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 확산 방지 기술-수직차단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염 확산 방지 기술-수직차단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적용

3.수직방어벽의 종류

(1) 슬러리월

(2) 토양-벤토나이트 슬러리 트렌치 차단벽

1) 뒤채움 배치

2) 벽의 배치

3) 뒤채움

4) 고려사항

(3) 시멘트-벤토나이트 슬러리 트렌치 차단벽

1) 설계의 실행가능성

2) 최종설계

3) 기술적인 특성

4) 건설시 고려사항

(4) 소성 콘크리트

(5) 칸막이 벽

(6) 스틸시트 파일링

(7) 진동빔 차단벽

(8) 그라우트 커튼

(9) 심층토양혼합 수직차단벽

4.수직배수

5.차단벽용 덮개

6.모니터링의 수행

본문내용

오염 확산 방지 기술
-수직차단벽-
목차
1.서론
2.적용
3.수직방어벽의 종류
(1) 슬러리월
(2) 토양-벤토나이트 슬러리 트렌치 차단벽
1) 뒤채움 배치
2) 벽의 배치
3) 뒤채움
4) 고려사항
(3) 시멘트-벤토나이트 슬러리 트렌치 차단벽
1) 설계의 실행가능성
2) 최종설계
3) 기술적인 특성
4) 건설시 고려사항
(4) 소성 콘크리트
(5) 칸막이 벽
(6) 스틸시트 파일링
(7) 진동빔 차단벽
(8) 그라우트 커튼
(9) 심층토양혼합 수직차단벽
4.수직배수
5.차단벽용 덮개
6.모니터링의 수행
*수직차단벽
1. 서론
수직차단벽은 지하수와 오염물질들의 수평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지중에 설치하게 된다. 이 자료는 수직차단벽의 목적과 적용방법에 대해, 또 이용 가능한 차단벽의 종류와 적합한 수직차단벽의 설계와 설치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1950년 이전 유럽에서는 지하수의 수평흐름을 차단역할을 위하여 수직차단층을 지중에 설치하였다. 또힌, 굴착작업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종종 차단벽 경계 안을 콘크리트로 보강하여 설계하기도 하였다.
슬러리 트렌치차단벽은 1970년대 이후부터 환경적 차원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지하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반적인 개선시스템에 포함된 설비로서 1980년대 이후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수직차단벽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여러 기준들이 설계에 고려되어 왔다.
예를 들어, 청정지역으로 이동하는 오염물의 속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벽을 통과하는 오염물의 이동, 벽의 퍼텐셜경사, 차단벽의 문제점을 고려해야 할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경사가 큰 지역으로부터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가 현장으로 이동되는 속도를 최소화 하기 위해 차단벽을 이용하는 목적과는 정 반대이다.
후자의 경우에는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의 통과유량으로 인한 차단벽 내부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줄어 들게 된다.
수직차단벽을 실시하고 있는 부지 대부분에서의 환경제어 시스템은 여기에서 묘사된 기술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청정지역으로 이동하는 오염물의 속도를 최소화하려고 한다면, 환경제어시스템에 투수계수가 낮은 층을 가지고 있는 두 겹의 수직차단벽과 지하수를 차단하는 시스템, 펌프작용을 위한 처리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수직차단벽의 목적을 정의하고자 할 경우에는 차단의 개념이 지하수의 수리전도도가 단지 적은 것을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오염물의 제어인지에 관해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들어 벽을 통과하는 지하수의 수리전도도를 알고 있다면, 통과유량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차단벽이 오염물의 차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면, 이류뿐만 아니라 오염물의 거동형태에서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의 이동과정에서는 이류와 분산이 포함된다 (기계적분산과 분자확산) 분산은 기계적인 분산과 분자확산 두가지 모두를 포함.
2. 적용
일반적으로 수직차단벽은 주변을 둘러싸는 방어막으로서의 적용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점에서 수직차단벽은 일반적으로 매립지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안으로 향한 지중의 배수시스템과 오염된 부지에서의 복토는 전형적으로 지하수가 문제가 생기는 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주변을 둘러싸면서 수직차단벽과 함께 이용되고 있다.
한편, 수직차단벽은 주위를 둘러싸는 형식 이외에 부지의 특정 부분만을 위해 수직방어벽의 효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로키산의 군수공장에서는 지하수의 차단과 처리시스템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단벽의 경사를 낮게 하여 사용 하였으며, 처리된 물이 재 침투되지 않도록 경사도를 더 낮게 하도록 하였다.
수직차단벽은 또한 경사가 심한 장소에서도 사용된다.
예를 들면, 수직차단벽을 이용하여 깨끗하고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를 경사가 높은 장소에서 현장으로 유입되는 흐름속도를 줄일 수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수직차단벽은 수리전도도가 낮은 지층에서의 해결책으로 적용되기는 하지만, 오염된 지하수가 용출되거나 오염물들이 지하수 표면이나 수면 위에 부유될 경우 등 모든 상황에 대하여 항상 효과적이지는 않다.
3. 수직방어벽의 종류
전통적으로 낮은 투수계수를 가지고 있는 수직방어벽은 지중에 수직방어막을 설치하여 건설된다.
수직방어막은 복합된 구성물보다 수리전도도가 더 작다.
이러한 수직차단벽은 시공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1) 슬러리월
슬러리월이란 낮은 수리전도도를 가진 흙이나 가용한 다른 첨가제 등 오염물질의 거동을 제어하는 물질을 자중 트렌치에 채워 넣은 것을 말한다.
슬러이월은 특히 투수계수가 다소 높은 지역에 유용한데, 지하수의 흐름을 다른 곳으로 우회시키면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1)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를 오염된 지역으로부터 격리시킨다.
2) 지하로의 침출수흐름을 제어한다.
3) 오염물질의 분해 또는 지체 효과를 증진시킨다.
슬러리월의 수평적, 수직적인 관점의 구성요소에 의한 대략적인 개요를 살펴보면, 먼저 평면적인 구분으로서는 직선형, 아치형, 그리고 직선으로 둘러쌓인 형 등이 있다. 슬러리월은 발생 오염물질의 앞쪽에 위치하여 오염잠재성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이용될 수 있고, 또 오염물질의 뒷쪽에 위치하여 오염물의 이동을 억제하면서 분해를 촉진시키는 방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염원은 슬러리월에 의해 완전봉쇄된다.
슬러리월은 암반 또는 저투수층에 파묻혀 있다.
이는 폐기물을 완전히 격리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그러나 행잉슬러리월은 암반이나 저투수층이 너무 깊이 위치해 있어서 오염물질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하수면에 떠 있게 된다.
키드인슬러리월의 다양한 수평적 도식에 따른 장단점은
1)전체봉합- 오염물로부터 지하수흐름의 완전한 우회 가능
오염물질 누출의 최소화
넓은 범위의 폐기물에 적용가능
비용이 많이 소요될 가능성이 있음
2)부분봉쇄 (상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배경,   확산,   중요,   본질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3.01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28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