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마케팅이란?
(1) 마케팅의 정의
(2) 마케팅의 효과
2. 마케팅 지상주의
(1) 마케팅 지상주의 정의
(2) 마케팅 지상주의에 의한 폐해
(1) 마케팅의 정의
(2) 마케팅의 효과
2. 마케팅 지상주의
(1) 마케팅 지상주의 정의
(2) 마케팅 지상주의에 의한 폐해
본문내용
국제통화매체도 다양해졌다. 과열화된 국제전화 시장에서는 기업들의 요금내리기 전쟁이 시작 되었고 sk는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해 00700이 휴대폰 대표 국제전화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무려 70%나 싸다는 점을 강조하여 국내 최저 요금이라는 것을 사람들에게 알리게 되고 이러한 마케팅의 일원으로 이러한 광고가 등장하게 된다.
2. 광고의 목적 - 친구가 불러 준 세자리 번호(001)보다 00700이 더 싸다는걸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집전화도 58%나 저렴하다고 하고 있다. 00700이 다른 국제 전화와 비교하여 가격이 저렴하단 걸 강조하여 소비를 촉진하려하고 잇다.
3. 광고의 내용 - 국민연금 캠페인, 17대 대통령 선거 광고, 손해보험 광고 같은 진중하고 신뢰감 있는 이미지의 김명민에서 잠시 벗어난다. 심리분석학자로 변신, 코믹한 몸짓과 애드리브로 소비자들을 웃긴다. 상대역은 탤런트 임예진(49)이다.
김명민이 펜던트를 흔들며“왜 비싼 세 자리 국제전화를 쓰게 되었죠?”라고 물으면 주부 임예진은“친구가 적어준 번호를 그냥 눌러버렸다”고 대답한다. 참회에 가까운 억양으로 고백하며 00700을 되뇐다.
4. 비평 광고의 배경, 분위기 그리고 연기자들의 행동과 대사가 매우 코믹하다. 아무래도 광고가 재미있고 특이하다 보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쉽게 살 수 있다. 이런 면에서 김명민의 이미지 변신이 크게 작용한 거 같다. 소비자에게 흥미를 주며 전달하는 내용이 뚜렷하여 잘 된 광고 인거 같다.
6) 삼성 프리덤 50+
이 광고는 고령화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저희 사회에서 쾌적한 노후 생활을 위해 연금보험이라는 제도를 제시하였다.
현재 한국인의 기대 수명은 1985년 66.8세에 불과했으나 점차 크게 늘어나 2005년 77.5세로까지 증가하며 주 타겟을 여기에 보이시는 노부부, 즉 5~60대를 잡았다.
이 광고는 딸의 결혼식장에서 이제 사위에게 딸을 부탁하고 노부부들은 남은 생을 둘만의 여유로운 노후생활을 하기 위해 떠나는 광고인데, 노부부를 모델로 잡으면서 공감대 형성을 하고 있으며 제품이 아닌 사람을 보여주는 힘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보장성 보험에 총력을 기울이던 보험 회사들의 이미지를 이 광고는 새로운 시장으로 눈을 돌려 연금 보험을 추진하며 ‘유쾌, 코믹, 속도감’의 이미지로 바꾸어 보여 지고 있는 반면 연금보험만 있으면 쾌적한 노후 생활을 준비할 수 있다는 느낌 또한 받을 수 있다.
사회적으로 노후 준비를 위한 환경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국민연금법 개정으로 국민연금의 공적 기능이 갈수록 약화되는 추세이고, 퇴직연금은 아직 초기단계로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으며 국내 개인연금 가입률은 23%에 불과해 선진국에 비해 매우 취약하다고 나타나있다. 그리고 은퇴 후 월평균 생활비 197만원 필요하지만 실제로 삼성생명 연금에 가입한 고객은 185만 명인데 이들의 연금수령액은 월평균 20만원 수준으로 실질적인 연금준비 또한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사실들을 바탕으로 한다면 꼭 연금보험만이 해결은 아니라는 점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5. 결 론
- 광고가 마케팅 지상주의자들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한 도구로 전락하고 만다면 비극이 아닐 수 없다. 품위를 지키고 경쟁사와 경쟁제품의 입지도 고려해 주면서, 자기 브랜드를 효과적이면서도 설득적으로 소비자의 뇌리에 박히게 할 수 있는 전략을 가진 광고가 우리에게 필요하다.
마케팅 지상주의자들은 이러한 마인드를 놓치기 쉽다. 광고에 있어 마케팅 지상주의는 가고 여러 광고를 포함한 여러 마케팅 전략들을 복합적으로 두루 사용하여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마케팅 공존공영주의가 와야 한다.
2. 광고의 목적 - 친구가 불러 준 세자리 번호(001)보다 00700이 더 싸다는걸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집전화도 58%나 저렴하다고 하고 있다. 00700이 다른 국제 전화와 비교하여 가격이 저렴하단 걸 강조하여 소비를 촉진하려하고 잇다.
3. 광고의 내용 - 국민연금 캠페인, 17대 대통령 선거 광고, 손해보험 광고 같은 진중하고 신뢰감 있는 이미지의 김명민에서 잠시 벗어난다. 심리분석학자로 변신, 코믹한 몸짓과 애드리브로 소비자들을 웃긴다. 상대역은 탤런트 임예진(49)이다.
김명민이 펜던트를 흔들며“왜 비싼 세 자리 국제전화를 쓰게 되었죠?”라고 물으면 주부 임예진은“친구가 적어준 번호를 그냥 눌러버렸다”고 대답한다. 참회에 가까운 억양으로 고백하며 00700을 되뇐다.
4. 비평 광고의 배경, 분위기 그리고 연기자들의 행동과 대사가 매우 코믹하다. 아무래도 광고가 재미있고 특이하다 보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쉽게 살 수 있다. 이런 면에서 김명민의 이미지 변신이 크게 작용한 거 같다. 소비자에게 흥미를 주며 전달하는 내용이 뚜렷하여 잘 된 광고 인거 같다.
6) 삼성 프리덤 50+
이 광고는 고령화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저희 사회에서 쾌적한 노후 생활을 위해 연금보험이라는 제도를 제시하였다.
현재 한국인의 기대 수명은 1985년 66.8세에 불과했으나 점차 크게 늘어나 2005년 77.5세로까지 증가하며 주 타겟을 여기에 보이시는 노부부, 즉 5~60대를 잡았다.
이 광고는 딸의 결혼식장에서 이제 사위에게 딸을 부탁하고 노부부들은 남은 생을 둘만의 여유로운 노후생활을 하기 위해 떠나는 광고인데, 노부부를 모델로 잡으면서 공감대 형성을 하고 있으며 제품이 아닌 사람을 보여주는 힘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보장성 보험에 총력을 기울이던 보험 회사들의 이미지를 이 광고는 새로운 시장으로 눈을 돌려 연금 보험을 추진하며 ‘유쾌, 코믹, 속도감’의 이미지로 바꾸어 보여 지고 있는 반면 연금보험만 있으면 쾌적한 노후 생활을 준비할 수 있다는 느낌 또한 받을 수 있다.
사회적으로 노후 준비를 위한 환경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국민연금법 개정으로 국민연금의 공적 기능이 갈수록 약화되는 추세이고, 퇴직연금은 아직 초기단계로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으며 국내 개인연금 가입률은 23%에 불과해 선진국에 비해 매우 취약하다고 나타나있다. 그리고 은퇴 후 월평균 생활비 197만원 필요하지만 실제로 삼성생명 연금에 가입한 고객은 185만 명인데 이들의 연금수령액은 월평균 20만원 수준으로 실질적인 연금준비 또한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사실들을 바탕으로 한다면 꼭 연금보험만이 해결은 아니라는 점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5. 결 론
- 광고가 마케팅 지상주의자들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한 도구로 전락하고 만다면 비극이 아닐 수 없다. 품위를 지키고 경쟁사와 경쟁제품의 입지도 고려해 주면서, 자기 브랜드를 효과적이면서도 설득적으로 소비자의 뇌리에 박히게 할 수 있는 전략을 가진 광고가 우리에게 필요하다.
마케팅 지상주의자들은 이러한 마인드를 놓치기 쉽다. 광고에 있어 마케팅 지상주의는 가고 여러 광고를 포함한 여러 마케팅 전략들을 복합적으로 두루 사용하여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마케팅 공존공영주의가 와야 한다.
추천자료
마케팅관리 중간고사 요약정리
스포츠 스타 마케팅-성공적 사례 분석
게릴라 마케팅
그린마케팅
영화마케팅과 PPL의 개념과 사례분석
인터넷마케팅
프로슈머마케팅
cold stone의 마케팅 전략
[데이터베이스마케팅][DBM]데이터베이스마케팅(DBM)의 개념, 특징, 데이터베이스마케팅(DBM)...
Case of Successful Marketing - Starbucks
★ 인터넷마케팅 - Virus Marketing ( TOMS, Crown, T-Mobile, 기업소개, 마케팅전략, 향후 전...
★ 호텔마케팅- Hotel Marketing ( 신라호텔, 파라다이스 호텔 )
★ 호텔마케팅 - Hotel Marketing ( 마케팅의 정의, 범룽랏 호텔, 점보 호스텔 )
UAE에서의 손목시계 마케팅 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