, 엉덩이, 무릎, 발목) 안으로 들어가서 관절 내의 질환을 TV 모니터로 보면서 환자의 병변을 진단한다. ● 관절경 수술은 knee에 pain, swelling, weakness가 있을 때 직접 무릎 안으로 들어가서 보고, 눌러보고, 당겨보고 또한 관절을 움직이는 상태에서의 구조물의 부딪힘 등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관절 내의 질환을 진단하는데 있어서는 가장 정확한 검사이다. 진단 후 이 구멍을 통해 여러 기구들이 들어가서 수술 적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2. 관절경의 장단점
장점
- 관절절개술보다 절개길이가 작고, 치유 및 회복이 빠르다.
- MRI 사진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병변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 수술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소요시간이 1시간 정도이다.
- 무릎이나 다리만 마취를 하여 전신마취의 필요성도 없이 마취의 위험성도 적다.
단점
- 관절경으로 잘 안 보이는 부분이 있다.
- 관절경에 숙달되지 않으면 오히려 관절에 상처를 더 줄 수 도 있다.
- 수술자의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3. 관절경 전후 간호
관절경을 시행하기 전날 밤 자정부터 금식하도록 하고, 승낙서를 받아둔다.
국소마취의 경우 내시경이 삽입될 때 약간의 불편감이 있음을 알려준다.
체온 상승과 절개부위 국소감염 등과 같은 염증의 신호를 감시하고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보고하도록 교육한다.
정상식이도 가능하다.
외과적 절개를 하지 않고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감각이 돌아오는 대로 걸을 수 있으며, 며칠 동안 격렬한 운동은 피해야 한다.
4. 관절경의 적응증
무릎 관절통의 진단 및 치료
외상에 의한 연골판 파열의 적출술이나 봉합술
인대 손상에 대한 봉합술이나 재건술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세척술, 활액막 절제술
조직검사, 관절내 유리체 제거술, 연골판 이식술
어깨 관절이 굳어서 관절운동이 잘 되지 않는 오십견의 치료
습관성 탈골에 대한 진단 및 치료
관절내 유리체 제거술, 만성 관절염의 조직검사 및 활액막 절제술
Ⅲ. 참고문헌
● 전시자 외(2009),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 서울
● Joyce M. Black 외(2009), 성인간호학 개정판, 정담미디어 : 서울
● 이은옥 외(2002), 성인간호학(4권), 신광출판사 : 서울
● 서문자 외(2000), 성인간호학 하(Ⅱ), 수문사 : 서울
● http://www.google.co.kr/images
관절경은 가느다란 관에 특수 렌즈를 부착시켜 관절 속의 구조물을 밖에서 볼 수 있게 만들었으며 불빛을 비추게 하고 물로 관절 속을 씻어내는 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다.
● 진단적 관절경 검사는 볼펜의 두께보다도 가느다란 기계가 약 0.5cm 의 절개를 한 후 우리 몸의 각각의 관절(어깨, 팔꿈치, 손목, 척추, 엉덩이, 무릎, 발목) 안으로 들어가서 관절 내의 질환을 TV 모니터로 보면서 환자의 병변을 진단한다. ● 관절경 수술은 knee에 pain, swelling, weakness가 있을 때 직접 무릎 안으로 들어가서 보고, 눌러보고, 당겨보고 또한 관절을 움직이는 상태에서의 구조물의 부딪힘 등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관절 내의 질환을 진단하는데 있어서는 가장 정확한 검사이다. 진단 후 이 구멍을 통해 여러 기구들이 들어가서 수술 적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2. 관절경의 장단점
장점
- 관절절개술보다 절개길이가 작고, 치유 및 회복이 빠르다.
- MRI 사진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병변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 수술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소요시간이 1시간 정도이다.
- 무릎이나 다리만 마취를 하여 전신마취의 필요성도 없이 마취의 위험성도 적다.
단점
- 관절경으로 잘 안 보이는 부분이 있다.
- 관절경에 숙달되지 않으면 오히려 관절에 상처를 더 줄 수 도 있다.
- 수술자의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3. 관절경 전후 간호
관절경을 시행하기 전날 밤 자정부터 금식하도록 하고, 승낙서를 받아둔다.
국소마취의 경우 내시경이 삽입될 때 약간의 불편감이 있음을 알려준다.
체온 상승과 절개부위 국소감염 등과 같은 염증의 신호를 감시하고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보고하도록 교육한다.
정상식이도 가능하다.
외과적 절개를 하지 않고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감각이 돌아오는 대로 걸을 수 있으며, 며칠 동안 격렬한 운동은 피해야 한다.
4. 관절경의 적응증
무릎 관절통의 진단 및 치료
외상에 의한 연골판 파열의 적출술이나 봉합술
인대 손상에 대한 봉합술이나 재건술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세척술, 활액막 절제술
조직검사, 관절내 유리체 제거술, 연골판 이식술
어깨 관절이 굳어서 관절운동이 잘 되지 않는 오십견의 치료
습관성 탈골에 대한 진단 및 치료
관절내 유리체 제거술, 만성 관절염의 조직검사 및 활액막 절제술
Ⅲ. 참고문헌
● 전시자 외(2009),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 서울
● Joyce M. Black 외(2009), 성인간호학 개정판, 정담미디어 : 서울
● 이은옥 외(2002), 성인간호학(4권), 신광출판사 : 서울
● 서문자 외(2000), 성인간호학 하(Ⅱ), 수문사 : 서울
● http://www.google.co.kr/image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