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막 및 기타 생식기의 주기적 변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궁내막 및 기타 생식기의 주기적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자궁내막의 주기적 변화
1. 자궁내막의 주기적 변화
2. 자궁내막 증식기와 분비기
3. 월경후기(postmenstrual phase)
4. 증식기(proliferative phase)
5. 분비기(secretory phase)
6. 월경전기(Premenstrual phase)
7. 월경전기에 볼 수 있는 자궁내막의 3층 구조
8. 월경기(Menstrual phase)
9. 월경시작후 월경이 멈추는 기전과 자궁내막의 복구

Ⅱ 기타 생식기의 주기적 변화
1. 자궁경부의 주기적 변화
2. 임신이 되었을 때 자궁경부의 변화
3. 질의 주기적 변화
4. 질의 3 종류의 세포를 감별하는 방법
5. 난관의 주기적 변화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같이 변한다(그림 4-8).
1. 양이 많아진다.
2. 투명해진다.
3. 수성(watery)이 현저해진다.
4. 수지 현상(fern)이 현저해진다.
5. 장력(spinbarkeit)이 현저해진다.
배란 이후에는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을 받아 자궁경관 점액은 양이 적어지고 점성이 높아지며 혼탁해진다.
그림 4-8. 배란 직전의 자궁경관 점액의 특징
2. 임신이 되었을 때 자궁경부의 변화
임신이 되면 자궁경관의 선조직은 크기가 매우 커지고 굴곡이 증가하며 양쪽의 자궁경관 상피가 거의 맞붙게 된다(그림 4-9). 이와 같은 경관의 비후는 만삭이 되어 진통이 나타나기 24시간 전에 일부가 탈락 되면서 소량의 출혈을 동반하는데 이것을 '이슬(show)'이라고 부른다.
자궁경관은 임신중 약 10%의 환자에서 탈락막 변화(decidual change)를 나타낸다.
3. 질의 주기적 변화
질(그림 4-10)도 난소 호르몬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조직이므로 월경 주기에 따른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의 변화에 따라 질 조직도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질 조직의 주기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질의 측벽을 살짝 긁어서 도말표본을 만들고 이를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보면 다음과 같은 3 가지 종류의 세포를 볼 수 있다.
1. 부기저 세포(parabasal cell)
2. 중간 세포(intermediate cell)
3. 표면 세포(superficial cell)
이들 세 종류의 세포는 월경 주기에 따라 그 구성비(比)가 달라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이들 세포들이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질도 월경 주기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변함을 알 수 있다.
그림 4-10. 질의 여러 가지 세포 층
4. 질의 3 종류의 세포를 감별하는 방법
질의 세 종류의 세포를 감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그림 4-11).
1. 먼저 세포질의 두께를 보아서 두터우면 다른 모양에 관계없이 부기저 세포 (parabasal cell)로 해석한다.
2. 세포질의 두께가 얇으면 중간 세포(intermediate cell)이거나 아니면 표면 세포 (superficial cell)로 해석한다.
3. 중간 세포와 표면 세포를 구별하는 방법은 핵의 크기를 보고 구별하는데 핵이 작고 농축(pyknosis)되어 있으면 표면 세포로 해석하고 핵이 불룩하고(plump)하 고 소포성(vesicular)이면 중간 세포로 해석한다.
이렇게 해서 염색된 세포 100 개를 관찰해서 부기저 세포, 중간 세포 및 표면 세 포의 수가 각각 5개, 35개 및 60개이었다면 이를 차례대로 5/35/60으로 표시하고 이를 성숙 지수(maturation index: MI)라고 부른다.
월경 주기에 따라 성숙 지수를 관찰하면, 난포기에서는 표면 세포가 30-60%를 나타내고, 배란 시기에는 성숙 지수가 0/40/60 으로 나타나며, 황체기에서는 성숙지수가 0/70/30으로 나타난다.
그림 4-11. 질 세포진에서 볼 수 있는 세포들
5. 난관의 주기적 변화
난관은 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수정난이 난관에서 3일 동안 체류하면서 세포증식을 도모하는 시기이므로 자궁내막에 못지 않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그림 4-12).
따라서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의 변화에 따라서 난관 점막은 두께가 증가하기도 하고 선조직(gland)에서 분비물이 증가하는 변화를 보이는데, 이때 분비되는 난관의 분비물은 수정난의 중요한 영양 내지는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그림 4-12. 난관의 구조
◈ 참고문헌
ㆍ최유덕(2001). 새임상 부인과학 (2판). 고려의학
ㆍhttp://www.dr4mind.net

키워드

의학,   자궁,   생식기,   월경,   자궁내막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3.02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23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