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의 목표 [학교 체육의 목표와 체육과 교육의 성격 및 체육 목표의 영역별 분류와 행동목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육의 목표 [학교 체육의 목표와 체육과 교육의 성격 및 체육 목표의 영역별 분류와 행동목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체육의 목표

2. 우리나라 학교 체육의 목표

1)체육과 교육의 성격
2)체육과 교육 목표
3)체육 목표의 내용 영역별 분류

(1) 심동적 영역
(2) 인지적 영역
(3) 정의적 영역

4. 체육교육의 수행(행동) 목표

1) 수행(행동)목표의 개념
2) 아나리노의 행동목표

본문내용

, 분해하고 부분간의 관계와 조직된 방식을 인식하는 능력.
(5)종합: 여러 요소나 부분을 전체로서의 하나가 되도록 종합하는 능력.
(6)평가: 작품, 해답, 방법, 요소, 착상 등의 가치 정도를 판단하는 능력.
3) 정의적 영역
크라스월, 브룸, 매시아 등은 정의적 영역의 목표를 5가지로 분류했다.
정의적 측면이란 외적 현상이나 가치가 내면화되고 조작화되어 가는 과정을 말한다.
(1)감수: 어떤 현상이나 자극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는 행동
(2)반응: 자극이나 현상에 주의를 기울일 뿐 아니라 그것에 적극성을 갖고 반응하는 단계.
(3)가치: 어떤 현상이나 활동을 가치를 부여함으로서 적극적이며, 일관성 있는 반응을 보이는 수준
(4)조직: 여러 가지 가치를 비교 종합하여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단계
(5)인격: 개개의 가치가 개인이 갖고 있는 기존의 가치 체계 내에 수용되어 내적으로 조직
학교 교육과정 중에서 체육과 교육이 지향하는 목표는 영역별 목표 개념에 따라 현실적이며 구체적인 것으로 명세화 할 필요가 있다.
4. 체육 교육의 수행(행동) 목표
1) 수행(행동) 목표의 개념
일반적으로 수업에서 학습자가 기대하는 행동 변화에 관한 목표를 교육목표, 교수 목표, 행동 목표, 수행 목표, 조작 목표 등으로 부른다.
이러한 용어는 모두 유사한 의미로 해석된다.
수행(행동) 목표의 설정은 교육 목표를 행동적으로 정의하기 위한 것이다.
즉, 교수 목표를 학습자가 실제로 할 수 있는 행동으로 진술한다는 것이다.
교육 목표를 평가와 관련하여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세분화 한것으로 이해 하면 된다.
2) 아나리노의 행동 목표
아나리노 등 일련의 학자들은 체육 교육 목표를 행동 유형별로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1)신체적 영역 (근력, 지구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2)심동적 영역: 지각운동능력, 주요 움직임 기능
(3)인지적 능력: 지식, 지적인 기능과 능력
(4)정의적 영역: 신체 활동에 대한 건강 반응, 자아실현, 자아 존중
*참고문헌
-김대식 외, 체육철학, 서울 : 도서출판 나남, 1993
-김현덕, 김기용 역, 운동이야기, 서울 : 홍익출판사 1990
-맥인토시 P.지음, 하남길,권판근,페어 플레이,서울 : 21세기교육사, 1997
-블랑차드,K, &A.T.체스카 지음,박기동 외,스포츠 인류학,서울: 동문선,1985
-신성휴, 한왕택, 현대 스포츠론, 서울: 성균관대 출판부, 1993

키워드

체육,   목표,   원리,   개념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2.08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0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