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단원명
나. 단원의 개관
다. 단원 전개 계획
라. 지도상의 유의점
마. 단원평가내용
바.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나. 단원의 개관
다. 단원 전개 계획
라. 지도상의 유의점
마. 단원평가내용
바.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본문내용
방법 찾기
9분
9분
ppt
해시계, 물시계, 장영실, 세종대왕 사진
▶【활동 1】약속을 지키지 못했던 경험 발표
T : 오늘 약속에 관한 학습을 해 보겠습니다.
T : 교과서 68 쪽을 펼쳐 주세요.
[학생 두 명을 호명하여 읽도록 한다.]
T : 누나와 동생이 왜 약속시각에 만나지 못했나요?
T : 약속 시각에 만나지 못한 경험을 발표해 봅시다.
T : 왜 약속 시각에 만나지 못했나요?
▶【활동 2】선조들의 시각 측정 방법 알기
T : 선생님이 옛날 조상들이 시간을 알기 불편했던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나 들려주려고 합니다. 잘 들어 보세요
T : 잘 들었나요?
T : 이야기에서 삼돌이와 돌쇠가 시간을 알기 위해 무엇을 사용했나요?
T : “닭” 울음소리를 시각을 알기 위해 사용하면 어떤 점이 불편할까요?
T : 우리 조상 들은 닭 울음 소리외에 또 무엇으로 시간을 짐작했을까요?
T : 자~ 이런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우리의 선조들이 만든 발명품을 살펴 보겠습니다.
S1 : 12시가 약속이었는데, 동생이 배가 고플 때를 12시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S1 : 약속 날짜를 잘 못 생각하여서
S2 : 약속 시각을 잘 못 알아서
S3 : 약속 시각을 너무 빨리 잡아서 할 일을 다 못 마쳐서
S : 네
S : 네
S : 닭 울음 소리요.
S : 닭 울음 소리가 일정하지 않아요.
S : 닭이 안 울기도 하니 시각으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S1 : 배고픈 시간이요.
S2 : 해의 위치요.
교수-학습 과정
단계
(과정)
학습 요소
교수학습 활동 및 내용
시간
자료 및 유의점
교수 활동
학습 활동
활동3
T : 우리나라 세종 대왕 때 장영실이라는 분이 만든 해시계와 물시계입니다.
T : 해시계와 물시계를 이용하면 약속을 한다면 어떤 점이 불편할 까요?
T : 그렇다면 해시계와 물시계 보다 더 정확히 시각을 알 수 있는 것은 없을 까요?
T : 그래요. 사람들은 어떻게 하면 약속을 잘 지킬 수 있을지 연구하면서 좀 더 정확한 시계를 발명하게 되었습니다.
▶【활동 3】약속을 잘 지키기 위한 방법 찾기
T : 그럼 오늘의 마지막 활동으로 약속을 잘 지키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 : 친구 두 명이 역할놀이를 준비했는데 친구들이 잘 할 수 있도록 큰 박수 쳐주세요.
T : 영욱이와 준휘가 약속 시각을 잘 지켰나요?
T : 영욱이는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 약속 시각을 잘 지켰나요?
T : 그렇다면 약속 시각을 잘 지키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발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T : 약속 시각을 잘 지키는 방법을 정리해 볼까요?
S : 시각을 보기가 불편하고 약속 시각에 정확하게 맞출 수 없었을 것이다.
S : 시계요.
S : 우레와 같은 박수~~
S : 네, 잘 지켰습니다.
S1 : 달력이요.
S2 : 달력과 시계를 이용하였습니다.
S1: 무리한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
S2 : 여유있게 약속 시각을 잡는다.
S3 : 약속 날짜를 달력에 표시한다.
S4 : 시계를 보고 약속 시각에 맞추어 나가도록 한다.
10분
역할놀이
(달력, 시계)
ppt
교수-학습 과정
단계
(과정)
학습 요소
교수학습 활동 및 내용
시간
자료 및 유의점
교수 활동
학습 활동
정리
정리
정리학습
T : 오늘은 정확하게 만날 수 있는 약속에 대해서 배웠는데 약속을 잘 지키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T : 네, 오늘 배운 것을 잘 기억하기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는 어떤 일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대해 배우겠습니다. 슬기로운 생활 수업을 마치겠습니다.
S1 : 서로 믿을 수 있고 기분이 좋습니다.
S2 : 기다리는 시간을 낭비하지 않습니다.
S3 : 서로 더 친해 집니다.
S : 감사합니다.
5분
ppt
9분
9분
ppt
해시계, 물시계, 장영실, 세종대왕 사진
▶【활동 1】약속을 지키지 못했던 경험 발표
T : 오늘 약속에 관한 학습을 해 보겠습니다.
T : 교과서 68 쪽을 펼쳐 주세요.
[학생 두 명을 호명하여 읽도록 한다.]
T : 누나와 동생이 왜 약속시각에 만나지 못했나요?
T : 약속 시각에 만나지 못한 경험을 발표해 봅시다.
T : 왜 약속 시각에 만나지 못했나요?
▶【활동 2】선조들의 시각 측정 방법 알기
T : 선생님이 옛날 조상들이 시간을 알기 불편했던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나 들려주려고 합니다. 잘 들어 보세요
T : 잘 들었나요?
T : 이야기에서 삼돌이와 돌쇠가 시간을 알기 위해 무엇을 사용했나요?
T : “닭” 울음소리를 시각을 알기 위해 사용하면 어떤 점이 불편할까요?
T : 우리 조상 들은 닭 울음 소리외에 또 무엇으로 시간을 짐작했을까요?
T : 자~ 이런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우리의 선조들이 만든 발명품을 살펴 보겠습니다.
S1 : 12시가 약속이었는데, 동생이 배가 고플 때를 12시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S1 : 약속 날짜를 잘 못 생각하여서
S2 : 약속 시각을 잘 못 알아서
S3 : 약속 시각을 너무 빨리 잡아서 할 일을 다 못 마쳐서
S : 네
S : 네
S : 닭 울음 소리요.
S : 닭 울음 소리가 일정하지 않아요.
S : 닭이 안 울기도 하니 시각으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S1 : 배고픈 시간이요.
S2 : 해의 위치요.
교수-학습 과정
단계
(과정)
학습 요소
교수학습 활동 및 내용
시간
자료 및 유의점
교수 활동
학습 활동
활동3
T : 우리나라 세종 대왕 때 장영실이라는 분이 만든 해시계와 물시계입니다.
T : 해시계와 물시계를 이용하면 약속을 한다면 어떤 점이 불편할 까요?
T : 그렇다면 해시계와 물시계 보다 더 정확히 시각을 알 수 있는 것은 없을 까요?
T : 그래요. 사람들은 어떻게 하면 약속을 잘 지킬 수 있을지 연구하면서 좀 더 정확한 시계를 발명하게 되었습니다.
▶【활동 3】약속을 잘 지키기 위한 방법 찾기
T : 그럼 오늘의 마지막 활동으로 약속을 잘 지키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 : 친구 두 명이 역할놀이를 준비했는데 친구들이 잘 할 수 있도록 큰 박수 쳐주세요.
T : 영욱이와 준휘가 약속 시각을 잘 지켰나요?
T : 영욱이는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 약속 시각을 잘 지켰나요?
T : 그렇다면 약속 시각을 잘 지키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발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T : 약속 시각을 잘 지키는 방법을 정리해 볼까요?
S : 시각을 보기가 불편하고 약속 시각에 정확하게 맞출 수 없었을 것이다.
S : 시계요.
S : 우레와 같은 박수~~
S : 네, 잘 지켰습니다.
S1 : 달력이요.
S2 : 달력과 시계를 이용하였습니다.
S1: 무리한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
S2 : 여유있게 약속 시각을 잡는다.
S3 : 약속 날짜를 달력에 표시한다.
S4 : 시계를 보고 약속 시각에 맞추어 나가도록 한다.
10분
역할놀이
(달력, 시계)
ppt
교수-학습 과정
단계
(과정)
학습 요소
교수학습 활동 및 내용
시간
자료 및 유의점
교수 활동
학습 활동
정리
정리
정리학습
T : 오늘은 정확하게 만날 수 있는 약속에 대해서 배웠는데 약속을 잘 지키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T : 네, 오늘 배운 것을 잘 기억하기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는 어떤 일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대해 배우겠습니다. 슬기로운 생활 수업을 마치겠습니다.
S1 : 서로 믿을 수 있고 기분이 좋습니다.
S2 : 기다리는 시간을 낭비하지 않습니다.
S3 : 서로 더 친해 집니다.
S : 감사합니다.
5분
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