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기(유도전동기) 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도기(유도전동기)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유 도 기
1. 3상 유도전동기의 원리 및 구조
(1)원리
(2)구조
(3)분류

2. 3상 유도전동기의 이론
(1)변압기와의 유사성
(2)슬립
(3)손실
(4)효율

3. 3상 유도전동기의 특성
(1)특성

4. 3상 유도전동기의 운전과 역률의 개선
(1)기동방법
(2)역률개선

5. 3상 유도전동기의 시험
(1)일반적인 시험

6. 특수농형 3상 유도전동기
(1)2중 농형 유도전동기

7. 특수유도기
(1)유도발전기
(2)셀신장치
(3)리니어 모터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한다.
5. 3상 유도전동기의 시험
(1)일반적인 시험
→공극의 측정 : 공극게이지를 사용하여 공극을 측정.
권선저항의 측정
무부하시험
구속시험
2차 유도기전력의 측정 : 권선형유도전동기에서는 2차권선을 개방시킨
상태로 1차권선에 정격 주파수의 정격전압을
가하여 2차유도기전력을 측정해서 각상의 평균값 을 구한다.
부하시험 : 부하시험에 의하여 입력 전류 토크 및 회전수 등을 측정해서 전동기의 특성을 구한다.
온도시험 : 온도는 운전 중인 온도 및 운전정지 후의 각 부분 최고온도를 온도계로 측정하고 측정온도와 주위온도의 차이가 초과하는가 에 대해서 조사한다.
절연저항 및 내전압시험 : 온도시험한 직후에 권선과 대지 사이에 절연저 항을 절연저항계로 측정하고 1[MΩ] 이상 되는 것을 확인한 후에, 주파수 60[Hz]의 정현파에 가까운 시험전압을 권선과 철심 및 대지 사이에 가해서 내전압시험을 하고 연속 1분 동안 견디 어야 한다.
슬립의 측정
*회전계법 : 회전계로 직접 회전수를 측정해서 s를 구하는 방법.
*직류밀리볼트계법 : 두 개의 슬립링 사이에 직류가동코일형
밀리볼트계를 넣으면 2차주파수의 1[Hz]마다
한 번씩 좌우로 흔들리는데 1분 동안 지침이 흔들리는 수를 세어 이것과 1차 주파수로 슬립 s를
구한다.
*수화기법 : 밀리볼트 대신에 전화의 수화기를 슬립링 사이에 대면,
2차주파수의 1[Hz]동안에 2회 정도로 소리가 들리므로 1분 동안에 소리의 횟수를 세고 이것을 1분 동안에 1차주파수에 대해 2배로 나누어 슬립 s를 구한다.
*스트로보스코프법 : 전동기의 축 끝에 전동기의 극수와 같은 수의 흑색 부채꼴을 같은 간격으로 그린 그림과 같은 판을 설치해서 운전하고 이 원판을 전동기와 동일한 전원에 접속시킨 네온램프와 같은 방전등으로 비친다.
이러한 장치를 스트로보스코프라고 하며 이 방법을 스트로보스코프법이라 한다.
고장과 보수
*고장의 원인
-기동불량 : 전압강하가 지나치게 클 때, 3선 중 1선 단선, 기동기의
고장.
-슬립이 클 때 : 1차 또는 2차회로의 저항이 지나치게 많기 때문.
-온도상승이 클 때 : 전원전압이 정격전압보다 높아지면 철손이 커져서 온도상승.
-베어링의 고장 : 전동기와 사용하는 기계의 연결방법, 즉 벨트를 거는 방법이나 직결방법 등이 나쁘면 베어링이 과열된다.
*보수
-매일 실행하는 점검 : 베어링 급유 상태, 권선의 온도, 제동기,
기동기 등의 접촉부분
-매주 실행하는 점검 : 베어링의 점검, 공극 측정, 먼지 청소,
절연저항 측정 등
-매월 실행하는 점검 : 베어링의 기름교환, 구리스 교체, 분해하여 손질
6. 특수농형 3상 유도전동기
(1)2중 농형 유도전동기
→구조
*철심에 2 층의 홈을 만들어 도체를 이중으로 삽입한 것
*바깥쪽 홈 : 저항이 큰 도체(A) ⇒ 누설자속이 적음
*안쪽 홈 : 저항이 작은 도체(B) ⇒ 누설자속이 많음
원리
*기동시 도체 B 에는 리액턴스가 매우커 전류가 잘 흐르지 않고 주로 저항이 큰 도체 A 에 많이흐른다.
*기동토오크는 2 차 저항손에 비례하기 때문에 도체 A 에 흐르는 전
류에 의해 큰 기동토크를 얻고 속도가 증가하면 슬립 S 가 작아져
2 차주파수도 작아지므로 도체 B 의리액턴스 감소로 저저항인 도체 B 에 전류가 많이 흘러 운전토크가 증가한다.
*기동토오크는 전부하 토오크의 100 ∼ 250(%)정도
구분
기동시
운전시
도체 A
기동토크 큼
토크 감소
도체 B
기동토크 작음
토크 증가
7. 특수유도기
(1)유도발전기
→이론
직류전동기는 외력을 가해서 회전시키면 그대로 직류전동기가 되는 것처럼
유도전동기도 외력을 가해서 회전시키면 어떤 조건하에서는 유도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다.
유도기를 전동기로서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동기속도이상의 속도로
회전시켜서 발전기로 한 경우에 이것을 유도발전기라고 한다.
특성
발전기의 경우에도 전동기의 경우와 같이 회전자속을 만들기 위한
여자전류는 발전기가 연결되어 있는 전원에서 공급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유도발전기는 단독으로 발전할 수는 없으므로 반드시 동기발전기가
있는 전원에 접속해서 운전하여야 한다.
장점
가격이 싸고 기동과 취급이 간단하며 고장이 적다.
또 난조 등의 이상현상도 생기지 않는다.
단점
효율과 역률이 낮고 공극의 치수가 작아 운전시 주의해야 한다.
용도
유도발전기는 소출력의 자동수력발전소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 가끔 사용.
(2)셀신장치
→이 장치는 기계적인 각도의 변화를 전기적인 방법으로 먼 거리에 있는 장소에 전달해서 원격지시 또는 원격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의 하나이다.
원격신호, 원격제어, 수위계, 발전용 수차입구, 자동급탄장치 등에 이용된다.
(3)리니어 모터
→이론
회전기의 회전자 접속방향에 발생하는 전자력을 직접 직선적인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주력발생장치이다.
동기전동기, 직류전동기 등을 직선적으로 전개한 것을 총칭하여
리니어모터라 한다.
장점
모터 자체의 구조가 간단하여 신뢰성이 높고 보수가 용이하다.
기어, 벨트 등 동력변환기구가 필요 없고 직접 직선운동이 얻어진다.
단점
저속도를 얻기 어렵다.
부하의 관성의 영향이 크다.
회전형에 비하여 역률, 효율이 낮다.
1차측이 고정되어 있고 긴 경우에는 코일 이용률이 나쁘다.
용도
수송밀도가 높은 콘베이어, 화차와 같은 하역설비, 공장의 공작기계,
밸브 장치, 턴테이블, 릴 등에 이용된다.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전기기계, 동일출판사, 김영길 저, p.323 ~ p.417, 유도기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rkddnr12345, 유도전동기 원리.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icwj2010, 유도전동기 구조.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sigongdo, 유도전동기 특성.
-위키 백과사전, http://ko.wikipedia.org/wiki, 유도전동기 정의.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esulsa, 유도전동기 기동방법.
-네이버 블로그, http://junggyo.com/10047025776, 2중 농형 유도전동기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2.24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20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